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1 질문드립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65860

ㄱ보기 영희가 볼때 우주선의 시간이 느리게 가니까 철수가 측정했을때보다 영희가 측정했을때 빛이 도달하는데 더 오래걸린다고 생각했는데 답지에는 우주선이 이동하는동안 빛이 이동해야하는 거리가 줄어듦으로(우주선이 빛을 마중나오므로) 철수측정시간이 더 길다는데요, 제가 앞에서 말한 제 사고과정(영희가 볼때 우주선의 시간이 느리게가므로 영희의 측정 시간이 더 클것이다)은 왜 틀린건가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제가 올해 지구과학2를 했는데 백분위가 올해 폭망이라서...... 내년에 한국사가...
비교대상은 철수가 측정한 시간이지 영희가 봤을때 철수가 가진 시계가 흐르는 시간이 아니니까요 ㅎㅎ
1번인가요?
시간팽창을 적용하려면 동일지점에서 일어난 사건을 가지고 적용해야 합니다. 빛이 A로 갔다가 다시 광원으로 되돌아오는 시간은 철수가 측정한 시간보다 영희가 측정한 시간이 더 오래걸리는 것이 맞지만, A로 가는 사건은 시간 팽창이 아니라 빛의 속력이 관측자에 상관없이 일정하다는 것을 이용하여 풀어야 합니다. 광원에서 출발한 빛이 A에 도달하는데 영희는 A가 앞으로 진행하므로 더 짧은 거리를 가기 때문에 시간이 더 적게 걸리져.. 하지만 B로 갈때는 B가 도망가니 영희의 시간이 더 많이 걸리는 겁니다. ^^
사실 B로 갈때를 오해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영희가 볼때는 빛이 비스듬이 앞으로 가는 것으로 보여 더 많이 진행하므로 이것도 철수보다 더 오래 걸립니다.
저 혹시 ㄴ 설명해주실수 있으신가요?ㅠㅠ
아래 댓글 참고
아 댓글 밑에서 4째줄은 c에 대한 설명인데 오타 죄송요~
감사합니다 ㅎ
빛의 속력은 관측자에 상관없이 동일해요 ^^~ 신기하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