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제가 생각하는 "국어 기출 분석"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216002
Preview :: 태도 확립
일단 제대로 된 기출분석의 방향성을 잡아봅시다.
제가 생각하는 기출분석의 목적은 크게 다음 세가지가 있습니다.
1) 이 기출을 실전에서 마주했을 때, '가장 이상적인 사고 과정(=풀이 과정)'이 무엇일지 생각해본다.
- 지문을 읽으면서 해냈어야 할 생각
- 선지를 읽고 해냈어야 할 생각
2) 평가원의 정오 논리, 지문 서술 패턴, 문제 출제 패턴 등에 익숙해진다.
3) 사전에 확보해두어야 할 지식 요소를 확인하고 확보한다.
⇒ 이 3가지 목표를 항상 깊게 되새기시길 바랍니다.
Step 1 :: 시간 무제한 풀이
일단 지문을 읽고 문제를 풀어봅시다.
시간은 무제한으로 두시는 게 좋습니다.
요즘 트렌드에서는 더더욱
시간을 제한해서 연습하는 것이 큰 의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
대신 모든 문제를 다 맞았다는 '어느정도의 확신'이 들 때까지는, 최대한 정답을 보지 마세요.
Q. 아무리 고민해도 확신이 안 들어요. ㅅㅂ 하루종일 국어만 할 수도 없잖아요.
도저히 모르겠다는 느낌이 들면
해답을 '아주 살짝' 참고하셔도 됩니다. 받아적지 마시고
대신 주기적으로 복습할 수 있게 별표를 쳐둡시다.
tip. 이 단계에선 채점을 안 하는 게 좋습니다.
그래야 이후에 분석할 때 조금 더 깊게 고민할 수 있거든요.
Step 2 :: 지문 - 미시적 분석
독서는 문장 단위로, 문학은 대목 단위로 쪼개서
다음과 같이 실전에서 해야 하는/할 수 있는 생각을 '일일이' 쓰면 됩니다.
독서 - 문장 단위의 생각을 정리합니다.
문학 - 대목 단위의 생각을 정리합니다.
실전에서 문장/대목을 읽으면서 실시간으로 뇌리를 스쳐지나가야 할 생각들을
구체화하여 직접 '써보는' 것이죠.
저는 강의에서 위처럼 문장 하나하나마다 생각을 해서 쓸 수 있도록 위와 같은 과제지를 나누어주기도 해요.
따로 문장 분석 학습지가 없으신 분들은
왼쪽에 기출, 오른쪽에 연습장 두고 수학 풀이 과정 적듯 적어내려가시면 됩니다!
Q. 왜 굳이 '써야' 하죠? 실전에서는 그럴 수 없잖아요. 그냥 머리로 생각하면 안 되나요?
안 되는 건 아닙니다만, 머리로만 하면 실력이 잘 안 늡니다.
그냥 머리로만 생각을 하면 스스로의 사고 과정에 대해 분석이 잘 안 돼요.
내가 무슨 문장을 잘못 읽은 건지, 잘못된 생각을 한 건지 피드백이 잘 안 되는 거죠.
지금은 사칙연산을 암산으로 잘 하지만, 초등학교 때는 쓰면서 연습했던 거랑 같은 이치입니다.
쓰는 시간이 아깝다면
위의 예시처럼 장황하게는 아니어도, 최대한 간략하게라도 쓰시길 바랍니다.
Step 3 :: 지문 - 거시적 분석
미시적인 단위에서 분석이 끝나면, 글을 거시적으로 분석하셔야 해요.
간단하게 글의 핵심적인 부분을 요약하시면 됩니다.
영역별로 요약의 방법이 조금씩 상이합니당
(1) 독서 : 문단별 QnA 형식
(2) 산문문학 : 줄거리(상황/심리의 변화 흐름) 요약
(3) 운문문학 : 상황(대상)/심리 요약
(영역별로 요약의 방법이 조금씩 다른 이유는, 영역별로 출제(선지화) Point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Step 4 :: 문제 - 선지 분석
실전에서는 선지를 판단함에 있어 빠르게 치고 나가는 게 맞지만
역시 평소 학습의 단계에서는 그 판단 과정을 정교화할 필요가 있답니다.
즉, 선지를 하나씩 쪼개 실전에서 마주했을 때 해야 하는/할 수 있는 생각들을
구체화하여 정리하는 겁니다.
지문 미시적 분석처럼
역시 왼쪽에 기출, 오른쪽에 연습장 두고 쓰시면 돼용
Step 5 :: 피드백(구체적인 해결방안 설계)
이제 채점을 한 뒤, 풀이 과정에 대한 피드백을 해봅시다.
잘못된 문항 위주로,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해보세요.
1) what 무엇이 잘못되었을까?
2) why 왜 그런 오류가 발생했을까?
3) how 어떻게 해야 이후에도 비슷한 오류가 발생하지 않을까?
이때 3번이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내용을 쓰면 안 돼요.
- 집중해서 푼다
- 대충 생각해서 판단하지 않는다
이런 식의 해결 방안을 대충 마련하는 건 의미가 없어요.
어차피 반복됩니다.
이보다 훨씬 더 구체적이고 강제적인 장치를 생각해봐야 합니다.
[a일 때는 b한다. c이기 때문이다] 꼴로 작성하셔야 해요.
- 지문에서 두 대상이 언급될 때는, 차이점이 제시되는 문장에 '반드시' 밑줄 친다. (지문을 다 읽었는데 밑줄이 안 남아있으면 다시 찾으러 간다.) 차이점은 반드시 선지화되는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이다.
- 헷갈리는 두 선지가 나타날 때는 생각을 그만하고, 눈알을 굴려 오독한 부분을 찾는다. 헷갈리는 대부분의 경우는 어떤 생각의 문제가 아니라 어떤 오독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 구체 사례 적용형 <보기>에서 <보기> 자체가 복잡할 때는 <보기>의 상황을 지문에 제시된 말로 바꿔 단순화시켜야 한다. 즉, <보기> 자체의 정보보다 지문과의 연관성에 주목한다. 결국 <보기>에 제시된 상황은 지문에 제시된 일반적인 정보를 구체화한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렇게 필요한 문항들에 대해 피드백을 모두 기록해둔 다음에는,
N회독을 위해 복습 중요도를 표시해주세요.
어려움을 느낀 만큼, 고칠 점이 많은 만큼
별 0개 ~ 별 3개(0 ~ ☆☆☆)로 구분해주시면 됩니다.
Review :: N회독 하기
한 번 풀고 버리면, 내 것으로 흡수가 안 됩니다.
주기적으로 복습을 해주셔야 해요.
복습은 단순합니다. 그냥 새로운 지문/문제로 뽑아서 다시 푸시면 끝입니다.
EBSi 사이트에서 기출을 무료로 받을 수 있으니, 이걸 최대한 활용하시구요.
국어 같은 경우는 너무 빨리 복습을 진행하면 기억으로'만' 접근하게 되니까
최소 2주 후에 다시 풀면 됩니다.
(이때도 기억으로 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 수 있는데, 그래도 크게 상관 없습니다.
어차피 올바른 풀이 과정이 '외워져야' 체화도 되는 거니까요.)
그래서 개인적으로 일주일에 반나절 정도는 '복습일'로 따로 빼두시는 걸 추천해요.
이 때는 전과목에 대해 복습이 필요한 문항을 새로 보는 게 좋답니다.
_____________________
좋아요와 팔로우는 글을 쓰는 데 아주 큰 힘이 됩니다 :)
0 XDK (+1,000)
-
1,000
-
문제를 정확하게 풀면서 피지컬 늘리기 6월 모평 이후에 문제 양치기 하기 어떻게 생각함?
-
높은 대학에 가고싶다는 열망이 너무 커서 연애새포를 눌러버림
-
가끔 지피티가 지브리로 변환을 못 하겠다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feat. 도긩이) 0
그때 지피티한테 "그럼 이 사진을 지브리 느낌/스타일로 만들려면 어떤 프롬프트가...
-
N수땜에 메가패스 사려고 며칠 뛰려하는데 알바몬에서 신청하면 될까요? 많이...
-
뭐가 다른거임? 쎈 대수 미적1 사도 됨?
-
무쌩겼어 5
으악
-
카 섹스 야동 2
내가 환장하는 3가지 라고 하면 큰일나겠죠?
-
좋은 선택일까요? 재슈생이어서 시간은 많습니다.
-
진짜 존예노
-
판서 어떤가요 0
더 연습해야..
-
작수 미적 3틀 84점이었던 반수생입니다. 제가 그래도 공통은 나름 자신있는데,...
-
제가 6모때 21221 9모때 11211를 받고 작수에 미끄러져서 31222를...
-
가운 입고 방 들어갔는데 교수님 들어오신다고 할 수도 있음
-
도전VS포기 다른과고 어디에 출몰하는지 암
-
넹
-
ㅇㅈ 5
올해 첫 전국대회 동메달 따고 서울가는중
-
내일은 시험이에요 12
.. 밤 새야 해요
-
옯만추 하는 사람들은 12
얼마나 인싸인거임
-
이따 알바 가야지 아마 내일은 알바 안갈듯
-
빤쮸 샀는데 5
되게 만족스럽네
-
오랜만입니다 11
어제 너무 아파서 거의 하루 오르비에 못들어왔네요
-
4살차이자나 근데 슈냥이랑 1살 차이라고..?
-
오르비에서 딴글은 안쓰고 맨날 정치뉴스 꾸역꾸역 가져오면서 그와중에 자기딴엔...
-
관악입갤 4
-
옯만추 기회 9
여기로 오시면 ㄱㄴ
-
나경누나도 완전 2
직각어깨네
-
기출 셤지 돌려보면 높4정도 나오는데 어떤 방식으로 공부하는게 제일 좋을까요..?...
-
재수생 사탐런 0
연고대 공대노리는 재수생입니다.세지 지1 조합하다가 지구버리고 사탐런 하려는데...
-
욕 박아도 되고 이름 불러도 되고 ㄹㅇ 친구처럼 지냈으묜 좋겟음
-
하
-
설수의 5
1등은 그렇고 2등으로 입학해주마
-
다양한 수식어를 잘못 사용하게 되면 수식어가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문장요소...
-
진짜 인생 개꿀빨면서 지랄하네
-
잇올 빌보드 0
더럽게 안올라오네 15일 지났는데 뭐하는것들이지
-
ㄹㅇ 야무진데 월화수 학원일 수요일은 좀 일찍 끝남 수성구에서 그대로 밥 먹고 과외...
-
건양대 의대에 가고 싶은데 건양의처럼 백분위 의대고 미기 가산점이 없는 대학만...
-
전역 후 수능 준비하는 n수생 입니다 집 앞 러셀학원에서 6모 접수를 했는데 따로...
-
2028학년도 동국대 모집단위별 전공 관련 교과 영역 0
2028학년도 동국대 모집단위별 전공 관련 교.. : 네이버블로그
-
국어에서 숨은 그림 찾기 같은 문제는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3
독서도 그렇고 문학도 그렇고, 가끔 진짜 눈썰미가 좋거나 기억력이 ㅈㄴ좋은 사람들만...
-
외모 check 7
역시못생겼군
-
[속보] 美 자동차·주요부품 25% 관세 정식 발효 0
[속보] 美 자동차·주요부품 25% 관세 정식 발효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
귀엽다
-
놀아줘요 2
-
계엄하고 며칠뒤에 약간 사놨는데 달달하네 좀 더 살껄 ㅜ
-
근데 오르비언이 아니라 오리엿음 랩틸리언같은거임 오리비언인거지 근데 동시에...
-
아오 원래 고1부터 교육과정 바뀌니까 과외할생각 없었는데 왜 고3n수생들은 아무도...
-
통수칠 준비중인 아재인데 통합 수능 준비 할라면 그냥 시중 통합 사회 통합 과학...
-
재수생 6모 2
4월 10일 까지 모교 가서 신청하면 되는 거죠? 일찍 가면 좋고 그런거 없겠죠?
잘보고갑니당
요건 평가원지문에만 써먹어야할까요?
아니면 주간지,부교재 풀 때도 해봐야하나요?
평가원 기출에만 하는 걸 추천드려요! 제대로 하면 한 지문하는데도 시간이 꽤 걸리실 거예요!
넵 감사합니다!!
과외식 수업 진행할때 피드백주기에 매우 좋아보이네요
사고의 과정을 교정해줘야하는데
국어는 수학처럼 풀이를 써내려가지 않아서 그게 쉽지 않음
이렇게 하면 그런 부분에 있어서 꽤 좋아보이네요
네 저도 과외할때 개발한 방법이에요 ㅎㅎ 매일 분석 과제한 거 찍어 보내라하고 피드백 했습니다 ㅋㅋ
만약 제 능력 밖?의 지문이면 어떡하나요? 저같은 경우는 pcr 브레턴우즈 그런것들은 손도 못대겠던데 이런경우는 어떻게하는것이 좋을까요?
최대한 무슨소린지 이해하려고 발버둥치는걸 추천
손도 못댄다는게 첫문장부터 무슨말인지 모른다는건 아닐거임
그럼 '어디서' '어떻게'모르겠는지가 나오는데
거기를 계속 계속 고민해서 우선 글을 전부 읽어내시고...
해설은 저는 최대한 늦게(문제를 거의 다 이해할때까지) 보는걸 추천드려요
윗분 의견과 같아요!
1. 어려움을 기피할수록 실력이 잘 안 늘어요. 쉬운 열지문 푸느니, 어려운 한지문 이겨내는 게 훨씬 큰 도움이 될 거예요.
2. 도저히, 도저히 안되면 해설지나 강의를 살짝 참고하시되, 꼭 n회독 하세요. 종국에는 스스로의 힘으로 뚫어내야 합니다!
2년전에 선생님께서 무료로 옾챗으로 상담해주셨었던
기억이 있네용 ..
그때는 뭣도 모르는 잼민이엿는데 벌써 의젓한 대학생이 되었네용 ..
그땐 정말 감사했습니당
시간이 참 빠르죠^^ 앞으로도 좋은 일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ㅎㅎ
기출문제 혼자 분석할때 그냥 ebsi에서 다운 받는걸 추천하실까요?? 추천 문제집이 있으심 추천 부탁드릴게요
뽑아 풀어도 되구요. 시중의 마더x같은 기출문제집 맘에 드는 거 아무거나 활용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