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능 보고 원서영역 끝나고 자살해야겠다 나를 위해서도 부모님을 위해서도 이게 맞음
-
버스타고 다니면서 볼게 없어서 이런거라도 보려구요...
-
강케이 양승진 강x 씨.발 다쳐박다가 드.디.어
-
정식티 뭐라고 소신발언 하실지 궁금하네 (1타 뺏기먄)
-
이미 5개년 2회독 옛기출 언어영역 부터 봤고 6모 백분위 97인데 새로운 지문에...
-
집안 좋고, 여자로 태어나서 지역인재 정시나 농어촌 수시로 한의대 가서 꿀 빨면서...
-
쓰면 모르는 사이에 수학스킬이 체화되는 옮티콘을 애용합시다.
-
물리 브릿지 1
물리 브릿지 전국 1회부터 10회 등급컷 있나요?
-
퀄리티 차이인가요?
-
아는게 많이 없는데 (고전시가 배경은 자연친화 등등 이런게 있다정도) 강기본...
-
박종민쌤 커리 0
벅종민 쌤 정규반 커리가 어떻게 되나요? 그리고 개인컨 가격이 얼만가요?...
-
수강신청 올클 5
20학점의 고통 완성
-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어디까지내려가는거에여
-
대학 어디가로 충북대 내신 산출해본건데 혹시 여기서 어떤것 보면서 전년도 입결과...
-
갤러리 뒤지다가 21년 수능 성적표를 보게 되었는데 당시에는 너무 못 봐서 모의지원...
센츄off
그와중 센츄인게더웃김
우선 국어는 기출에 집중해야 합니다
독서는 아무래도 양치기는 본인의 독해 방법, 선지 판단 방법이 확립되어야 효과를 볼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해요
그니깐 그 전까지는 기출을 계속 보면서 약간 내가 어느 방법으로 글을 읽고 있는지에 집중해야한다 생각합니다
또한 지문 독해는 어느정도 되면서도 선지 판단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틀리는 경우도 많은데, 저는 이 부분은 216 선생님의 선지판단원칙이 좋았던 것 같아요
또 ebs 연계 기조가 강화되어 ebs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문학은 더더욱 기출이 중요한데, 오답이든 정답이든 내가 어떤 사고방식으로 이걸 골랐지? 이걸 어떻게 해야 시험장에서 틀리지 않을 수 있지? 이거에 집중해야죠
특히 문학은 독서와는 달리 사적 영역의 언어이기 때문에 함부로 지문의 내용을 단정지어서는 안된다 생각해요
지문은 드라이하게 읽되 선지 판단에서 힘을 써야합니다
특히 대부분의 선지는 굳이 지문으로 돌아가지 않더라도 지문의 거시적인 흐름 파악과 선지 독해만으로 풀 수 있는 선지가 많기에 이를 통한 시간 단축이 필요하다 생각해요
또한 수학은 기출도 중요하지만, 절대적인 문제풀이의 양을 늘려서 사고과정을 자연스럽게 익히는게 중요합니다
그러나 수학의 경우에는 시중에 문제집과 n제가 넘쳐나기 때문에, 본인의 수준을 확실히 파악하여 그 수준에 맞는 공부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 과정에서 본인이 기출 분석이 부실하다면 기출로 돌아가고, 문제 풀이 태도가 난잡하다고 생각되면 실전개념을, 문풀 양이 부족하다면 문풀 양을 늘리면 됩니다
일정 수준에 올랐다면 정체기에 도달하기 쉬운데, 그때 가서도 내가 너무 편한 공부만 하고 있지는 않은지 본인의 공부 방식과 사고 과정을 점검해보는게 도움된다고 생각합니다
아니내가뭘
이거 찾고있었는데 찾았다 ㄱㅅㄱㅅ
?
두명이거진짜개좋아하네
다시 돌아왔으면
또 다른과외선생은 왜미루냐고이번수능중요한데 지금해야된다고 이러니까 내입장에서는뭐가맞는말인지 모르겠어서 그리고 전글 댓글만봐도 주말풀알바 왜하냐는반응이잖아요 내입장에서는 헷갈려서뭐가좋은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