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영어진경쌤 [1309895] · MS 2024 · 쪽지

2024-05-19 15:04:00
조회수 821

[오늘의 독해14] LET ENGLISH BE ENGLISH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115281

오르비 학생분들 안녕하세요:)


저 개인적으로는 수능영어를 가르침에 있어서 <유형별 접근>보다는 <지문의 전개별> 접근을 더 선호하고 추천하는 편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유형별 접근>이 현저하게 유효하다면, 오답률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나야만 하는 것이 아닌가?

    (오답률 TOP의 문항을 살펴보자면, 23년 수능과 24년 수능의 오답률에 큰 변동이 없었죠)



2. "아니 24년 수능에서는 지문이 어려웠나보죠-!"  →  궁극적으로, 난이도를 결정하는 것은 결국 지문의 추상성!



3. 오답률 상위권을 살펴보면, 의외로 <빈칸 / 순서 / 제시문>의 2점 배점도 많다.  →  그냥 풀 수도 있는 문항이지만, 

    "<빈칸 / 순서 / 제시문>은 어려워!"라는 프레임이 "이렇게 쉽게 풀릴 리가 없어!"라는 착각을 불러 일으킬 때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물론, 그럼에도 <각 유형이 가지고 있는 접근법 내지는 행동강령>은 그럼에도 중요합니다만, 때로는 주객전도가 되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그래서 앞으로는 격-일로, <CNN, ABC뉴스 등에서 추출한 지문을 통한 독해>를 업로드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 기출문제는 각 학생들이 커리를 타고 있는 강사분들께서 자세히 다뤄주고 있으시겠죠! 



B. 소위 "Academic English"가 꼭 모고지문(논문) 뿐만이 아니라, 뉴스 등 포멀한 글에서 다 통용된다는 자신감! 



C. 그 해의 시사적으로 중요한 것들은 그 해 수능에 어떤 형식으로든 다뤄진다는 점!

    (23년 초전도체 소동 → 24년 수능 영어 38번에서 예시로 언급 등)

    (개인적인 올해의 PICK은 애플 소송으로 시끄러운 'Antitrust Laws : 반 독점법'이 나오지 않을까 싶네요.)




수능 지문에서 " -------- " (quote - unquote)에 있는 정보를 마주한 적이 많으실 겁니다! 


이는 <1번 전문가의 발언의 직접인용> <2번 변용 : 해당 정보를 비꼬거나 상식적인 범주에서 벗어난 다른 의미로!>

활용됩니다. 그리고 단연코 수능 지문에서는 후자가 여러분들의 독해에 혼선을 초래합니다. 즉, 이 패턴을 접하자마자,

"필자가 어떤 식으로든 이 정보에 대해서 설명을 해줄거야!"라는 믿음과 더불어 빨리 그 불편한 정보에서 벗어나야만 합니다. 오늘은 그 패턴을 준비했습니다:) 오르비 서핑을 하시면서 그 연습을 해보시길!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