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분 안 배우고 대학 들어왔는데 이게 무슨 말인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616223
함수가 불연속인데 그 함수가 연속이 되도록 정의하라고요..? 무슨 말인가요 이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황금손] 끝까지 자신을 믿는 사람이 승리합니다. 113
이제 D-40입니다. 지금부터 정신줄을 제대로 잡고 있으신 분이 수능 볼 때 최대의...
불연속인 지점에서 함숫값의 극한값이 존재하는지를 물어보는 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머지 진짜
불연속점에서의 극한값이 존재한다면 그 지점에서만 정의를 다르게 해서 연속으로 만들 수 있죠(그 점에서만 극한값이 되도록 정의하면 됩니다.)
아까 올린 글에서도 도움 주셨던 분이시죠, 이번에도 감사합니다.. 그러니까 극한값이 존재하는지를 묻는 건가요?
사실상 같은 말이라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x^2-1)/(x-1)이라는 함수가 있으면
x=1에서만 2라는 함숫값을 주면 연속함수가 되죠. 그걸 말하는 것 같습니다.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미적분을 제대로 배워본 적이 없는게 대학에 와서 상당히 걸림돌이 되는군요.. 덕분에 과제 마칠 수 있을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예를들면 1번 저함수는 x-1/(x-1)(x-2)니까
X=1 x=2에서 정의가 안되어서 불연속이죠
그런데 x-1은 약분되므로 1로의 극한은 수렴하죠 -1로 그러니 x=1에서만 따로 -1이라고 정의하면 됩니다 근데 x=2는 극한도 수렴을 안해요 그래서 x=2에서는 연속이 되도록 정의할 수 없겠죠
아마 이런거일듯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