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살이 생각하는 부자가 되는 방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831354
"서민들 삥듣기" 또는 "쌉부자들에게 떨어지는 콩깍지 먹기"
이게 부자가 되는 직접적인 방법인것 같음.
이런 방식으로 돈 안벌고 부자된 사람들 못봄.
넷상에 떠도는 뭐 "자기 개발을 해라, 자신의 좋아하는 분야에서 1등을 찍어라~" 등등은. 위에 2개를 하기 위한 발판/도우미에 불과한것 같음.
결국은 위에 2개를 해서 부자가 되는듯.
22살 의 식견임. 반박시 님말이 맞을수도 있고 틀릴수도 있고ㅇㅇ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푼 순서 언독문 언매 수월하게 풀림( 35가 그나마 어려웠고 36은 소거법으로 개...
첫문장에서 1번은 동의
서민들 삥뜯기=사기치기=>사기의 젤 최고봉 사이비교주되기
꼭 사기가 사이비 교주같이 돈뜯는 사람들만 사기꾼일까여? 재료값 50원짜리 커피를 4500원에 파는 자영업자, 법률 상담할때마다 20만원씩 받는 변호사. 이런건 사기가 아닐까요?? 겉모습만 다르지 비슷한 상황이라 봅니다
자영업자는 파산리스크가 엄청나게 큰 하이리스크이고 매몰비용이 높기때문에 뭐 그정도 가져가는건 괜찮다고 봅니다 식당 알바 햇었는데 월 매출 5천 찍고 2천씩 가져가는 사장님 보면서 부럽기도 했지만 하루종일 매장관리하고 운영하는게 여간 쉬운게 아닐뿐더러 망했을 때 리스크가.. 장난아닙니다. 그렇게 쉬운거면 다 자영업했겟죠...? 실제로 저는 백화점 알바였는데 백화점 밖에 가게들은 영업안되어서 난리인 곳이 다수였어요
변호사 의사이런 직종은 전문직이니까 자격증 딴 사람들의 이권이고요
두가지 경우는 사기는 아니라 봅니다
그런것만 하이리스크인가요? 우리가 선택하는 대학, 전공, 이런것도 다 하이리스크죠? 우리의 선택에 따라 인생이 달라지는데?
파산리스크요 투자해서 파산했을때 하방이 말도안되게 낮잖아요 그리고 애초에 대학 전공이 왜 하이리스크인지..? 잘..모르겠네요...?
파산리스크... 우리가 하는 모든 선택이 다 파산리스크가 존재해요.
예를 들어 직장인이 퇴사를 할때도. 다른 회사에 취직을 할 수 있을지 보장이 안되죠?
이것도 파산리스크에 해당이 되겠죠?
퇴사하고 이직할때 이직한 회사가 "파산리스크 감당했으니 월급 더줄께~"
이러나요?
돈을 많이 버는거의 핵심은. 파산리스크/지식의 차이. 이런게 아닙니다.
자신이 한 일의 가치에 비해 필요이상의 돈을 받으면 그것이 부자가 되는길이죠.
연예인이나 운동 선수로 성공하기
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