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꾸꾸 [600921] · MS 2015 · 쪽지

2015-11-06 17:31:08
조회수 437

물2 10월 종로 문제 뒷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46825


ㄱ번 왜 틀린지 좀 알려주세요
제가 알기로는 분해능 값이 작을수록 구분 잘할수있는거라고 생각해서 ㄴ ㄷ 은 그거로 풀었더니 맞았는데 ㄱ도 똑같이 접근했는데 ㄱ은 틀렸어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으아오으 · 572431 · 15/11/06 17:51 · MS 2015

    분해능의 정의는 두 물체를 구분할 수 있는 최소 각거리입니다. 저기서 세타가 각거리이므로 각거리가 커질수록 물체를 구분하기 쉬워집니다. 반대로 작아진다면 최소 각거리에 근접하게되고 최소 각거리보다 작아진다면 한 물체로 보이게 되겠지요

  • 김꾸꾸 · 600921 · 15/11/06 17:53 · MS 2015

    그 최소 각거리가 작을수록 분해능이 좋다 라고 하지 않나요?.. 말? 문제상황?이 헷갈림 ㅜㅜ

  • 아으아오으 · 572431 · 15/11/06 17:53 · MS 2015

    네 작을수록 분해능이 좋다고 합니다. 문제에서는 분해능을 묻고 있는게 아닙니다. 망원경의 분해능을 상대적으로 1~15까지라고 하면 현재 각거리가 15일때 각거리가 작아져서 9가된다면 분해능 10~15까지의 망원경으로는 관측할 수 없어 더욱 고성능의 망원경을 써야겠죠. 이 말은 즉, 문제에서 세타가 작아질수록 관측하기 어렵다는 말이고 반대로 커진다면 관측하기 쉽다는 말입니다.

  • 김꾸꾸 · 600921 · 15/11/06 17:59 · MS 2015

    아 ㅋㅋㅋㅋ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설물천가는사람 · 587478 · 15/11/06 18:27 · MS 2015

    문제에서는 분리각 세타라고했으니 최소분리각이커지면 더 알아보기어려운것 아닌가요?

  • 김꾸꾸 · 600921 · 15/11/06 18:40 · MS 2015

    문제에 세타는 최소분리각을 말하는게 아니라 실제 어떤 물체를 관측할때의 각거리?를 말하는거같아요!

  • 아으아오으 · 572431 · 15/11/06 19:49 · MS 2015

    분리각의 정의는 쌍성을 관측할 때 쌍성 사이의 각거리입니다.

  • 김꾸꾸 · 600921 · 15/11/06 17:57 · MS 2015

    아 뭔가 아는거같다가.. 알듯말듯하네요....ㅜㅜ

  • 아으아오으 · 572431 · 15/11/06 17:58 · MS 2015

    보충했습니다. 이해가 되실런지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