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일통상창정갓! [474848] · MS 2013 · 쪽지

2015-11-14 22:34:20
조회수 625

오늘 성대 3교시 논술 3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18264

의사결정 효율성 비율 관련해서 그래프 2개 나온 거 중에서
70퍼: 합의를 통한 의사결정 더 지지-제시문 2에 따르면 찬성
40퍼: 다수결 방식 더 지지-제시문 2에 따르면 반대

이렇게 쓰는거 맞나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김부와 · 554433 · 15/11/14 22:40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김부와 · 554433 · 15/11/14 22:43 · MS 2015

    저도 그렇게 했어요 a b비용 비교해서

  • 꺄랼랴랴 · 496908 · 15/11/14 22:45 · MS 2014

    저두!!

  • 마르하반! · 509376 · 15/11/14 22:52 · MS 2014

    약 65퍼의 합의율이 왜 제시문2를 지지하는지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ㅜㅜ? 근거를 전 못찾겠더라구요 저도 자료1 보자마자 70퍼면 오 이정도면 합의된거겟지!했는데..10분정도 고민하니까 제시문2가 소수의견도 존중한 합의를 중시하는데 30퍼의 소수의견이 반영안됐을 확률도 있고..총비용이 거의 비슷한 라인에 100퍼 소수의견까지 존중하는 자료도 있더라구요..그래서 전 반박으로 썼어요. 법정선택자이기도 하고 성대논술을 제일 많이 준비해서.. 제가 정답인 줄 알았는데ㅜㅜ 걱정이네요

  • 꺄랼랴랴 · 496908 · 15/11/14 22:55 · MS 2014

    합의를 해서 의견이 좁혀졌다고 생각했는데...ㅠㅠ 100퍼가 만장일치니까 높아질수록 의견이 모아진다고 생각했어요!

  • 마르하반! · 509376 · 15/11/14 22:57 · MS 2014

    저도...보자마자 그생각으로 쓸려고하다가 근거를 쓸려고하니까 65퍼가 소수의견이존중된건가? 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 꺄랼랴랴 · 496908 · 15/11/14 22:58 · MS 2014

    40퍼에 비하면 존중되었다고 생각을 했는데 음.. 오르비랑 다르다고 걱정마세요.. 뭐 이게 답도 아니고ㅠㅠ

  • 마르하반! · 509376 · 15/11/14 22:59 · MS 2014

    쨌든 누가 틀렸든 3번틀려도 다른거잘쓰면 합격 ㅎㅎ 건승하시길

  • 가능할듯 · 612751 · 15/11/14 22:57 · MS 2015

    저도 사례1 반박으로 썼어요
    동의비율 70퍼(과반이상)일때 효율성이 가장큰게 다수결에 따른 선택이 사회적 효용을 높인다 이런입장아닌가요...?

  • 마르하반! · 509376 · 15/11/14 23:01 · MS 2014

    가능할듯님이 말하신 내용이 제시문2랑 관련해서 해석하신건가요..? 잘 이해가안가네요..

  • 가능할듯 · 612751 · 15/11/14 23:03 · MS 2015

    아뇨 단순히 그래프 해석만요
    70퍼의 동의=다수결 이렇게보고 소수존중인 제시문2랑 반대 이렇게 풀었는데...너무 단순하게 생각했나 킁

  • 마르하반! · 509376 · 15/11/14 23:09 · MS 2014

    아뇨 그렇게 해석하셔도 소수의견존중안된거로 해석됨ㅋㅋㅋ

  • 가능할듯 · 612751 · 15/11/14 23:10 · MS 2015

    네 그니까 사례1은 소수의견 존중안한 다수결이니까 제시문2랑 반대 이렇게 푼건데..

  • 마르하반! · 509376 · 15/11/14 23:15 · MS 2014

    음..저희가 틀릴수도 있을려나...?아직 잘 모르겠네요 쨌든 마지막까지 건승하시길!

  • 가능할듯 · 612751 · 15/11/14 23:15 · MS 2015

    남은것 전부 화이팅입니다!

  • 조일통상창정갓! · 474848 · 15/11/14 23:00 · MS 2013

    이건 걍 제 쓰잘데기 없는 견해일뿐인데요 ㅋㅋ
    표가 하나는 65~70퍼 합의율 하나는 40퍼로 나왔잖아요....근데 박스의 조건 중 합의를 위한 비용이 높아질수록~ 합의율도 높아진다는 내용의 문장하고 자료 밑에 만장일치 제도 하에서는(이것이 다수결과는 대립되는 제도라고 저는 판단함)합의율이 100퍼에 육박한다라는 문장을 조합해서 아마도 65퍼 저 놈이 40퍼 보다야 다양한 계층의 의사반영을 동한 합의를 더욱 중시하겠구나 라구 판단했어요. 그래서 65퍼가 제시문 2를 지지하고 40퍼가 다수결 쪽에 좀 더 가까우니 2를 반대한다는 결론이 나왔죠. 결국 문제가 하나는 지지 하나는 반대라고 물어보는 거 같길래 상대적 비교구조?로 간거죠. 저는

  • 마르하반! · 509376 · 15/11/14 23:07 · MS 2014

    제가 처음에 했던 생각이랑 거의 유사하시네요.. 저도 도표해석을 꼼꼼히하기전엔 그 생각을 했는데.. 먼가 함정같다는 생각도 해서.. 비용 a b의 구체적 수치로 비교도 해보시고 내리신 결론인가요? 사례1에 비용a가 0이고 합의율 100퍼가 총비용으론 결론인 합의율 65퍼랑 차이가 얼마없더라구요 ..

  • 조일통상창정갓! · 474848 · 15/11/14 23:09 · MS 2013

    비용 a가 0일때 보다 합의 쪽에 초점 맞춘 비용 b가 0일 때 총비용이 덜 든 것으로 봐서 2는 제시문 2에 반한다구 봤어요....

  • 마르하반! · 509376 · 15/11/14 23:12 · MS 2014

    어렵네요.. 대부분 성대는 쉬워서 오르비분들 의견이 안나뉠줄 알았는데ㅋㅋㅋ쨌든 건승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