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학년도 고1~고3 1학기 중간고사 대비 국어 공부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467114
![](https://postfiles.pstatic.net/MjAyNDAyMjNfMjkx/MDAxNzA4NjQ5MTA2OTM0.H8oh5PVbfTsl5CznStrtT1fj9mmJJXyVXpr8yiALHVkg.ZVnqDJrHeZkN2V9ziJWvrTqHh8mY7OqK2CyRq_Q1RwUg.PNG/20236%EB%AA%A8%EB%8C%80%EB%B9%84%EC%8D%B8%EB%84%A4%EC%9D%BC-002.png?type=w580)
![](https://s3.orbi.kr/data/file/united2/bac61442a28a4388b788c22291082f0a.png)
안녕하세요 나무아카데미입니다!
어느덧 새 학년 새 학기가 시작되었고, 중간고사가 성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아직 학교에서는 본격적으로 수업을 시작하지 않은 경우도 많을 텐데요. 그래서 아직 1학기 중간고사에 어떤 내용이 출제될 것인지, 어떻게 중간고사를 준비해야 하는지 막막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중간고사는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학년별로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고1
1학기 중간고사는 대부분의 학교에서 4월 중순~5월 초에 실시됩니다. (정확한 일정은 학교 홈페이지 학사 일정을 참고하세요.) 시험 벙위도 학교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선택한 '국어' 교과서를 기준으로 시험 범위가 정해지며, 경우에 따라 3월 학력평가의 지문 중 일부를 변형하여 출제하기도 합니다. 우선 교과서 목차를 함께 보며 일반적으로 자주 출제되는 범위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postfiles.pstatic.net/MjAyNDAyMjNfMjYx/MDAxNzA4NjUyMTYyOTEy.7wffKRZzYnIrAIfeeDh72tb5A9I6i5mPpi7BgLHidL0g.AD9IgrWLNsSJRZiHb0R80l23it8hKjuQDnzCyCio-f0g.PNG/%EB%AA%A9%EC%B0%A8.png?type=w580)
![](https://s3.orbi.kr/data/file/united2/e577d7a88b6747898a3988911c4b6b30.png)
위의 사진은 신사고 국어 교과서의 목차입니다. 1단원에는 문학과 독서 지문이, 2단원에는 화법과 작품이, 3단원은 다시 문학 지문이 갈래별로, 4단원은 문법이 실려 있습니다.
학교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2단원, 3단원 일부, 4-(1)단원이 중간고사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중에서 1-(1)단원과 4-(1)단원은 대부분 중간고사 범위에 포함되므로, 미리 공부를 하고 싶으시다면 1-(1)단원과 4-(1)단원을 미리 공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면 공부 방법을 정리해보도록 할게요!!
1. 교과서, 학교 프린트, 자습서 꼼꼼하게 공부하기!
고등학교 시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과서와 학교 프린트입니다. 교과서에는 반드시 학교 선생님의 수업 내용이 필기되어 있어야 하며, 이 필기 내용과 자습서의 내용을 비교하며 꼼꼼하게 공부해야 합니다. 특히, 학습활동의 경우 서술형 문제로 출제되는 경우도 많으니, 학습활동의 답은 반드시 다시 써보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2. 문제 풀며 이해도 높이기!
교과서, 프린트, 자습서를 활용해 지문을 공부했다면, 반드시 문제를 풀며 제대로 이해한 것이 맞는지 확인해야만 합니다. 이때 활용할 수 있는 문제로는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형성평가 문제
자습서/평가문제집 문제
기출 변형 문제
등이 있습니다.
![](https://postfiles.pstatic.net/MjAyNDAyMjNfMTA5/MDAxNzA4NjUyNjgxNTIw.WCoaSEylKKZLheYHaWiQRWERec2CJCTvZt_rcpSNT6og.2iLVZD8rYe2FkR6fRcJwohbYnS1MXjxhyfunqILFdn8g.PNG/2024_%EA%B3%A01_%EA%B5%AD%EC%96%B4_%EB%B9%84%EC%83%81%EB%B0%95%EC%98%81%EB%AF%BC_82_%EC%8B%9C%EC%A1%B0_%EC%84%B8_%ED%8E%B8_%EB%82%B4%EC%8B%A0%ED%98%95_%EA%B8%B0%EC%B6%9C_%EB%AC%B8%EC%A0%9C_1.png?type=w275)
![](https://postfiles.pstatic.net/MjAyNDAyMjNfMTI4/MDAxNzA4NjUyNjg5NDI0.dQXHDrJKtqOzk_7UV9OiuoWgdVkyTNUuRK7dlF9uvFkg.VJSDQ52yecHwNTIDhDpJ7Kv7UNoj2ZHSqomzG-jhIIEg.PNG/2024_%EA%B3%A01_%EA%B5%AD%EC%96%B4_%EB%B9%84%EC%83%81%EB%B0%95%EC%98%81%EB%AF%BC_82_%EC%8B%9C%EC%A1%B0_%EC%84%B8_%ED%8E%B8_%EC%88%98%EB%8A%A5%ED%98%95_%EA%B8%B0%EC%B6%9C_%EB%AC%B8%EC%A0%9C_1.png?type=w275)
![](https://s3.orbi.kr/data/file/united2/09a46cd9e5134a63a1bed9adc3dd7e4a.png)
위의 사진은 교과서 작품에 대한 내신형 문제와 수능형 문제의 예입니다. 이와 같은 변형문제까지 푼다면 충분히 고득점을 노리실 수 있습니다.
3. 오답 정리하며 약점을 해결하기!
문제를 풀고 채점을 한 후, 틀린 문제와 잘 이해가 되지 않았던 문제에 대한 오답 정리를 하며 각자의 약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어는 문맥에 따라 정답이 달라질 수 있는 과목이므로, 해당 작품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다면 유사한 문제를 또 틀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꼼꼼히 오답을 정리하며 해당 문제를 틀린 이유, 해당 문제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고2
고2 여러분들은 이제 학교에 따라 정해진 교과서를 배우게 되실 겁니다. 학교에 따라 문학, 독서,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2과목을 선정하여 수업을 진행하게 됩니다.(경우에 따라 전년도 수능특강을 활용하기도 함.) 따라서 반드시 학교 홈페이지를 확인하시고, 학교 선생님께 시험 범위를 확인하세요! 주로 문학과 독서를 선택하는 학교가 많으니, 여기에서는 문학과 독서 공부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교과서, 학교 프린트, 자습서 꼼꼼하게 공부하기!
고1 때와 마찬가지로 학교 시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과서와 학교 프린트입니다. 교과서에는 반드시 학교 선생님의 수업 내용이 필기되어 있어야 하며, 이 필기 내용과 자습서의 내용을 비교하며 꼼꼼하게 공부해야 합니다. 특히, 학습활동의 경우 서술형 문제로 출제되는 경우도 많으니, 학습활동의 답은 반드시 다시 써보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특히, 독서의 경우에는 해당 지문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묻는 경우가 많으므로, 지문의 내용을 꼼꼼하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각 문단의 핵심 내용을 정리해 두는 것도 글 구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문제 풀며 이해도 높이기!
교과서, 프린트, 자습서를 활용해 지문을 공부했다면, 반드시 문제를 풀며 제대로 이해한 것이 맞는지 확인해야만 합니다. 이때 활용할 수 있는 문제로는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형성평가 문제
자습서/평가문제집 문제
기출 변형 문제
등이 있습니다.
이 중, 독서의 경우는 여러분들이 문제를 구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아래와 같은 기출 변형 문제를 활용하시면 큰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postfiles.pstatic.net/MjAyNDAyMjNfNDAg/MDAxNzA4NjU1MzUyNzgw.pwSlrIb-lUqxtvMmf59aFaNtTu-iy-z09nUoJM1yUDUg.5Dh6i60sHbMjC4a5SYm9P7n_OEC28ek2UqVGJmdaEF8g.PNG/2022_%EA%B3%A02_%EB%8F%85%EC%84%9C_%EC%B2%9C%EC%9E%AC_412_%EC%8B%9C%EB%8C%80%EC%9D%98_%ED%8A%B9%EC%84%B1%EC%9D%84_%EA%B3%A0%EB%A0%A4%ED%95%9C_%EA%B8%80_%EC%9D%BD%EA%B8%B0%EB%B6%81%ED%95%99%EC%9D%98_%EC%B0%B8%EB%9C%BB_%EB%82%B4%EC%8B%A0%ED%98%95_%EC%88%98%EB%8A%A5%ED%98%95_%EC%84%9C%EC%88%A0%ED%98%95_%EA%B8%B0%EC%B6%9C_%EB%AC%B8%EC%A0%9C_12.png?type=w275)
![](https://postfiles.pstatic.net/MjAyNDAyMjNfMTkg/MDAxNzA4NjU1MzY3NjU3.xo0Ul98ELPhoimbpI8IXoJWMRERKShMHWhD1X4gIFKIg.-thraB224NWQt0rFoWgRG1LN2wy5bu31dzQyrhId0cMg.PNG/2022_%EA%B3%A02_%EB%8F%85%EC%84%9C_%EC%B2%9C%EC%9E%AC_412_%EC%8B%9C%EB%8C%80%EC%9D%98_%ED%8A%B9%EC%84%B1%EC%9D%84_%EA%B3%A0%EB%A0%A4%ED%95%9C_%EA%B8%80_%EC%9D%BD%EA%B8%B0%EB%B6%81%ED%95%99%EC%9D%98_%EC%B0%B8%EB%9C%BB_%EB%82%B4%EC%8B%A0%ED%98%95_%EC%88%98%EB%8A%A5%ED%98%95_%EC%84%9C%EC%88%A0%ED%98%95_%EA%B8%B0%EC%B6%9C_%EB%AC%B8%EC%A0%9C_7.png?type=w275)
![](https://s3.orbi.kr/data/file/united2/587947d7d8534537b5c549f56d3d9aaf.png)
위의 사진은 천재 독서 교과서의 변형 기출 문제입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풀면 중간고사를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오답 정리하며 약점을 해결하기!
문제를 풀고 채점을 한 후, 틀린 문제와 잘 이해가 되지 않았던 문제에 대한 오답 정리를 하며 각자의 약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독서의 경우 각 문장과 문단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다면 중간고사에서 쉬운 문제도 틀릴 수 있으니, 반드시 오답을 꼼꼼하게 확인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문제를 푼 후, 오답 정리를 하고도 이해가 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반드시 선생님께 질문을 해서 해결을 하고 넘어가야만 고득점을 노릴 수 있습니다.
고3
고3 여러분들은 이제 수능특강과 친해지셔야만 합니다. 대부분의 학교가 1학기 동안 수능특강으로 수업을 하고, 시험을 출제합니다. 주로 수능특강 문학과 독서를 선택하지만, 학교에 따라 화법과 작문 / 언어와 매체를 선택하기도 하고, 네 영역을 모두 선택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미리 시험 범위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수능특강, 수능특강 사용 설명서 꼼꼼하게 공부하기!
![](https://postfiles.pstatic.net/MjAyNDAyMjNfNTEg/MDAxNzA4NjU1NjQ3NTE3.qV1U4jidmZWqzG_y5nFa3qCqLwxGu762Oi25tixYnigg.9bl7q0ubidln9NG020F7j-E6by3SX0FadtYBKtZ6OoAg.PNG/image01.png?type=w275)
![](https://postfiles.pstatic.net/MjAyNDAyMjNfMTI3/MDAxNzA4NjU1NjkwMDMx.8EXG07acNSaWELW4cqcSB3V23PamMGYpmmIchIOtgxYg.U0CLy94uqc8ynrlpJBQUuaChH5Me2GT7z46k8v-Dw3sg.PNG/image03.png?type=w275)
![](https://s3.orbi.kr/data/file/united2/cb32d479786d4d9f9b80bc30dbc25cf1.png)
수능특강 지문에는 학교 선생님의 설명이 모두 필기되어 있어야 하며, 이 필기의 내용을 사용 설명서의 설명과 비교하며 공부해야 합니다. 특히 사용 설명서의 '문제 해결 키', '이것만은 꼭 기억하자'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은 학교 시험에서도 활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반드시 기억하고 있어야 합니다. 특정 지문의 내용이 잘 이해되지 않을 경우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자습서/평가문제집을 활용하시는 것도 좋고, 아래와 같은 분석 자료를 활용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https://postfiles.pstatic.net/MjAyNDAyMjNfMTEx/MDAxNzA4NjU1OTM3NzY2.6nQnUesRr1Uy1xGT4hKrBarGA8cOp71dxrHaEvCytMMg.-D1R3vVosr9bZl2KhIy7WYgh6DgAGB7LoCjRhw7VaTgg.PNG/25_%EC%88%98%ED%8A%B9_%EB%8F%85%EC%84%9C_%EC%82%AC%EB%AC%B8_08_%EC%B1%84%EB%AC%B4%EC%9D%98_%EB%B3%80%EC%A0%9C%EC%99%80_%EA%B4%80%EB%A0%A8%ED%95%9C_%EB%B2%95%EB%A5%A0_%EC%82%AC%ED%95%AD_%EB%B6%84%EA%B8%B0_1.png?type=w275)
![](https://postfiles.pstatic.net/MjAyNDAyMjNfMTMg/MDAxNzA4NjU1OTM3NzYx.opVuItARJ0QWk2DLGNplRmoqzFj7gYZLptslLbDogAog.gpgTuUEBhlsj2Imte0K6t-NhbZh-OKk4Slk0y62j5lcg.PNG/25_%EC%88%98%ED%8A%B9_%EB%8F%85%EC%84%9C_%EC%82%AC%EB%AC%B8_08_%EC%B1%84%EB%AC%B4%EC%9D%98_%EB%B3%80%EC%A0%9C%EC%99%80_%EA%B4%80%EB%A0%A8%ED%95%9C_%EB%B2%95%EB%A5%A0_%EC%82%AC%ED%95%AD_%EB%B6%84%EA%B8%B0_2.png?type=w275)
![](https://s3.orbi.kr/data/file/united2/8e5f8aa55958490793a88d8d422ffbdb.png)
위의 사진은 2025학년도 수능특강 독서 사회문화 08강 지문에 대한 분석 자료입니다. 이와 같은 자료를 참고하시면 공부에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2. 문제 풀며 이해도 높이기!
수능특강과 사용 설명서를 활용해 지문을 공부했다면, 반드시 문제를 풀며 제대로 이해한 것이 맞는지 확인해야만 합니다. 이때 활용할 수 있는 문제로는
수능특강 문제
연계 기출 문제
수능특강 변형 문제
등이 있습니다.
수능특강 문제의 경우 주로 학교에서 수업 시간에 풀게 될 것이고, 연계 기출 문제는 그 수가 적습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변형 문제를 활용하시면 큰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postfiles.pstatic.net/MjAyNDAyMjNfNTYg/MDAxNzA4NjU2MTI3MjAw.htA52Ial2pP3MukwpXX-SaYaJtD2ImvjOgoOczVoEmIg.huNm2H0uKT8jPqMZcht_EcB0HiUAi0INXcBAAZ86i84g.PNG/25_%EC%88%98%ED%8A%B9_%EB%8F%85%EC%84%9C_%EC%82%AC%EB%AC%B8_08_%EC%B1%84%EB%AC%B4%EC%9D%98_%EB%B3%80%EC%A0%9C%EC%99%80_%EA%B4%80%EB%A0%A8%ED%95%9C_%EB%B2%95%EB%A5%A0_%EC%82%AC%ED%95%AD_%EB%B6%84%EA%B8%B0_4.png?type=w275)
![](https://postfiles.pstatic.net/MjAyNDAyMjNfMTIz/MDAxNzA4NjU2MTI3MTk1.JEg1_BbbHR0XyvWBqmc20x14AQn_LUMeHZxfPFCTtEIg.bnwg-b-CxWB8dzUTPCLPHSLGb0h6Uvdz_Yp9Ua9Y3hQg.PNG/25_%EC%88%98%ED%8A%B9_%EB%8F%85%EC%84%9C_%EC%82%AC%EB%AC%B8_08_%EC%B1%84%EB%AC%B4%EC%9D%98_%EB%B3%80%EC%A0%9C%EC%99%80_%EA%B4%80%EB%A0%A8%ED%95%9C_%EB%B2%95%EB%A5%A0_%EC%82%AC%ED%95%AD_%EB%B6%84%EA%B8%B0_5.png?type=w275)
위의 사진은 2025학년도 수능특강 독서 사회문화 08강 변형 문제의 예입니다. 이와 같은 변형 문제를 미리 풀어본다면, 고득점을 노리실 수 있습니다.
3. 오답 정리하며 약점을 해결하기!
문제를 풀고 채점을 한 후, 틀린 문제와 잘 이해가 되지 않았던 문제에 대한 오답 정리를 하며 각자의 약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고3 시험의 경우 해당 지문과 관련된 내용 뿐 아니라, 다른 지문과 연계하는 수능형 문제가 출제되는 빈도가 높으므로, 해당 지문이 활용되었던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문제를 풀어보시는 것또한 도움이 됩니다.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문제의 해설을 참고하시면, 오답 정리에도 큰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고1, 고2, 고3 1학기 중간고사 대비 국어 공부법을 간략하게 살펴보았습니다.
미리 준비하는 학생을 이길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여러분도 미리 계획을 세우고, 계획에 따라 성실하게 공부해서 꼭 고득점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모두들 목표를 달성하시길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이상 나무 아카데미였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풀커리를 타면 오히려 공부가 안됐음 한강의듣는데 웬만하면 한달아니면 그이상인데...
-
추합 2
세종대 공과계열 208명 모집하고 예비141등에서 1차추합 예비89번인데 요건...
-
세종대 추합 0
200명 뽑는데 52명밖에 안빠짐 이거 맞냐?
-
가천의추합 1
가천대 의대 몇명빠졌는지 아시는분 있으신가요?
-
모닝롤 2
망해버린인생
-
당연히 빠집니다 뱃지 +1
-
안녕하세요 :) 디올러 S (디올 Science, 디올 소통 계정) 입니다....
-
아니 ㅅㅂ 뭔데 2
자고 일어났는데 노트북 블랙스크린 뜸... 해결 안될거같은데 이거 파일만 못꺼내나...
-
아주대 추합함 7
아주대 미모공 빠집니다
-
ㅈ됐다 0
전전 4명밖에 안빠지는게 말이됌? ㅅㅂ
-
원래 들어가시던 정시모집 합격자 조회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
약 10여년전쯤처럼 점공도 뭐도 없던 시대였다면 좀 감춰질 수도 있는데 지금은...
-
아니 이게 뭔 말도안되는
-
시대 단과나 강대 단과 다녀보신분들 질문 좀 받아주시면안될까요 0
강대 시대 재종 다니셨던분도 괜찮은데 아무래도 재종은 단과랑 느낌이다른것같아서요.....
-
마이고만 볼거같아요
-
하냥대 예비1 5
내일이면 합격이겠지....
-
수리논술 0
제가 수리논술이 처음인데 인강으로 시작해보려 합니다. 강윤구쌤이랑 대성 신재호...
-
메인글 관련 0
지역인재 약대 쓴 거 아니고요 고대 낮과 썼는데 폭나서 떨어짐. 국영수 333이...
-
주말에는 자신이 자습 신청해서 자율적으로 다니는건가요
-
백분위가 어케 되나용? 대략 98되나요?
-
64년생이심 ㄷㄷ 아직까지 강의하시는 게 대단
-
성균관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성대25][율전 학생들을 위한 1학년 교양과목 추천]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성균관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성균관대학생,...
-
[고2, 고3 내신 대비 자료 공유] 2026년 특강 국어 고3 문학 분석 기출 문제, 고2 문학 분석 기출 문제 자료 배포 0
안녕하세요 나무아카데미입니다. 2026년 특강 국어 고3 문학 분석 기출 문제와...
-
불인증된 3곳도 예상대로 불인증 유예네요 필수의료패키지(일명 필의패)도 결국엔 다...
-
.
-
실패
-
이명학 신택스 1
작수2에 보통 80점 초반점수 받음 신택스 구문강의라는데 들어야함? 문장해석이 잘 안되는건 아닌데
-
진짜 최악이다 이번엔
-
공부..해봐야지 3
큰 도전임
-
화확사문생윤
-
에타 어카냐 3
2년만에 왔더니 내학교가 한양대야... 학교 어떻게 바꾸는지 모르는데;;
-
쌍싸 고고혓 0
-
지금 상황보면 안될 가능성이 커보이네요...현실은 역시 녹록치가 않습니다.
-
지원자들 추합 인원 빠지는거 토대로 등록할지 말지 결정하는 사람도 있고 예비...
-
나가실 분 계세요? 이렇게 하나하나 찾아야 한다니 너무 갑갑하네요.
-
쌍지 vs 쌍사 0
50고정을 만들기에는 뭐가 쉬울까?
-
진지하게 개념인강 듣기 귀찮은데 그냥 수특 잘 읽어보고 잘 모르는거 체크하고 단권화...
-
공부 렛츠고 바기바기 붐붐
-
아침 오르비 8
조용하다
-
(구)30번 개같이 떠는중
-
재수생인데 한지가 안맞는거 같아서 전향하려합니다. 정법은 2학년 때부터 3학년...
-
실화? 살다살다 이런 해는 처음 보네;
-
캡틴아메리카 here we go
-
개나비 듣고 수국김1강 들은 다음 일클 취클 듣고 기출만 돌릴까? 기출은...
-
문과기준 서울대 낮과도 어려울까요? 선택과목 화 확 한지 동사입니다
-
추천쫌 5
만약에 본인이 해외에 나가서 약사자격증을 딴다면? 1. 영국약사 2. 일본약사 3....
-
정시 추합 되면 등록금만 내면 등록되는거임?
-
ㅈㄱㄴ
-
15일까지인데 아무래도 추합이 그거보다 조금더 늦을거 같아요... 이러면 새터...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