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인데 올해 수능 치려고 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078363
23수능 때 한지 세지로 사탐을 봤습니다. 세지가 당시 시험장에서 너무 멘붕이 와서 다른 사탐 과목으로 바꾸고 싶은데 뭘로 바꾸는게 좋을까요? 지금 고려하고 있는게 생윤 사문 동사 중에서 고르려고 합니다. 사탐 공부는 아직 안해서 6월부터 시작하려 합니다. 그냥 세지 하는 게 나을까요? 진짜 모르겠어요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산적이없어서
-
직장인은 노예다 이러는 사람들 좀 이해 안 됨 그래서 니들은 사업 커지면 직원 안 쓸거냐고...
-
외대 0
외대 독일어과 예비 21번 붙었나요!?ㅔ
-
현역 수학실력 3
수1 수2 미적 수분감 스텝 1 한두개 틀릴 정도면 6평9평수능에서 털릴정도는 아니죠:??
-
김상훈 문학론 0
현대소설 들었는데 원래 지문분석 잘 안 해주심?? 그냥 해설지 중심 수업 같은데.. ㄷㄷ
-
전화추합 1
이게되네
-
점심여캐투척 3
음역시귀엽군
-
레어 창조경제 8
같은 레어를 샀다가 뺏겼다가를 n번 반복하면 창조경제 아닌가요 뭔가 계산이 잘못됐나..
-
200점만점 175 난뭐지?
-
대학 잘갓으면 수능 그만봐줘라.. ㅠㅠ
-
그냥 지금부터라도 이전 추합자들한테 전화 돌려서 등록 의사 확인하고 전추...
-
중앙대 경영 731.42점 합격 가능??한가요?
-
공대 둘이 거의 같다고봐도 무방한가요?
-
지금 입학처 들어가도 합격자 발표 기간이 아니라고 하는데 그럼 등록금 납부는 어떻게...
-
일어났어 7
-
초조하게 기다리기 싫어서 워치 끼고 벨소리만 키고 잘건데 2시 시작 맞음?
-
왜 멈췄지 ㅠ_ㅠ
-
다른 오르비언을 볼 때 21
프사를 그사람의 이미지/얼굴로 생각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음 연예인..은...
-
이럴줄알았으면 나도 공대썼지;;
-
고학부 개화나네 7
전형을 만들었으면 제대로 대처하는게 상식 아닌가 에효
-
둘 중에서 뭐가 더 어려운 것 같나요? 물론 둘 다 거의 불가능에 가깝지만 그나마...
-
빈순삽 잇는 강사로!! 김기철꺼 들어봣는데 맞는지 모르겟음
-
현역 때 승리쌤 풀커리 타고 성적이 오르긴했는데 문학은 진짜 아직까지도 선지판단...
-
홍대 기시디 129.85 추합으로 붙나요?
-
기도중 2
-
한양대 0
한양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 913.00점 붙는 점수인가요? 제가 아니라 앞에...
-
칸수보고 쫄지말고 표본분석이나 하는게 답
-
고1 모고 2-3등급이고 국어 개념 아무것도 모르는 노베인데요. 방학 2주 남은 현...
-
인 뉴욕~ 0
웻 드림 토메이토스~
-
근데 맞긴해
-
연대는 올해 문돌이들 제대로 밀어줘서 빵난다 생각했는데 고경은 진짜 뭐냐ㅋㅋㅋㅋㅋㅋ
-
뭐가 더 귀할까
-
다 덤벼
-
제발
-
현재 예비 11번 16명 뽑는 과 입니다 가능할까요.....
-
중대 경영 10
오늘 안에 40명 돌까요..
-
한 20인치는 됐나...참 좋았다
-
반수 할말 7
이번 수능 성적은 13311이엇어요...... 수학 미적으로 봤는데 ㅠ 확통런하면...
-
올해 신설된 학과는 새터 학생회 오티 이런거 어케하나요? 과잠은 있나요...??
-
14 15 20 21 22 29 30 제외 대비하는 n제다 => ㅇㅇ 이거 다 풀...
-
숙대 0
숙대 미디어학부 빠지실분 ㅠㅠㅠ예비 9번입니다,,
-
...메가스터디 이 바보들
-
친구가 고민 중인데 추천해주세요
-
가채점표를 못써서 채점을 못했는데 뭐 어떡하라고 씨발
-
뱃지골라주새요 12
이뱃vs중뱃 아직도 못 고르겟네
-
나의 삶의 터전인 오르비가 죽었어 ㅜ
-
아오시발
-
운동 끝 1
이어폰 안챙겨와서 런닝머신 하면서 소년법칙 정주행함 재밌네
과탐러긴 하지만 사문이 무난하지 않슴까??
세지 그대로 가는 걸 추천합니다.
(1) 한지와의 시너지 효과는 세지 만한 과목이 없습니다.
(2) 지리도 암기 과목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고점을 계속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번 6모, 7평, 사설 모의고사 보면서 도저히 고득점을 따기 어렵겠다싶으시면 그때 바꾸는 것도 늦지 않습니다.
세지를 대체할만한 과목으로, 생윤/사문/동사 다 무난합니다.
3과목의 특성으로는
(1) 생윤. 응시자수가 압도적이고, 개념이 지리 과목의 1/3밖에 없기 때문에 접근하기 좋습니다. 다만, 말장난이 심해서, 말장난에 잘 낚이는 체질이면 비추입니다.
(2) 사문. 응시자수가 역시 톱이고, 개념이 적습니다. 또한, 최근 평가원 한지 문항에서도 사문 문항의 유형 문제를 따와 내기 때문에, 문제 유형의 동질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지능형 추론, 활용 문형) 표 문제 같은 것도 둘다 유사하고요.
사문 기출 풀면서 해볼만하다 싶으면 강추하는 과목입니다.
(3) 동사. 한국사와 겹치고, 개념이 생윤-사문 보단 많지만 그래도 그외 과목들보단 많지 않아 접근하기 나쁘지 않습니다. 외우는것만 빠삭하면 문풀시 5분컷 가능합니다. 지리-생윤-사문에서 30분동안 끙끙대는 시간 부담 따윈 없습니다.
다만, 응시자수가 적고, 고인물 때문에 만점을 목표로 삼아야합니다.

저도요세지 그대로 가시죠
단, 평가원이나 사설 점수 잘나와도 꾸준히 공부할거라는 전제하에
한지 세지 개념 들어야 하는데 하루에 각각 3강씩 나가는 게 나을려나요 아니면 한국지리 끝내고 세계지리 끝내는게 나을까요?
전자로 하시는게 안질리고 꾸준히 하시는데 유리하시지 않을까요. 개인적으로는 개념들으시면서 진도별로 기출 병행하는거 추천드립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