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없녀 [1288057] · MS 2023 · 쪽지

2024-05-13 19:03:45
조회수 999

진짜급ㅎ팜 빨리 옷ㅇ세요 23 6모 국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067809



제대로 이해한 거지 봐주셈요

ㄷ에서 옛 국가에서 드러난 사상적 공백을 채우기 위해 새 국가의 군주는 유교에 따라 통치하도록 한다... 라고 나와있는데 

제가 생각하기에는

육가: 이사 뭐라노 뭔 사상 통제야 ** 진에서 사상적 공백 ㅈㄴ 있으니까 이걸 채우려고 한이 유교 러브러브 해야 됨

집현전 학자들: 앙... 고려보다 조선이 최고임 고려 불교 사상 폐단 보셈 우린 유교 하자

아니 근데 왜???????? 마지막 문단에서 "이 부분의 편찬자들은 유교적 시각에서 고려 정치를 바라보며 불교 사상의 폐단을 비롯헌 문제점들을 다각도로 드러냈고 이를 통해 유교적 사회로의 변화를 주장한다며

아니

이전 국가의 사상에 문제가 있다는 건 지금 육가랑 집현전 학자 둘 다 그렇게 생각하는 거죠?

근데 육가는 그걸 채우려고 한다고요??

아니 사상적 공백을 왜 채워?????

설명 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가없녀 · 1288057 · 05/13 19:07 · MS 2023

    제발 알려주세요......

  • 나희도 · 1254267 · 05/13 19:08 · MS 2023

    현장에서 공백 자체가 없다고 생각해서 걸렀는데

  • 가없녀 · 1288057 · 05/13 19:08 · MS 2023

    사상적 공백이 뭘 말하는 걸까요..??

  • 가없녀 · 1288057 · 05/13 19:09 · MS 2023

    사상이 없다는 거임?? 사상이 있는데 부족함이 많다는 거??

  • 나희도 · 1254267 · 05/13 19:10 · MS 2023

    아무것도 없이 비어 있음 <- 이게 뜻임

  • 가없녀 · 1288057 · 05/13 19:11 · MS 2023

    흠... 그러면 왜 "사상적 공백"이라는 말을 꺼낸 걸까요??? 애초에 이상한 거 아니에요?

  • 이론상가능의악마 · 1308035 · 05/13 19:17 · MS 2024

    전 육가는 차치하고 고려는 걍 불교가 통치사상이었으니까 사상을 비판할지언정 벼있진 않았다치고 넘어갔었음 "불교 사상의 폐단..." 이 있으니까요

  • 이론상가능의악마 · 1308035 · 05/13 19:20 · MS 2024

    육가는 아마 사상통제랑 사상없음은 다르다는걸로 걸러야할거같은디 몰?루

  • 가없녀 · 1288057 · 05/15 00:25 · MS 2023

    ㅠㅠ 감사합니다

  • 어쩌다 고대 · 1233403 · 05/13 19:29 · MS 2023

    선지의 핵심은 사상적 공백이 있느냐 없느냐가 아니라 유교에 따른 통치를 하는 목적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심멘해설)

  • 가없녀 · 1288057 · 05/15 00:25 · MS 2023

    이거 읽고 나니까 뭔가 저 문장이 다르게 느껴지네요.. 감사합니당

  • 남윤 · 985038 · 05/13 21:56 · MS 2020

    앞서 말씀하셨는데, 해당 문제의 핵심은 '목적'입니다. '사상적 공백을 채우기 위해' 유교에 따라 통치하도록 한 게 아닙니다. 다시 말해서, 유교에 따라 통치하도록 한 목적이 '사상적 공백을 채우기 위함'이 아닙니다.

    해당 문제는 실제로 시험 이후에 '사상적 공백'과 관련하여 강사와 해설지마다 해설이 달랐던 문제이긴 합니다. (물론, 그것과 관계없이 목적 관계가 틀렸다고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공통 : (나) 지문에는 사상적 공백이 없다고 볼 수 있음

    1) (가) 지문에 사상적 공백이 없다는 입장
    (가)의 2문단에 따르면, 육가는 '인의의 실현을 위해' 유교 이념과 현실 정치의 결합을 시도하였다고 나와 있습니다. 즉, '사상적 공백을 채우기 위해' 유교에 따라 통치하도록 한 것이 아닙니다. 또한, (나)의 4문단에 따르면, 새 국가의 토대를 마련하려는 의도가 전제되었다는 내용과 함께 편찬자들은 [유교적 시각에서] 고려 정치를 바라보며 불교 사상의 폐단을 비롯한 문제점들을 드러냈고, 이를 통해 유교적 사회로의 변화를 주장하였다고 나와 있습니다. 즉, '옛 국가에서 드러난 사상적 폐단을 비판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유교에 따라 통치하도록 한 것이지, '사상적 공백을 채우기 위해' 유교에 따라 통치하도록 한 것이 아닙니다.

    2) (가) 지문에 사상적 공백이 있다는 입장
    (가)의 1문단에 따르면, 진은 분서갱유를 단행하며 사상 통제를 꾀했다고 나와 있습니다. 이를 '사상적 공백'에 대응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진의 멸망 원인이 사상을 통제(=사상적 공백)하고 법가 제도를 지나치게 강조한 데 있다고 본 육가는 새 국가의 군주인 한 고조에게 지식과 학문(=사상)의 중요함을 설득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유교 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왕도 정치를 제안했다고 본 것이죠.

    물론... 법가 사상 자체가 하나의 사상이기 때문에 이를 사상적 공백이 있다고 볼 수 있는가? 자체도 논의 대상이었으며, 국가를 제대로 통치할 수 있는 사상이 없기 때문에 이를 사상적 공백으로 볼 수 있지 않느냐 등의 주장도 있었습니다.

    어찌됐든 해당 문제의 핵심은 '목적'이라고 생각합니다.

  • 가없녀 · 1288057 · 05/15 00:26 · MS 2023

    아... 진짜 감사합니다 다 읽었어요 이해됐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