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셀/한세훈T] 딱 5분만! 최소 1등급은 올리는 수능영어 독해의 기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702027
안녕하세요.
러셀에서 수능영어를 가르치는
한세훈 강사입니다.
현장에 출강하면
수험생들의 무수히 많은
학습 고민과 마주하게 됩니다.
가령,
'빈/순/삽이 약해요'라든가
'글이 튕겨요'가 대표적인
것들인데요.
단어도 열심히 외우고, 해석 연습도 열심히 했는데 ...
왜 내 독해력은 그대로일까?
본격적인 얘기를 시작하기에 앞서
간단한 퀴즈로
서두를 시작하겠습니다.
<퀴즈 1번>
위 두 문제의
적절한 답이 뭘지 선택해 보겠습니다.
정답으로 뭘 고르셨나요?
(아마 답 결정에 여러 이견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럼 퀴즈에 대한 얘기는
잠깐 뒤로 미루도록 하고
본래 주제인
수험생들이 독해를 못하는 이유부터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독해를 못하는 이유 =
Text(글자) 그대로 주구장창 읽기만 하니까
네, 수험생들이
독해를 못하는 이유는 바로
보이는 문장 그대로
"해석만 하려고 해서"입니다.
그런데 이마저도
완벽한 해석이 될리 만무하므로
"아 내가 해석이 부족해서,
아 내가 단어가 부족해서
독해가 안되는구나"
라고 모든 원인을
단어와 해석 탓으로만 귀결합니다.
"어이가 없다"는 표현은
앞에 잘해서가 붙으면
칭찬이 되지만
앞에 너무 못해서가 붙으면
비난의 표현이 됩니다.
그렇다면
수능독해의 핵심은
'어이없다'의 의미를 알고 모르고라기보단
잘해서와 "어이가 없다"의 관계,
또는 너무 못해서와 "어이가 없다"의 관계를
파악/연결해서 맥락 전체를 이해하는데 있습니다.
그런데도 학생들은
"어이의 뜻을 몰라서 틀렸구나"라고 생각하고
단어만 정리하고 넘어가니까
독해를 못하는 겁니다.
다시
<퀴즈 2번>
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이번에는 어떤가요?
왼쪽 단어를 '어떻게' 읽을지,
오른쪽 그림에서 '방어하는 사람이 누구일지'를
답하는데
단 하나의 이견이
있을수 있을까요?
B를 13으로 읽지 않기 위해서는
A, C라는 맥락을,
'방어하는 쪽이 누군지'를 알기 위해서는
'주변 상황'을
함께 연결해서 보는 것이
평가원이 평가하는 '문맥, 즉 독해력'입니다.
이제
2024학년도(23년 시행)
수능영어 20번 문항에 적용해보겠습니다.
위 문장은 20번 지문(주장문 찾기)의
주제와 직결되는 문장입니다.
(쉬운 유형이라 자만하지 말고 따라가 봅시다)
위 문장을 토대로
지문 바로 아래의 선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선지를 골라볼게요.
고르셨나요?
답이 잘 안보이셨다면
바로 앞 문장을 함께 보여드리겠습니다.
이번에는 어떤가요?
"특정 행동을 시각적으로 표현해 놓은 것(앞 문장)"을
"특정 플레이를 담고 있는 플레이북" 그리고
"핵심적인 변화를 담은 플레이북"과
연결해서 본다면,
'플레이북이 특정 행동의 시각적 표현을 비유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선지에서 답이 보일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번에는
더 앞 문장까지 보여드리겠습니다.
어떤가요?
"기대되는 것에 대한 명확하고 간결한 설명(더 앞문장)"을
"특정 행동을 시각적으로 표현해 놓은 것(앞 문장)" 그리고
"특정 플레이를 담고 있는 플레이북" ,
"핵심적인 변화를 담은 플레이북"과
모두 연결해서 본다면,
'특정 행동을 명확하게 간결하게 설명한 것이
바로 시각적인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행동의 공유를 위한 명확한 지침(선지)"을
말하는 '5번'!임을 알 수 있죠.
위 단계를 거꾸로 하면
우리가 해야하는 독해의 방향성이
더욱 명확해집니다.
수능독해의 핵심 = 문맥(독해력) = 정보의 연결
이제 "독해를 어떻게 하면 잘할수 있는지" 아셨나요?
위처럼 정보의 연결만 제대로 해낼 수 있다면
저 지문의 밑줄 중 하나를 빈칸 뚫으면 빈칸추론,
단어 하나의 쓰임이 적절한지를 묻는다면 어휘추론이
되는 겁니다.
많이 떨릴텐데
우리 고3 학생들
학평 최선을 다해 치르고 오시길 바랍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노벨상지린다 3
서울대 일해라 이게 연세대다!!
-
본인피셜 ㄷㄷ
-
힙찔이 오노추 0
Ugly-bubha sparxxx(가수이름 정확X) Shake that -...
-
[서울교육감 여론조사]정근식 31.1%, 조전혁 30.2%...0.9%p차 4
뉴스피릿, 에브리뉴스 공동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주)에브리리서치에서 10월...
-
채식주의자를 읽은 내가 문득 새삼 대단하게 느껴지네..
-
연대생은 아닌데 연뽕 지린다 김대중 이후 24년만의 노벨상임노벨상 배출대학 한강의...
-
상상 바탐 이감 한수 더프 이 중 한군데에서는 한번이라도 수록함
-
의대생이 생각하는 공부에서 중요한데 은근히 간과하는 것들 0
우리나라에서 고등학생이면 다들 공부를 합니다. 다만 많은 학생들이 그 과정에서...
-
반장하니까 1
후보없다고 쌤이 성실하다면서 강제로 시켰는데 부반장선거까지가서 2등으로 떨어진거...
-
하아..
-
문학 기출에서 옳지않는걸 고르는 문제를 푸는데 만약 2번선지에서 “쓰읍 이거같은데...
-
JSA도 시기상 나온거 보면 충분히 가능성있음
-
안녕하세요. 저희는 메이저 3개 회사 모의고사 개발에 참여한 (아마도 유일한) 문항...
-
(가)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선지 3 : 1918년까지 조선...
-
열등감 베이스로한 농담들도 사실 마음에 안듦 너는 운동하지마라, 쟤꼬삼이어야함,...
-
강K 사문 4
어려운거 맞나욤? 40점대 초반에서 올라가질 않아요 ㅠㅜ
-
그 손가락 2
심-멘 숭배해야해..❤️
-
한강 작품 나올 가능성 있나?
-
꺼ㅓㅓㅓㅓ억 0
미장에서 마이너스 치는거 국장으로 복구중 보통 국장에서 잃고 미장에서 복구하는데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