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란 무엇인가? (무언가 최고를 찍어보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980444
방금 전 올린 게시물과 관련해서, 오늘 물리학과 교수님과 면담이 있었는데 아주 생산적이고 유익한 내용이 많아서 글을 급히 써봅니다.
전 당연히 아직 박사가 아닙니다.(척척학사) 그러나 어렴풋이 여러가지 간접 경험을 통해 '박사'란 무엇이고, 그 의의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설명할 수 있을듯 합니다.
우선 '박사'는 학위를 의미합니다 단순하게. 한국의 경우 학사 -> 석사 -> 를 거쳐 박사가 되고, 미국은 석사 과정이 있긴 한데 박사 학위를 위한 필수 조건은 아닙니다.
참고로 이승만 대통령에 대해서 재미있는게, 과거에는 지금과 달리 박사 라는 사람이 거의 없었답니다. 그래서 이승만도 호칭을 대통령보다는 박사님을 더 선호했다고 하는군요. 지금 시대 특히 한국은 박사가 엄청나게 많아졌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n3MXk7n_WU&ab_channel=%EC%8A%88%EC%B9%B4%EC%9B%94%EB%93%9C
박사라는 것은 굉장히 오랜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는 힘든 '훈련' 과정입니다. 박사가 교수가 되기 전, 좀 더 세부적으로 포스트닥이나 연구원, 또는 직장에서 일을 하다가 교수가 되기도 합니다. 박사를 따자마자 교수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죠.
그래도 굳이 교수가 되지 않더라도 박사 학위를 딴 이후 활발히 유튜브 같은 곳에서 과학 커뮤니케이터로 활동하는 사람도 있고, 박사는 곧 전문가를 뜻합니다. 그 분야에 대략 10년 정도(학사 4년 + 석사 2년 + 박사 5년 전후) 공부를 한 셈입니다. 다중지능 이론을 창시한 하워드 가드너 교수는 어느 분야든 전문가가 되려면 10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하기도 했었죠.
그런데 박사가 되었다고 해서 모든 것을 아는게 아닙니다. 오히려 상당히 미세한 전공에 대해 깊이 있게 공부를 하게 됩니다. 오히려 자기 분야 이외의 것을 더 까먹고, 그 대신 자기 전공에 대한 집중적인 지식을 공부했을 확률이 대단히 높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점, 박사 학위자라고 무조건 자기가 공부하고 박사 학위 논문 분야로 먹고 사는 것이 아닙니다. 당장 오늘 면담한 교수님도 그랬고요.
제가 생각하는 박사의 중요한 의의는 뭐냐! 라고 하면 사회적 측면과 개인적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을듯 합니다. 일단 사회적으로 뭔가 박사라면 전문가라는 사실을 굉장히 빠르게 (~~박사 출신 이라고 이력에 적혀있다던지 등) 알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아마 많은 사람이 박사 학위라는 것에 집착하는 이유가 이것일 것입니다. 그 현재 VIP의 영부인께서도 '학위'를 받았잖아요? 일단 그 사람이 진짜 실력이 있든 없든 뭔가 과정, 극단적으로 비유하자면 운전면허증이라는 자격을 통과했다는 증표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전 당연히 이런 껍데기 같은 기능에 큰 의의를 두지 않습니다. 박사 학위의 의의를 개인적 관점에서 보면, '어떤 것을 깊이 공부해서 최고(혹은 준최고)의 과정을 보고 배우고 경험해본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최고라는 것은 무엇이냐고 한다면, 99%는 일반 사람들도 시도해보고 이미 경험해봤고 널리 알려진 것이지만, 거기에 감초 같은 1%를 더해보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공부를 상당히 깊이 있게, 어떤 분야든지 한 분야를 10년 정도 전문성을 길러보는 것에 의의를 둔다면 여러가지 현상을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당장 오늘 면담한 교수님의 박사 학위 논문 주제와 지금 공부하고 강의하시는 주제가 다른 점을 꼽을 수 있습니다.
제가 이 경험을 제 책 <수국비>를 쓰면서도 느꼈습니다. 자주 말씀드렸다시피 전 수학이 정말 개판이고 엉망이었습니다. 그런데 밑바닥부터 최고 정점을 찍어보니까(물론 제가 전국에서 제일 수학을 잘한다! 이런 소리가 절대 압니다) 이해가 되는 것이 많더라고요. 수학을 (고등학교 세계관에서) 매우 깊이 있게 공부를 해서 성취를 해보니, 제가 잘 못하는 다른 과목들, 예컨데 국어 과탐 같은 것들, 도 어떻게 해야 잘할 수 있을지 알 수 있었습니다.
제가 나이를 먹고 보니까 느끼는게, 세상이라는게 참 잔인하기도 하고 결코 만만치 않다라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저를 포함해서 여러분은 전략적으로 좁고 깊은, 전문성을 한번 경험해보아야 합니다. 최고를 경험해봐야지 이 정도가 정점이고, 어떻게 하면 이 정점까지 도달할 수 있을지 감이 잡힌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한창 <수국비>를 쓰던 와중에 제가 정리한 이론과 내용들을 듣던 영어 선생님께서 말씀하시던게, "너는 삼수 2년 동안 이 세상의 도를 터득하는구나. 그래 이 세상의 도가 어디 특별한 곳에 있느냐. 당장 수능 공부에도 있다"라고 하셨습니다. 지금 보니 그 의미를 더 명확히 알겠습니다.
제가 이후에 공부를 하는 밑바탕이 되고 빅데이터가 되는 근간이 바로 수능 공부를 깊이 해본 것이었습니다. 꼭 수능 공부일 필요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농구나 축구가 될 수도 있겠고, 요새 다양한 분야에서 1등을 하는 위인들이 많이 있지 않습니까. 뭘 하든지 깊이 있게, 빡세고 전문적으로 해보면 깨닫는 지혜가 있고, 그 지혜를 다른 분야를 공부할 때도 바로 쓸 수 있는 강력한 무기로 변신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이 글의 어미가 계속 '생각합니다' 라고 끝나는데요, 어디까지나 전 박사도 아니고 어깨 너머로 들어본 내용들을 정리하고 여러 교수님들의 말을 참고하였기 때문입니다. 나중에 제가 박사 따고 나서 이 글을 쓰레기 취급할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아무리 간단한 일이라도 정말 그 일을 진심으로 몰입하여 깊게 파보고 정점을 찍어보면, 분명 이 세상의 원리에 대해 깨닫는 중요한 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여러분도 지금 주어진 수능 공부를 마냥 부정적으로만 보지 말고, 한번 지혜를 향한 하나의 여정이라는 생각으로 부담 없이 시도하면서도, 할 때는 확실히 해보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조한창 김복형 정형식 김형두가 기각해서 그냥 기각될듯
-
산에 있어서 ㅅㅂ 다리아파
-
의외로 국어와 비슷한 점이 있다 다만 국어에서 독해하다보면 눈에 들어오는...
-
인용이냐 기각이냐 각하냐
-
07현역정시 설대 심심한 캬
-
설대 말고는 인설공 거의 다 미적기하 가산도 없는 걸 방금 전에 알게 됬는데,...
-
제가 9월에 자퇴해서 2차 검고만 볼 수 있어서 학원, 학교 응시 다...
-
얼버기 10
사실 구라고 학원알바가는중 오늘 하루 힘내봅시다
-
전교과기준 내신 3.8(2학년 2학기까지)이고 생기부는 평범한 편입니다. 마지노선...
-
사문 언제 떡락함?
-
응가 1. 명사 어린아이의 말로, 똥이나 똥을 누는 일을 이르는 말. 2. 감탄사 어린아이에게 똥을 누라는 뜻으로 내는 소리. 1
응가 1. 명사 어린아이의 말로, 똥이나 똥을 누는 일을 이르는 말. 2. 감탄사...
-
26 6 9 수능은 어떨까 2406만 해도 상상도 못한 쉬운 수학
-
현우진 확통 개정 시발점 완강했는데 좀 부족한거 같아서 실전개념 들을려그러는데 추천좀 해주세요
-
작수 12242이긴 한데 언매97 확통89 (둘다 턱걸이) 4합8 맞추려고 본거라...
-
하지만 등급컷표를 보고 물이라 해서 욺
-
‘그림과 같이‘는 왜곡 없이 그래프 준다는 얘기 아니었음? 16
올해 수특 삼각함수 문제인데 실제 그래프보다 좀 많이 왜곡되어있는데 ‘그림과...
-
국어 도식화 1
쉬운 지문은 그냥 잘 읽히는데 어려운 지문은 문장을 납득하는데 주의를 기울이다보니까...
-
한 달에 4번 쉬는 재수생임 보통 쉴때 운동,독서,산책해요 근데 내가 서울 가는걸...
-
헉!!!
-
안그러면 당신 이름으로 일베에 가입하겠습니다.
-
너만을 사랑하고 있다는 걸들어줄 사람도 없이 빗속으로 흩어지네너의 이름을...
-
왤케 하나하나 다 좆같냐 갑자기
-
독재학원에서 한달정도 공부중이고 그전까지도 집앞 독서실에서 공부를 해왔었어요 근데...
-
명제 다보탑은 경주에 있다 명제 다보탑이 경주에 있을 수도 있다 두 명제는...
-
이상형 발견
-
보통 수능준비하시는 1년동안 수학엔제 얼마나 푸시는거같나요??? 4
얼마정도 푸시는거같나요???
-
문제를 정확하게 풀면서 피지컬 늘리기 6월 모평 이후에 문제 양치기 하기 어떻게 생각함?
-
가끔 지피티가 지브리로 변환을 못 하겠다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feat. 도긩이) 2
그때 지피티한테 "그럼 이 사진을 지브리 느낌/스타일로 만들려면 어떤 프롬프트가...
-
N수땜에 메가패스 사려고 며칠 뛰려하는데 알바몬에서 신청하면 될까요? 많이...
-
뭐가 다른거임? 쎈 대수 미적1 사도 됨?
-
좋은 선택일까요? 재슈생이어서 시간은 많습니다.
-
진짜 존예노
-
작수 미적 3틀 84점이었던 반수생입니다. 제가 그래도 공통은 나름 자신있는데,...
-
제가 6모때 21221 9모때 11211를 받고 작수에 미끄러져서 31222를...
-
도전VS포기 다른과고 어디에 출몰하는지 암
-
넹
-
빤쮸 샀는데 5
되게 만족스럽네
-
오랜만입니다 11
어제 너무 아파서 거의 하루 오르비에 못들어왔네요
-
오르비에서 딴글은 안쓰고 맨날 정치뉴스 꾸역꾸역 가져오면서 그와중에 자기딴엔...
-
기출 셤지 돌려보면 높4정도 나오는데 어떤 방식으로 공부하는게 제일 좋을까요..?...
-
재수생 사탐런 2
연고대 공대노리는 재수생입니다.세지 지1 조합하다가 지구버리고 사탐런 하려는데...
-
하
-
설수의 5
1등은 그렇고 2등으로 입학해주마
-
다양한 수식어를 잘못 사용하게 되면 수식어가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문장요소...
-
진짜 인생 개꿀빨면서 지랄하네
-
잇올 빌보드 2
더럽게 안올라오네 15일 지났는데 뭐하는것들이지
-
건양대 의대에 가고 싶은데 건양의처럼 백분위 의대고 미기 가산점이 없는 대학만...
-
2028학년도 동국대 모집단위별 전공 관련 교과 영역 0
2028학년도 동국대 모집단위별 전공 관련 교.. : 네이버블로그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