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질문있는데 알려주실 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715221
글루카곤과 인슐린 조절의 중추는 이자가 아닌 간뇌이고 신경절 이전 신경세포체는 교감신경의 경우 척수 부교감신경일 경우 연수에 있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체온조절의 경우 중추는 간뇌로 알고있는데 이 때 교감신경의 신경절 이전 신경세포체는 척수에 있다고 알고있습니다.
개념을 옳게 알고 있는 것 맞겠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아 수능이 다가온다
-
공대가지마라 5
4(6)년 뒤에 주3회씩 아이큐테스트 치고 하루에 30분씩 허공에다대고...
-
27번 2번 선지에 대해 의문 가지셨던 분들 있을까요?? 앞절이 틀렸다는게 납득이...
-
이거 교재만 사고 강좌는 또 따로사야하나요?????? 패스는없어요
-
물리원툴 ㄹㅊㄱ
-
11시 반!!
-
하..
-
안그러면 뒤질때 너무 쓸쓸할거같다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고2 기준 2등급이고 워마 basic , 수능 2000 땐 상태에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현우진 시발점 3
현 고2 이고 시발점 지금 15개정 책 있는데 이번에 나온 개정판 수1...
-
어지러워 6
아으 동동다리
-
물2는 최악의 선택이다 14
물1이 재미없어지게 되기 때문에
-
맥주가 땡기는군 1
-
15: 평가원은 도형을 이렇게 어렵게 내지 않으므로 정답처리 21: 수능때는...
-
진화를 대충 돌연변이와 적자생존으로 알고있는데 돌연변이는 왜생기며 적자생존은 왜생기나요
-
2024년 9월 4주차 韓日美全 음악 차트 TOP10 (+9월 3주차 주간VOCAL Character 랭킹) 4
2024년 9월 3주차 차트: https://orbi.kr/00069333019...
글루카곤, 인슐린과 같은 호르몬 분비 및 자율신경조절의 중추는 간뇌, 특히 시상하부입니다.
혈당량 조절도 마찬가지로 중추는 간뇌 시상하부입니다.
크게 혈당량 조절은 아래와 같이 이뤄질 수 있습니다.
1. 시상하부가 감지하여 자율신경에 의한 조절
부교감->이자b세포->인슐린
교감->이자a세포->글루카곤
교감->부신속질->에피네프린
2.시상하부가 감지하여 호르몬에 의한 조절
뇌하수체 전엽->부신겉질->코티솔
뇌하수체 전엽->성장호르몬, 티록신자극호르몬 등
3.이자가 직접 혈당량변화 감지
이자샘이 직접 혈당량변화를 감지하고,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항상 자율신경계의 조절을 받는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혈당량 조절의 중추가 간뇌이냐? 라고 묻는 것은 의견이 분분할 수 있으므로 수능에 나오지 않을 것 같습니다.
다만, 호르몬분비와 자율신경조절의 중추를 묻는다면, 예외를 제외하고 통상적으로 간뇌의 시상하부라고 답하면 될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