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는 실제 대상과 이미지가 인과 관계로 맺어져 있다란말이 뭔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233313
![](https://s3.orbi.kr/data/file/united/f7bfe5314ea50ef5f2c7a590c5e73800.jpg)
뭔뜻이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으으 유기화학 2
너무 어려운데? 물리화학이 더 재밌는듯...
-
각설 식사는 하셨는지 11
더욱이, 계란탕의 계란같은 희고 누런 건더기들이.. ㅡㅅㅡa; 몽글몽글. 아무 맛...
-
겨울왕국은 11년..?? 미쳤네
-
오늘 실모 커하찍음ㅋㅋㅋ이게뭐지
-
아직 안했는데 보통 3개정도 틀림 (화작틀린거빼고 호머 하고 싶은거 맞음
-
https://www.youtube.com/watch?v=zV0OBmH7qCIㅂ...
-
지금부터 13
남초/여초발 성별 혐오 용어 및 발언 등등 컨관님한테 제보해서 정지먹일겁니다...
-
심지어 악플같은 것도 유명해질 즈음 찾아서 재소환하는 게 네티즌 파워임 ㅋㅋ 그니까...
-
뭘 날리는게 제일 좋을까 독서 한개 날리는게 그나마 좋다고 생각하고있었는데 그냥...
-
왜 띵학꺼 샀지
-
난 본 적이 없는데 왜 실모는 자꾸 내는거지
-
당신은 2
무한 새로고침 중
-
이거액땜한거맞죠? 살면서 별일을다겪네
영화는 결국 현실을 찍어내는것이니 현실이 원인 촬영된 이미지가 그 결과로써 원인과 결과 관계
실재하는 대상만이 이미지로 이어진다 이거죠
2020학년도 9월 평가원 [21~26]번 지문의 일부를 발췌한 글인데, 참고해 보세요.
==========
시각 매체의 확장은 사료의 유형을 더욱 다양하게 했다. 이에 따라 역사학에서 영화를 통한 역사 서술에 대한 관심이 일고, 영화를 사료로 파악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역사가들이 주로 사용하는 문헌 사료의 언어는 대개 지시 대상과 물리적․논리적 연관이 없는 추상화된 상징적 기호이다. 반면 영화는 카메라 앞에 놓인 물리적 현실을 이미지화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 물질성을 띤다. 즉, 영화의 이미지는 닮은꼴로 사물을 지시하는 도상적 기호가 된다. 광학적 메커니즘에 따라 피사체로부터 비롯된 영화의 이미지는 그 피사체가 있었음을 지시하는 지표적 기호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다큐멘터리 영화는 피사체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기 때문에 피사체의 진정성에 대한 믿음을 고양하여 언어적 서술에 비해 호소력 있는 서술로 비춰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