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만 하나 함 1
기억 둘 함
-
메디키넷 첫경험 2
성능 테스트하러 갑니다
-
근데 반대로 0
그냥 적당히 해서 지거국 가도 만족할 성격이었으면 솔직히 적극찬성할듯...
-
제대로 바꾸면 다 같은 학교네? 경상 - 서울 - 제주
-
이거 나오면 몇번 수준인거같음
-
아니면 설의가 연카울성 다음으로 밀려나냐?
-
이왜진
-
할게 하나도없음..
-
하위 1퍼센트
-
저메추좀
-
이젠 별 감흥도 없네 하시던가...마시던가...
-
싫어
-
꼬우면 영어 감점 덜하던가
-
벼락치기 가성비 ㅆㅅㅌㅊ
-
해외나가서 뭐라고 말함? 리퍼블릭오브코리아대학교? 고려대랑 명칭 겹치지않나
-
위탁빠지면 등급 애매한데..ㅜㅠㅠ
-
롤할 사람 6
아무 모드나 다 조아요 댓글 달아죠
-
여기 나름 로컬인데
-
높3~낮2 4규+엔티켓 하고 왔는데 좀 어려운데 이게 맞아요?
-
지역인재 메디컬 걍 한국에서 근무할거면 10년정도 의무 주면좋겠음 1
난 내 고향 좋은데 여기 눌러살의향있음 이제 메디컬만 보내줘라ㅠㅠ
-
설대 1
영어 2만 맞아도 거의 타격이 없나요? 신기하네...근데 이렇다고 유기하면 엿될거같음
-
학생들의 마음가짐이 다르네
-
서울대 포기하고 중앙대 가서 저러는듯 학벌에 열등감이 있을 줄이야
-
영어가 안돼 0
해석했는데 해석한 내용을 이해 못하겠으면 어캄요...? 평가원 지문 점점 난도...
-
풀고있는데 기출변형이 많은것같은느낌이랄까??
-
시대컨 말고 미적분 8문제 모아둔 하프모고 다른거 있을까요
-
연대 미래캠 보셈 지잡대에 방패 달아주니까 입결 상승했잖아 지거국에 샤 달아주고...
-
??? : 지거국 대폭 지원 및 강화로 서울대 10개 만들겠습네다> 서울공화국인...
-
조x도 그렇고 “한국식 그랑제콜”도 생길거임 화내지 마셈 ;
-
집 앞 공원 멀쩡한 나무들 싹 뒤집어 엎더니 무슨 잡초들을 꽂아놨음
-
서울대나왓다카면 질문이나 의문이 들수잇을듯 지거국이에요 서울에잇는거에요? 이런식으로...
-
근데 이러고서 논란 일자 검토 중 아니면 취소 이러겠지 3
근들갑 ㄴㄴ 어차피 지들자식 서울대보내려 하는게 민주당원들이라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뭐가 좋은 거임? 애초에 인프라를 강화시키지도 않고 그냥 서울대 코스프레 하면 학생들이 가려나
-
경기도에서하지보통
-
씨발새끼네 진짜 1
누가 저 남자를 좀 죽여다오……
-
저는 학교만 서울에서 졸업하고 고향으로 내려와서 일하고 싶은데
-
이름 킥이긴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럴거면 한국대같은걸로 네이밍해야하는거아닌가
-
자금 등으로 연구역량, 시설강화는 가능하겠죠 하지만 많은 분들의 논점은 그게 아니란...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메디컬 지역인재 비율 잔뜩 높여서 지방 의료 부족 현상 해결? 현실은 졸업하고...
-
졸업장 완전히 똑같이 나온다는데 어케 타격이 없음..
-
도파민 줏되네 3
개깔쌈하게 푸는게 이런기분이구나.... 수잘들 이 조은걸 지들만 즐기고잇엇음...
-
설대 목표로 이번 수능 참전한건데 다 무의미해진거라고..??
-
https://orbi.kr/00073769163/%EC%83%9D%EC%9C%A4%...
-
지방에 일자리도 없고 인프라도 없으니까 안가려고하는거지 8
억지로 지거국 올리면 뭐 달라지나 다들 그래도 서울가고싶어할걸 어찌저찌 지거국가도...
방금 글에서 'to'를 왜 써야 하냐고, 어색하다고 질문하셨던데, 질문의 요지가
① 이 상황에서 왜 전치사 to를 써야 하는지 모르겠다
인가요? 아니면
② to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인가요? 어떤 부분에서 어색하다는 맥락인지 잘 모르겠네요. 해석이 어색하게 느껴진다는 건지, 의미상으로 어색하게 느껴진다는 건지..
to reading books는 전치사의 형용사적 용법으로 사용되어 앞에 있는 명사구 'additional advantages'를 꾸며주고 있고, 전치사구 in English 역시 형용사적 용법으로 사용되어 앞에 있는 명사 books를 꾸며주고 있습니다.
+ 추가로 There be 구문에 대해 좀 더 남겨드리면..
원래 문장은 Additional advantages to reading books in English are there.였습니다.
이때 '부사'를 문장의 맨 앞으로 이동시키면 주어와 동사의 위치가 바뀐다는 도치 규칙이 있습니다.
따라서 부사 there을 문장의 맨 앞으로 위치시킨 결과, 주어(Additional ~ English)와 동사(are)의 위치가 바뀌게 되므로 다음과 같이 형태가 변합니다.
There are additional advantages to reading books in English.
이때 'S + be + there' 구조에서 부사 there을 문장의 맨 앞으로 이동시켜 'There + be + S' 구조가 되면 there의 기존 의미인 '거기에'가 사라지고 '~가 있다'라는 관용적인 의미의 구문(구조)이 됩니다. 이게 흔히 말하는 '대얼비(There be) 구문'입니다.
해당 예문은 There be + S 구문이 사용되었고, 주어를 꾸며주는 전치사구, 그리고 전치사의 목적어(books)를 꾸며주는 또다른 전치사구(in English)가 붙은 구조입니다.
결국 이런 문법설명이나 구조분석을 제대로 행하고 이해하려면 그 밑에 있는 개념부터 다시 쌓아 올라올 수밖에 없습니다.
가령, 전치사를 이해하려면 전치사 이전에 형용사와 부사의 정의를 먼저 바르게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처럼 말입니다.

음 둘다인거같아요어떤 문법적 원리로 to가 사용되는지도 궁금했었고
읽어봤을때 어색하다는게 문장이 이해는 되는데 해석이 매끄럽게 되지 않는 경우라서..
설명 감사합니다 이런저런 용법으로 어떻게 쓰이고 하는건 계속 헷갈리는거같네요..
제 교재의 내용 중 일부를 인용하여 읽어보실 만한 부분을 올려드리니, 한번 설명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전치사 to의 용법 중 '관계나 연관성'을 나타내는 용법이 있습니다. 이때는 'additional advantages'와 'reading books in English'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내고 싶어 전치사 to를 사용한 겁니다. 추가적인 이점은 이점인데, 무엇과 관련된 추가적인 이점인지 나타내고 싶었던 것이지요. (이때 '무엇 = 영어로 된 책을 읽는 것')
다만, 결국 해당 이미지의 내용을 이해하려면 그 밑에 개념부터 다시 차근차근 다져올라가야 하는 만큼 제대로 이해하실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ㅜ.
구문독해라는게 원래 그런 겁니다. 밑이 빠진 채로 계속 위에 뭘 부어봤자 계속 무너지기 쉽습니다. 사실 영어도 구문독해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수학과 별 차이가 없습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질문하신 문장의 해석은
There are additional advantages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reading books 책을 읽는 것에 대한
in English 영어로 된
위와 같습니다. 이상입니다.

오 추가설명까지저거도 헷갈렸는데 어떻게아시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