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1 질문드립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32018
내행성이 외합부근에있을때 위상은 망으로 관측되는데
외행성이 합부근에있을때는 무슨위상으로 관측되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안녕하세요. 상승효과 이승효입니다. 6평 이후에 어그로도 좀 끌고 그랬는데 불편하신...
-
안녕하세요. 유튜버 아니 수학강사 상승효과 이승효입니다. 유튜버는 농담이긴 한데요....
-
한시간 가량 전철을 타고 3일만에 다시 찾아온 교대점! 한 15분 전에 들어갔는데...
-
[지도리] 표분석에 자신이 없는 학생들을 위한 무료 특강!! 1
1. 일자 및 장소 : 3월 26일 또는 27일 오전 9시 (가능하신 날을...
망아님?
쪽지확인!
쪽지확인하고 답장드렷어요!!
위상자체는 망인데 태양쪽에있어서 관측불가능해요 내행성도마찬가지구요
외합 합 부근에 있으면 관측가능하지않나요
망이긴 한데 관측 가능성이 애매해서 묻지는 않을겁니다
외행성이 합 부근에 있으면 망으로 관측됩니다.
태양 쪽에 있어서 관측이 불가능한 건 아니고 외행성의 공전 궤도면이 황도와 이루는 각이 0도가 아니기 때문에 관측하기 '어렵다'고 하는 게 정확합니다.
외행성은 어디에있든간에 거의 충입니다
상현 하현이 불가능한걸로 알고있습니다
(참고로 천동설에서는 내행성의 상현과 하현도 설명불가능합니다)
천동설에서 내행성의 보름달만 설명 불가능한거 아닌가요?
저는 암기로 외운거라 정확히는 모르다만
상현과 하현이 관측불가능한 이유는
주전원이 지-태 라인에 묶여있기떄문이라고 알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