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해수 [1270454] · MS 2023 · 쪽지

2024-02-28 17:07:30
조회수 2,542

24 9평 국어 11번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459881

여기서 정답이 2번인데

해설지에는 다른 기체가 달라붙었으므로 질량이 늘어나 주파수가 더 감소한다고 써있는데

저는 “혼합 기체에서 특정 기체의 농도가 클수록 더 작은 주파수에서 주파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문장을 보고 다른 기체가 함께 붙었을 때가 알코올 혼자 붙었을 때보다 알코올의 농도가 작으므로 주파수가 더 클거라고 생각했거든요…

솔직히 해설지가 이해 안가는건 아닌데 질량으로 풀때랑 농도로 풀때랑 결론이 다르니까 혼란스럽네요

제 논리가 어디서 틀린 걸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복수전공의대생 · 1177692 · 24/02/28 17:11 · MS 2022

    맥락을 고려하면 본문에서 말하는 '기체의 농도'는 달라붙은 기체가 아닌, 달라붙을 수 있는 주변 기체 농도로 보는 게 맞죠

  • Atumn · 1281333 · 24/02/28 17:16 · MS 2023

    본문에서 특정 기체라고 특정 지었으니 알코올도 특정기체 농도로 본문과 동일하게 봐도 되는거 아닌가요..??

  • 장해수 · 1270454 · 24/02/28 17:17 · MS 2023

    그러니까요 저도 그렇게 생각해서 알코올 농도 재는 문제인줄 알았는데

  • 수학복수전공의대생 · 1177692 · 24/02/28 17:22 · MS 2022

    혼합 기체에서 특정 기체의 농도가 클수록~
    이 문장에서 말하는 혼합 기체가 수정 진동자에 붙은 기체가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달라붙기 전의 몰 분율에 따라 평형 상태에서의 진동자 주파수가 달라진다는 의미로 해석했어요

    즉 '혼합 기체'에서의 알코올의 농도는 언급되지 않았다 보는 게 맞고 '달라붙은' 기체의 질량이 늘어난 것으로 판단해야 할 것 같습니다.

  • 장해수 · 1270454 · 24/02/28 17:19 · MS 2023

    그니까 예를 들어 알코올 100g만 있던 상황에서 수소 100g이 달라붙었다 치면 알코올 농도는 100에서 50이 되었지만 수소 농도는 0에서 50으로 된거니까 수소 입장에서는 농도가 증가했다 이건가요?

  • 수학복수전공의대생 · 1177692 · 24/02/28 17:23 · MS 2022

    달라붙은 기체의 농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닐 것 같다는 의미입니다.

    문과 분이시면 생소하실 수도 있는데(비하가 아니라 물화생에는 저런 게 좀 있어서)
    달라붙기 전 초기 기체의 농도를 의미하는 것 같아요

  • 장해수 · 1270454 · 24/02/28 17:26 · MS 2023

    아 그러니까 저 문장이 다루는 건 달라붙은 기체가 아니라 공간 안의 전체 기체라는 거죠? 설명 감사합니다

  • 꺾이지 않는 마음 · 1193639 · 24/02/28 17:14 · MS 2022

    저도 현장에서 그렇게 생각했어서 틀렸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