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1 앞으로 수능 볼 사람들은 참조해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28941
저 또한 요번 삼반수를 하면서 국영수탐구에 변별을 어떤과목은 당하고(소위 폭망한 과목도....있습니다....ㅜㅠ) 어떤과목은 덜 당한(그나마 다행..) 사람입니다...ㅠㅠㅠ
오르비 글을 많이 쓰지 않은 제가 이 글을 쓴 목적은 후에 볼 사람들을 위해 쓴 글입니다..(지금즈음이면 수능 보신분들도 많이 없지 않을까....해서요...) 개인적인 생각이 들어간 글이죠...
그러니 수능 본 사람들은 읽어주시지 말길 바랍니다.(약간 기분이....상할수도 있습니다.)
수능이 끝나고 나서 너무나도 놀라운건 물리1의 컷과 인터넷 반응들이었습니다.
솔직히 요번 물리1의 참담한 컷은 정말로 수능의 진수를 여러부분으로 보여준 사례라고 봅니다.
평가원의 모집단을 파악하는 놀라운 능력과 현 물리러들의 공부의 빈틈에 대해 여지없이 짓밟아버린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 또한 물리를 대략 4년간 공부하게되면서 정말 요번 물리1을 풀때는 욕하면서 풀었습니다.... 이유는 간단했습니다. 억울했습니다........ 제가 풀 당시에는 너무 쉽다고 느껴서 말입니다... (종로모의보는 기분이었습니다....계산도 없고)
그래서 전 당연히 컷과 반응이 "50점1컷시험!!"이런 반응이 나올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채점 후 제 기분은 색다른 맛을 보게 되었고..(ㅋㅋㅋ...2개 틀렸습니다...)
저는 제 부족한 부분과 평가원이 정말 문제를 잘낸다는 생각을 했습니다만
정지에너지에 대해 교과서 외라는 대다수의 초반 여론과 (심지어) 이의제기를 하시는 분들을 보고선 할 말을 잃었습니다.
정말 드는 생각은 두가지였습니다. 평가원에 대한 신뢰가 2년간의 오류로 바닥이 되버렸다는 생각과(이의제기를 너무 당당하게 검토 안하시고 하신 걸 보면서 느낀점입니다.) 교과서 외 개념이라고 당당히 얘기하시는 분들을 보고 말이죠....
평가원은 물리 전체 2종교과서에 리액턴스라는 용어가 1종(교학사)에만 나온다고 리액턴스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일일히 풀어서 서술합니다.
그것 외에도 무리한 선지는 다른선지에 의해 제껴지게(?)만들어 주는(많이 문제를 풀어보신 사람들은 어떤 말인지 알 듯 합니다.) 디테일함을 보여주는 (무서운) 집단지성입니다.(수능기준입니다)
즉, 교과서는 교수님에겐 허용된 출제 범위이면서 출제용어사전입니다.(심지어 한 부분에만 나온 개념은 풀어서 설명하거나 유추 가능하게 만들어 주기까지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희들이 교과서를 꼼꼼히 못 읽었다고 가정합시다.(사람이면 그럴수 있으니까요... 교학사는 정말 두껍죠...)
허나 정지 에너지라는 용어를 정확하게 몰라도 양성자가 질량이 있는 입자(라는건 당연히 알 것이라 생각합니다) 에 대해 "정지"한 입자의 "에너지"라고 풀어서 생각하시면서 질량-에너지 동등성이라는 물리개념이 떠올리는것은 충분히 개연성이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특수상대성이론에 대한 문항이었으니깐 충분히 떠올릴수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럴 경우에도 이 선지에 대해 (조금은 불안하더라도) 맞추고 넘어갈 수 있는 선지라 생각이 듭니다.(질량이 0인 입자는 물리1에서는 광자 이외엔 없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사실 이런 센스는 수능 전반적으로 요구 하고 있습니다... 저희 입장에서도 제일 현실적인 풀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한마디로 평가원은 수능문제를 만든 이유가 지엽적 지식의 암기량을 체크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정지 에너지에서도 보여주었다고 생각합니다.(후자의 방법으로도 풀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주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요번 수능 이후로 물리 1의 공부방법이 변질될 수 있을까봐(무조건적 암기..?) 이런글을 올리게 된 겁니다.(막무가내로 지엽적이게 출제하는건 아니라고 얘기하는거죠!! 평가원에대한 신뢰가 필요한듯 합니다.. 아 수능에 대해서만 하는 말입니다.)
뭐 만점도 못받은 놈이 뭐라하냐고 말하신다면 저도 할말이 없습니다만....저는 요번년도 평가원또한 가차없이 어설픈 공부량에 철퇴를 가하신 모습에 감탄(과 슬픔)하지만, 인터넷을 보면 너무 불신하는 태도가 확산하길래 하는 말입니다. 그리고 수능 보신분들을 비하하는 목적은 전혀 없습니다.(저도 변별 당했어요.....ㅠㅠ)
혹시 수능 요번에 보신 분들 여기까지 읽으셨다면 마무리 화이팅 합시다....ㅠㅠㅠ(논술이나 정시 대박나길 기원할께요...ㅠㅠ)
졸려서 막 쓰니 글이 이상할 수 있어요....(앞뒤가 다르다거나..ㅋㅋㅋㅋ등등...) 이해해주세요 ㅠㅠ
p.s.간혹 19번은 낚시의 문제라고 하시는 분들 본 적이 있는데 2015학년도 학평에 정말 판박이의 아이디어문제가 있습니다.(놀라울정도로 똑같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이고 7
왜 장바구니에 안담기는거지 머리아프네
-
김정은 "남조선 헌재, 반미세력 장악 지원해야… 중국동포 적극이용 검토하라" 2015년 지령이었다 2
김정은은 그냥 천재다 2014년 12월 통합진보당이 헌법재판소에서 위헌정당으로...
-
이 시험이 내 인생을 바꾼다라는 접근보다는 시발 이거 틀리면 쪽팔리지 않냐/ 이거...
-
강대 스투 6야 0
92 96 1 94 97 인문인데 반수반 들어갈수 있나요ㅠㅠ?? 정규시즌엔 k반이던데ㅠ
-
조선시대 신분제와 양반 미생물학 입문 흥미로운 생리학 일반화학1 먹거리산업...
-
오늘의 상식 2
항문주름은 100개가 넘는다
-
ㅇㅈ 9
장발 전
-
이영수 파운데이션 7만원이나 하길래 e북으로 사려는데 뭐 안되네요 이거 종이책...
-
끼얏호우!!!!! 은행에 카드 신청한거 찾으러가야해서 하루는 무조건 늦게갔어야했는데 그게 내일임
-
ㅋㅋ
-
이유가 뭐임요? 말만으로도 충분해서? 귀찮아서?
-
근데 원래 1
수능 끝나면 바보가 되나요? 심지어 난 수능 끝난지 한참 됐는데 아직도 바보야...
-
솔직히 답변 내가 봐도 잘하는듯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을 찾습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큐브특 0
내 문제 첫번째로 가져간 사람이 거의 대부분 같은 사람임 근데 그분은 항상 내 문제...
-
기분좃가타짐.. 3
갑자기 우울 ㅠㅠ
-
날마다 돌아오는 8
질문 타임
-
사문 작수 1 1
사문 작수 1떴는데 하나도 기억 안나는데 개념강의는 듣기 싫은데 뭐부터 하면...
-
"몇점 나오는지 보고 실믈리에짓 해야겠노" 이 마인드로 쳐야지 뭔가 시험보다는...
-
탈북민 강제북송, 두 눈은 안대로 가려졌고 두 팔은 포승줄로 묶여있었다 3
http://www.newsagora.co.kr/news/articleView.htm...
-
커뮤는 하면 할 수록 병신되는 거 같네
-
나도 못푸는 주제에 누굴가르쳐
-
내일 가고만다
-
공부 잘하는건가요
-
날마다 오는 무물보 24
없으면 원신하러 갈게요
-
누가 더 잘한다고 보심?
-
30번 공도 오답률 100%
-
아
-
사문 노베 이제 시작하려는데 불후의 명강 개념완성이랑 명불허전 기출분석 다 사야되나요?
-
지1 필수 문제집 점 알려주세염
-
작년 주간지 0
올해 박선쌤 커리 쭉 탈 생각인데 현강을 못가서 그런데 올해 주간지는 딱히 못구할거...
-
무물보 19
선넘도 이해해줌
-
ㅈㄱㄴ
-
재종life 시작한지 얼마 안됐는데 벌써부터 예민해지네 8
마스터이 W 켜야겠다
-
문해전 시즌1 1
난이도 어느정도인가여?? 입문n제로는 너무 어렵나
-
막 잘못 답변하면 어떡하지 이생각만듦
-
설대목표인 문과고요 올해 사탐 처음 시작해서 현재 생윤은 개념과 기출 절반정두 끝낸...
-
미국에서는 College of Medicine이라고 하고 일본에서는 医学部라고 함
-
어디감
-
작 69수 원점수 10
6 88(1) 92(1) 2 48(1) 46(2) 9 80(4) 96(1) 1...
-
그만 싸워라 1
고할뻔 더 치고 박아 흐에ㅔㅔ
-
기하 너무나 좋은 것 한 자릿수 아닌 게 아쉬울 따름
-
앞으로도 이런 기조로
-
진짜 중요한 건 바로 노무현은 살아있다는거임.
-
공 미 62 15 면 확통런하는게 나을까요?
-
애플 에어팟 4가 2시간 전만 해도 20만원 이길래;; 뭐지 사긴가 했는데.. 지금...
-
과기대 문닫음 3
4시반에 전추로 문닫고합격.. 하이제야좀실감남
솔직히 올해 정지에너지 말곤 술술 풀리지 않았나요?? 개정 이후 수능문제중에 제일 쉬웠네요
제일 컷과 체감난이도의 괴리가 심한 시험 아니었나 생각드네요 깜짝 놀랐습니다....
저랑 똑같네요 저도1컷 50잡고긴장빨앗음 실제로만점ㅎㅎ
축하드립니다!! 잘보셨네요!! 저는 2개 틀려서(ㄸㄹㄹ..)
저도6 19...19도솔직히실제로는불가능얘긴데ㅠㅠ후아쉽
맞아요 당황스럽긴 하겠지만 E=mc^2 떠올리면 풀 수 있는 문제였죠 ㅜㅜ
그쵸... 평가원의 진수를 보여준 전형적인 문제라 생각이 듭니다...ㅠㅠ
그런것으로 이의제기는 거의 안받아들여지죠.. 생2처럼 아예 중의적이거나 제작년 지리처럼 아예 틀린 내용이 나와야 가능.. 정지에너지는 충분히 추론가능한 부분 아니었나 싶습니다
그렇죠 거의 받아들이지 않죠.....그래도 혹시나 물리1의 공부방법이 변질될까봐 그러지 않길 바라며 쓴 (오지랖 넓은?)글입니다..ㅋㅋㅋ
역학 쉬웠어요 확실히
정지에너지 쪽은 사실 E=mc^2 아무튼 이 부분에서 생각할 수 있었을텐데 아마 많은 분이
이 부분은 평소에 이건 굳이 공부 안해도 생각나겠지 하면서 그냥 넘어가시지 않으셨을까 싶어요.
정말 후벼파는 그 날카로움을 보여준 문제라 생각이 듭니다 ㅠㅠ 그리고 많은 분들 역학이 킬러로 거의 안나와서 허탈했다고 하더군요.... 뭐 저도 그중 한사람 이었지만요... (역학을 안내고 컷을 맞추는 평가원도 대단한거 같네요)
19번 작년학평문제인거 보자마자 기억났는데 틀림 ㅋㅋㅋㅋ
물론 신유형(그동안 나오지 않은 개념 포함)도 교과서에서 근거가 되지만 평가원은 탐구같은경우 적어도 18개 많으면 19개를 기존문제 변형해서 내죠. 나머지 한두개는 교과서 분석이 철저하지 못하다면 사고력으로 어느정도 유추할 수 있어야 맞출수 있는것 같습니다. 전 그 문제보고 아마 고전역학의 카이네틱에너지랑 비교차원에서 낸문제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결과론적이긴 하지만 운동에너지가 0이기때문에 정지에너지라는 개념을 모르더라도 0이란 소리가 나오면 틀렸다는 방향으로 잡는게 맞는 사고란 생각이 드네요. ㅋㅋ 너무 결과론적이긴 하지만...
그학평문제가혹시 로그함수모양,이차함수모양인 비탈면잇고 높이같은곳에서공굴리는 문제인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