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부 확률과 곱사건은 어떻게 구별하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548706

어떨 때 곱사건을 쓰고 어떨 때는 조건부확률을 쓰는데 구별하는 방법이 뭘까요?
이문제는 왜 곱사건인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와 체대 때도 따로 빠져서 공부하는 애 있네 ㅎㄷㄷ 0
물론 시험기간이랑 겹쳐버리긴 했는데 좀 대단하네
-
입학한 사람들 ㄹㅇ 개조졌네 한 18? ~ 21? 쯤 학번들 챗지피티 이후에 입학한...
-
유튜버님이랑 무관하게 노베가 7개월 만에 경희대 가능합니다 1
제가 가르쳐서 그렇게 된 건 아니지만 Liam님이 노베에서 2달 만에 국어 백100나오는 거 보면요
-
메디컬 지1지2 할지 사탐할 지 갑자기 심히 고민되네요 1
의대증원도 취소된다고 하니 과탐으로 밀고가는게 더 힘들어진건지 그럼 사탐으로 돌려서...
-
대각 합 180도 활용해서 삼각함수 변환하고 코사인법칙 쓰면 풀리는듯
-
그건 바로 저였구요 ㅎㅎ 오르비에 온 지 넉 달이 다 되어가네요 제 칼럼 읽어주시는...
-
1.돈의 가치가 낮고 and 물가가 낮다 부정형은 2.돈의 가치가 높다 or 물가가...
-
4덮 경제 뭐임 0
서바급인데 3모 10분컷 50점 3덮 45점인데 4덮 - 1장 간신히 풂ㅋ
-
“‘학생은 왕’ 여기며 학교를 놀이판으로… 내가 더 설레더라”[데스크가 만난 사람] 2
이길여 가천대 총장이 경기 성남시 본교 교정의 광장에 자리한 학교 상징 캐릭터...
-
아예 사실과 추론적 사고를 묶어서 성취기준으로 밝힘 0
내용파악(사실적) + 추론적 사고가 엮여있는걸 보니 사실과 추론을 나눠서 생각하지 말라는 뜻인듯
-
한의대가 가고싶어져서 나이 먹고 다시 도전하려고 하는데 확통 사탐이 맞는지 미적...
-
갈때가 얼마 안남은것 같은 느낌임
-
44?
-
이명은 "슈퍼맥스급 고시감옥"
-
와서 내일 과외 두 개 준비
-
어제 30분박고 못풀었던게 5분컷이나네 뭔 생각하고 푼거냐ㅜ어제 ㅋㅋ
-
금풀강 0
으흐흐
-
큐브 풍년이네 1
너무 좋다
-
"식당서 물고 빨고, 눈치 줬더니 화장실로…문 부서질 정도 애정행각" 4
(서울=뉴스1) 소봄이 기자 = 공공장소인 식당에서 중년 남녀가 진한 애정 행각을...
-
서버 터졌나
-
열품타 왜이럼 0
와이파이 잡혀있는데 서버연결 실패했다고하네
-
레버기 0
부지런행
-
다이어트 1일차 2
ㅇ
-
처음에 어떤 직원이 100만원주고 어떤 회사의 물품을 샀다 그 회사는 반을 저축하고...
-
군대 가기 싫어지네
-
혹시 개별 문제 난이도는 좀 올라갔다고 느끼시나요? 수학 못하는 허수라 잘 모르겠어요..
-
근데 수업시간 이슈로 40분/40분 나눠서 풀듯
-
피곤함이 온 몸을 감싸고 도네..
-
족같다 하
-
병원 가봐야하나 하루이틀이아닌데 침대 맨날 축축하게 다 젖음
-
사문이랑 화학 시작하면 되나요?
-
원래 물1지1이었다가 25수능보고 생1지1으로 바꿈 생1은 아직 유전부분 개념도...
-
4덮 미적 92 2
무보정 1뜨나요..?
-
83점인줄.. 0
81점 이였노 시발
-
5시간 자다가 7시간 자니까 정신이 말똥함
-
토막 글귀4 0
산문시 같은 느낌이 있습니다
-
국어: 90점 독서 2개 문학 2개 가나형 7번 경제 11번 문학 3점 두 개 국어...
-
오늘의 아침밥 2
음역시맛있군
-
삼페 등록 안했는데 점심 어떻게 먹죠...... 계좌이체도 받아주시려나........
-
수학 예시문항 현 미적분과정 문제들 뭔지 좀 알려줄수있음? 4
기하하는데 현 공통과정만 풀려고 겉보기로는 구별 안되서
-
문항공모는 하던데..
-
진짜 개빡치네
-
일물 물2 질문 0
이거 가속도 계산할 때 관성모멘트 안 쓰고 하는 법 있을까뇨?ㅠㅠ 이채연 4덮
-
https://orbi.kr/00072866211 투표 결과가 별로면 명품 얘기 좀 줄이겠습니다
-
재수생까지 해서 20만명 예정이라는데 작년 꿀 영향보고 오는 것 같아서 상위권 표본...
-
길 웰케 막히지 0
진짜 좀만 늦게 출발했어도 늦을 뻔
-
4덮 언미영생지 72 85 100 42 33
때라고 해서 다 조건부 확률인게 아니고
어떤 표본공간이 주어진 후
"때"가 붙어있는 조건ㄴ절이 그 표본공간의 부분집합일 때 조건부임
저건 그냥 공 한개를 꺼내는 표본공간을 준것
공을 꺼내는 표본공간 안에 검은 공을 뽑는 사건도 들어가 있는 거 아닌가요?
저거 답 몇번
3
긍까 그냥 b 주머니를 택할 확률이 1/2
b주머니에서 겈은공은 하나 뽑을 확롤이 1/3
곱한거임
3
ㄱ검은공을 뽑는 사건이 때가 아니잖
표본공간을 줌 -> 그 표본공간의 부분집합을 조건으로 표본공간 축소-> 사건을 줌
이게 조건부활률
~때가 시행을 의미하는 경우를 구분을 하셔야해요.
예를들어, 나에게 평범한 육면체 주사위가 하나가 있다. 이 주사위를 던졌을 때, 3이 나올 확률은?
이라는 문제 상황이 있다고 하면 주사위 하나를 던지는 "시행"을 했다는 걸 의미하지 조건부 확률을 의미하진 않겠죠?
임의로 택하여 공 1개를 꺼낼 때 에 a에서 1개 뽑는 사건도 표본 공간 안에 있는데 이것은 계산할 때 왜 포함이 안 되는 건가요?
맞아요! 표본공간에 있죠.
확률을 경우의 수 / 경우의 수 로 푸는 경우에
확률 = 해당하는 사건의 경우의 수 / 표본공간의 경우의 수 (정확히는 집합의 원소의 수)
로 정의하는거니까요.
저는 공을 1개뽑는 경우는 a에서도 뽑을 수 있고, b에서도 뽑을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 전체가 분모에 들어가지 않는 이유는 뭔가요
아니에요, 분모에 다 들어갑니다!
다만 이 문제에서, [주머니 A, B를 택하는 경우]와 [공을 택하는 경우]가 하나의 근원사건으로 묶어서 표현될 수 없는 경우여서 문제가 생겨요.
예를들어 동전을 2번 던지는 사건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경우들은 (앞, 앞), (앞, 뒤), (뒤, 앞), (뒤, 뒤)가 있어요. 이 때 각각의 (앞, 앞), (앞 뒤) 등등 의 한 순서쌍을 근원사건이라고 하고, 표본공간은 근원사건의 합집합으로 정의되어요.
단!! 이 때 근원사건은 모두 일어나는 확률이 동등해야해요.
그렇지 않으면 확률이 잘못계산되기 때문이에요.
(검은공이 1개, 흰공이 9개 들어있는 주머니에서 공을 1개 꺼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경우를 {검은공}, {흰공} 이렇게 2가지 밖에 없다고 보게 되면
전체 경우 n({검은공, 흰공}) = 2 가 되니, 검은공이 나올 확률도 1/2, 흰공이 나올 확률도 1/2으로 말이 안 되는 상황이 일어나게 되겠죠. 이런 상황에서 근원사건의 확률이 동등하다는 것을 보장해주기 위해서 흰공의 9개가 서로 다른 것으로 보고 이름을 흰공1, 흰공2, ... 흰공9 이렇게 주게 되는 거에요.)
물어보신 문제의 상황에서는 마치 근원사건이 다음인 것처럼 생각될 수 있어요.
(A, 검은공1), (A, 검은공2), ... , (A, 흰공2), (B, 검은공1), (B, 검은공2), (B, 검은공3), (B, 흰공1), ... (B, 흰공6)
하지만 이렇게 근원사건들을 생각하면, A에서 검은공2를 꺼내는 확률은 1/2 * 1/6 (특정공) 이 되고, B에서 흰공3을 꺼내는 확률은 1/2 * 1/9 (특정공) 이 되기 때문에 근원사건의 확률이 달라지는 상황이 된다는 걸 알 수 있어요.
그래서 이런 경우에는 사건 X와 사건 Y가 연이어서 일어난다고 생각하고, 곱의 법칙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에요.
따라서 주머니를 고르는 사건, 공을 꺼내는 사건을 각각 바라보아 확률을 구하고, 이것이 동시에 일어난다고 생각해서 곱의 법칙을 이용해서 확률을 구해야 하는 상황인 것이에요.
주머니 B가 골라지는 사건의 경우, 주머니를 고르는 모든 근원 사건은 {A}, {B}이므로 표본공간은 근원사건의 합집합인 {A, B}로 나타내지게 되고, 주머니 B가 골라지는 사건은 {A} 이므로
P(주머니 B가 골라지는 사건) = n({B}) / n({A,B}) = 1/2 가 되는 것이에요.
이제 주머니 B 안에서 공을 꺼내게 되면 각 공을 꺼내는 확률이 동등해지니, 이 때의 근원사건이 {검은공B1}, {검은공B2}, {검은공B3}, {흰공B1}, {흰공B2}, ... {흰공B6} 이므로 표본공간은 근원사건의 합집합인 {검은공B1, 검은공B2, ... 흰공B6} 로 나타내지게 되고, 주머니 B 안에서 검은공이 나오는 사건은 {검은공B1, 검은공B2, 검은공B3} 이므로
P(주머니 B에서 검은공을 꺼내는 사건) = n({검은공B1, 검은공B2, 검은공B3}) / n({검은공B1, 검은공B2, ... 흰공B6}) = 3/9 = 1/3 이 되겠죠.
그래서 문제에 주어진 상황인 P(주머니 B가 골라져서, 그 주머니 B에서 검은공을 꺼내는 사건) = P(주머니 B가 골라지는 사건) * P(주머니 B에서 검은공을 꺼내는 사건) = 1/2 * 1/3 = 1/6 이 되는 것이에요.
감사합니다
아직 곱사건이랑 조건부확률을 구분하는게 서툴러서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