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440117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솔직히 지금 뜨는 글에 양아치 페북 보고 좋아 죽는 사람들 있는데 비웃는 님들은 그...
아 이거 궁금하네 풀어볼게요..
임의로 추출했을때 같은 종에 속활 확률이 커진다는 해설이 이해가 안가신다는거죠?
개체 수 많은 종을 제거했을 때 심슨 지수가 더 커지는게 이해가 안 됩니다..
개체수가 적은 종을 제거했다고 생각하면 ex) 사탕단풍나무를 제거했을때와 백참나무를 제거했을때를 비교해보면 사탕단풍나무를 제거하면 비교적 개체수가 더 많은 튤립, 백참나무, 큰떡갈나무 중에서 두개가 뽑혀서 같은 종일 확률이 더 큰거를 얘기하는것 같아요! 아무래도 백참나무를 제거하면 36개 중에서 두개 뽑을 가능성이 사라지는거다보니.. 튤립이 사라졌을때의 확률은 저도 잘 모르겠네요.
상대적으로 개체수 적은 것을 제거했을 때 심슨 지수가 높아진다는 말씀이시죠?? 사탕단풍나무가 아닌 백참나무를 제거했을 때 확률이 낮아진다는 말씀이시니.. 그렇게 되면 님도 제가 말한 의견과 같고 해설과 다른 의견이시네요
어 그렇네요 흠.. 제가 잘못본거일수도 있으니 이따 집에가서 한번 더 봐볼게요.. 이상하네
개체수가 많다 = 임의로 추출한 표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확통 하시면 신뢰구간 생각하시면 될듯
아 잘못 봄 무시하세요
https://www.ebsi.co.kr/ebs/lms/player/retrieveLmsPlayerHtml5.ebs?sbjtapplyId=1028678599&sbjtId=S20240000005&lessonId=LS100030050418&lecGbn=V500
분모 자체가 작아진다는 말인 듯
ebsi 해설강의에서도 똑같은 논리로 말씀해 주시네요
그니까 산림1에서 튤립이 있을 때는 아무리 2개를 뽑아도 항상 튤립 하나랑 나머지 하나로 구성될 확률이란게 존재하는데 튤립을 없애 버리면 그 경우의수를 빼도 된다는 말인 듯
어렵네요..
EBSI 들어가보니까 비슷한 내용으로 이 문제에 대한 컴플레인이 많이 들어와 있네요
저도 문제가 좀 있다고 생각하는데 어떤식으로든 정정이 있지 않을지
혹시 그 링크 좀 주실 수 있을까요..?
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40000005&isAi=A
학습 qna -> 등록 -> 강의선택 -> 22강 과학기술 04, 05 -> 문제 3 -> 키워드 입력 '심슨지수' -> 스마트 답변 조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