6모 생윤 7번 질문-묵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320438
1. 생윤 마더텅 풀었는데 묵자가 동양사상에서 제시문에 나온적이 없던데, 이번 6모때 처음 문제로 나온거 맞나요?
2. 묵자는 겸애(차별하지 않고 사랑), 공자는 별애(차별하는 사랑=친분에 얽매임)인데 제시문에서는 서로 사랑하라고 되어 있는데 이것만 보고 묵자인걸 확신할 수 없지 않나요?
묵자인걸 제시문에서 어떻게 추론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생윤 5, 7 두 개 틀려서 46인데 남들 다 맞는거 틀려서 현타 ㅈㄴ 오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시간아 멈춰줘 0
시간이 너무 빨리 가지 말아다오
-
이거 재밌음 0
https://www.youtube.com/watch?v=l1_5YsjsbZA 들어오세요~~
-
개부럽다 0
갤럭시 폴드 200만원 넘는데 사전예약 90만 ㅅㅋ 폰 살 돈은 있누
-
쪽지 주세용
-
비씹덕도 그냥 게임성만 보고 즐길 수 있음? 원래 RPG나 오픈월드게임 좋아하는 편이긴해요
-
작수부터 이렇게 심해진거임? 23수능이랑 22수능은 등급컷 차가 해봐야 4점인 거...
-
기출 풀다가 좀 막히는 느낌이 들어서 이창무 선생님 심화특강을 듣기로 했는데 풀고...
-
대체 무슨 마약 하시길래 이런 생각을 한 겁니까?
-
다들 갓반고 ㅈ반고 하는데 어떤게 보통 기준임?
-
흠
6평 안푼 고2라 방금 문제 봤는뎅 서로 이롭게 한다가 수특에 나온 묵자의 상호이익 아닐까요? 교리??
감사합니다. 서로 이롭게 한다->묵자로 풀면 되는 거였네요.
1은 잘 모르겠음. 서로 사랑하라는 뜻이 애매하다고 생각되더라도 윗댓처럼 제시문으로 묵자의 교리사상인거 알 수 있고 한자도 겸애(兼愛)라고 되어있어서 난 이걸로 묵자라고 간주함.. 글고 이건 걍 하는 얘긴데 동양사상은 한자도 같이 외워 놓는게 좋음. 작년 9모 3번도 을 제시문보면 누구지 싶은데 의(義),불의(不義) 한자보고 맥락파악했음..
감사합니다. 별애, 겸애등 동양사상에서 나오는 기본적인 한자는 외워야겠네요.
그리고 서로 사랑하라는 애매 했다고 쳐도, 서로 이롭게 한나->묵자로 풀면 되는 거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