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리쌤과 함께한 두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677731





김승리 선생님과 함께한 두 달
수능에서 모든 과목이 다 중요하지만 그중에서 국어는 수능 날 전반적인 흐름을 좌우하여서 대부분의 수험생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곤 합니다. 특히 수능을 한번 봐 본 N수생들의 경우에는 더욱더 몸에 와 닿을 겁니다. 그렇기에 작년 수능에 이어 다시 한번 수능을 보기로 마음을 먹고 가장 먼저 올해에는 국어를 제대로 해보고자 계획을 하였으나 국어라는 과목의 특성상 어디서부터 공부해야 할지 어떻게 해야 할 지 감을 잡을 수가 없어서 여러 명의 국어 강사님들 중 김승리 선생님을 선택하여 대략 두 달간 들어왔고 그 과정에서 느낀 점과 김승리 선생님을 추천하는 이유를 적고자 이렇게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개인적으로 국어는 인터넷 강의가 필요 없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렇기에 수험생활을 하면서 국어 인터넷 강의를 진득하게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그냥 문제를 풀고 지문을 분석하고 이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고 생각하고 EBS와 평가원 기출만 반복하여 보았습니다. 하지만 국어 시험이 단순히 지문의 이해만을 요구하는 것이 아닌 제한된 시간 안에 문제를 푸는 요령도 요구한다는 것을 작년 수능을 통하여 느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국어 인터넷 강의를 제대로 들어보자고 생각하고 ALL OF KICE (독서,문학) OF KICE origin을 지난겨울 동안 끝냈습니다.
이렇게 짧다고 하면 짧고 길다고 하면 길다고 생각할 수 있는 3개 강의를 통하여 생각보다 많은 것을 얻었던 것 같습니다. 예전에 국어 인터넷 강의를 들었을 때는 단순하게 책을 읽어주는 느낌만 받았는데 ALL OF KICE를 들으면서 생각보다 문장 하나하나에서 해야 하는 생각들이 많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이렇게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고 문단과 문단을 연결하면서 해야 하는 생각의 부재가 지문을 다 읽고도 지문과 문제를 왔다 갔다 하게 만들었고 이러한 행동들이 국어 시험을 보면 항상 시간의 부족에 허덕이게 했던 것 같습니다. 더군다나 모의고사 형식의 시험을 자주 보지 않고 단일 지문만 보면서 지문을 읽고 문제를 풀 다 보니 시간의 압박 속에서는 어떻게 문제를 풀어야 할지 지문을 바라보아야 하는지에 너무나도 취약하였는데 all of KICE를 통하여 선지를 바라보는 관점과 지문과 문제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알게 되어 빠르게 풀어야 할 문제들을 어떻게 처리하고 어떤 식의 생각을 해야 하는지 깨닫게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다 이해하였다고 생각했던 지문도 김승리 선생님의 강의를 듣고 나니 제대로 이해한 것이 아니구나라고 느꼈고 특히 문학에서는 지금까지 잘 못 이해하고 지나간 것들이 많았다는 것을 깨닳았습니다.기출 분석 과정에서 틀리지 않았던 문제도 김승리 선생님이 이렇게 생각했으면 언젠가는 큰일난다라고 하는 것들이 많았음을 강의를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그리고 김승리 선생님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지문마다 일관된 사고 과정으로 문제를 풀고 이러한 사고의 과정이 엮어 읽기와 매월 승리의 해설지에도 그대로 녹아있어 김승리 선생님의 생각하는 과정을 여러번 반복할 수 있어 체화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김승리 선생님의 강의가 다른 선생님들의 비해 길고 강좌수도 많아서 걱정하시는 분들이 꽤나 있는데 저도 처음 all of KICE를 들을 때에는 강의 시간이 전반적으로 길고 강좌 수도 많다고 느껴서 국어에 너무 많은 시간이 빼앗기는 것이 아닌가 생각하였는데 모든 지문을 분석하고 상세한 설명을 하느라 시간이 긴 것이라 강의를 들으며 걱정이 기우였다고 느꼈습니다. 또한 별다른 농담이나 재미를 추구하시지는 않는 것 같지만 이상하게 강의에 몰입이 되어서 국어 인터넷 강의를 듣는 시간이 즐거웠고 국어라는 과목 자체를 가장 싫어했었는데 이제는 국어 공부가 모든 과목 중 가장 재미있는 것이 되었습니다.
All of KICE를 모두 마치고 test is rhythm으로 들어간 지금 이제는 작년에 국어 모의고사를 풀 때와는 다르게 국어 문제를 푸는 요령이 생겨서 이해되지 않고 문제 풀이에 어려움이 느낄 때도 이전과는 다르게 흐름이 끊어지지 않고 시간 내에 문제를 다 풀게 되었습니다.
국어라는 과목 특성상 왕도가 없고 쉽지 않다고 느꼈고 수능에서 국어의 벽을 경험하였습니다. 하지만 체계적인 학습과 올바른 방향이라면 수능 국어 1등급 아니 만점까지도 가능하지 않을까?하는 용기가 생겼습니다. 국어 공부의 방향을 잡지 못하겠다면 all of KICE강력히 추천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 수능에서 국어 1등급 받고 원하는 대학 진학 기원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는 전례가 작년 3모 우활가 말고 없음
-
서울, 경기 소재 중견/대기업 70%쯤 강제선발해서 보조금 쥐여주고 지방으로...
-
서울8대학교 재학 중인데 서울10대학교로 옮기고 싶어요
-
언매 1컷 알려주세염 ㅠㅠ 2026 강k 3회
-
정부 기관들 다 지방으로 내려보내고 싹다 지역인재(대학기준) 전형으로 해서 공기업...
-
이감시즌3 4회 독문언 ㄷㄱㅈ
-
수능에서하나틀리고설의를가고싶구나..
-
어차피 가망없는 소도시들은 걍 버리고 부산 광주 대구 등 몰빵 지원이 낫지않나 싶을...
-
3-2 선택과목입니다 파란색은 5단계 절대평가 노란색은 3단계 절대평가 나머진 상대평가에요
-
시험 끝났기 때문에 오늘 밤에 메이플을 할 거임
-
개천재적발상
-
중앙대는요
-
아님말고
-
니부어 강제력 그 자체는 악이다 난도: 쉬움
-
비판,피드백 의미없어요 오직 무조건적인 사랑만이 답이에요 계속 당신을 바라보면...
-
하루종일 국민만 생각하는 미친놈..
-
한국 교육정책에서 대학서열의 존재가 볼트모트라 공적 영역에선 아무도 입결을...
-
난이도: 중 풀면 500덕코 풀어본뒤 혹시 모를 오류가 있거나 문제 퀄이 어떤지...
-
2025는 너 코사인 사인 쓸줄아니? 이거 묻는거고 이건 너 원과 현 이용해서...
-
그냥 지방대에 지원을 서울대만큼 해주겠다 이거 아니었나요? 왜 졸업장이 똑같이나오고...
-
이재명 아들 둘다 고대나옴
-
숏컷 풀말 0
작년에 7권 다 풀엇어서 재탕 심하면 그냥 번장할 생각임
-
차라리 나았을거같은데 좆만한나라에 10개는 ㅋㅋㅋ
-
토론 때 정시 반대 근거로 서울대를 들려고 하는데 정시 싫어하는 증거 있나요?
-
지 자식 아니니깐 걍 지들 좇대로 하는거여
-
기만 하나 함 2
기억 둘 함
-
메디키넷 첫경험 6
성능 테스트하러 갑니다
-
근데 반대로 7
그냥 적당히 해서 지거국 가도 만족할 성격이었으면 솔직히 적극찬성할듯...
-
제대로 바꾸면 다 같은 학교네? 경상 - 서울 - 제주
-
이거 나오면 몇번 수준인거같음
-
아니면 설의가 연카울성 다음으로 밀려나냐?
-
할게 하나도없음..
-
저메추좀
-
싫어
-
꼬우면 영어 감점 덜하던가
-
벼락치기 가성비 ㅆㅅㅌㅊ
-
해외나가서 뭐라고 말함? 리퍼블릭오브코리아대학교? 고려대랑 명칭 겹치지않나
-
위탁빠지면 등급 애매한데..ㅜㅠㅠ
-
롤할 사람 7
아무 모드나 다 조아요 댓글 달아죠
-
여기 나름 로컬인데
-
높3~낮2 4규+엔티켓 하고 왔는데 좀 어려운데 이게 맞아요?
-
지역인재 메디컬 걍 한국에서 근무할거면 10년정도 의무 주면좋겠음 1
난 내 고향 좋은데 여기 눌러살의향있음 이제 메디컬만 보내줘라ㅠㅠ
-
설대 2
영어 2만 맞아도 거의 타격이 없나요? 신기하네...근데 이렇다고 유기하면 엿될거같음
-
학생들의 마음가짐이 다르네
-
서울대 포기하고 중앙대 가서 저러는듯 학벌에 열등감이 있을 줄이야
-
영어가 안돼 0
해석했는데 해석한 내용을 이해 못하겠으면 어캄요...? 평가원 지문 점점 난도...
올오카 좋긴 한데 강의듣는 시간 좀 아깝긴함 몬가몬가 ㅋㅋ
솔직히 저도 본문에 쓴 것 처럼 강의수랑 시간보고 놀라긴 했어요 ㅋㅋ 그래도 강의 내용이 좋고 밀도가 높아서 시간 낭비로 느껴지지는 않더라구요.
몇배속로들으셧어요?
전 1.5배속으로 들었습니다.김승리 쌤도 강의 중에 본인이 말이 빠른데 1.7배,1.8배 이런건 별로 권하지 않는다고 하시더라구요.
김승리 언매가 ㄹㅇ 고트인데
언매 할 시간이 없어서 화작 ㅠㅠ 수학이랑 탐구만 아니면 언매할텐데 시간이 너무 부족하네요.언매 자체가 탐구 하나 더 하는 급이라 들어서..

대 승 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