홉스 최소국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19120
홉스는 국가가 필요악이며
따라서 최소국가를 지향했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크럭스 컨설팅 예약 필독 가이드 안녕하세요, 크럭스(CRUX) 컨설팅 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19120
홉스는 국가가 필요악이며
따라서 최소국가를 지향했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크럭스 컨설팅 예약 필독 가이드 안녕하세요, 크럭스(CRUX) 컨설팅 입니다....
홉스가 군주주권론을 말하지 않았나요?? 아무리 국가가 필요악이라해도 최소국가론하곤 좀 먼거 같은데...(님이 말하시는 최소국가가 로버트 노직이 말한 그 최소국가 맞죠?)
딱히 노직이 말한 최소국가론 말고 일반적으로 사회계약론자들은 국가를 필요악이라 보고 최소국가를 지향했다고 배운거 같아서요
근데 홉스는 좀 아닌거 같은데..
윤사하는 사람입니다 국가를 필요악으로 보는 사람들은 근대 개인주의자들입니다 (아담스미스로 대표됨, 야경국가) 사회계약론자 중에서는 루소만이 작은 국가를 긍정했습니다 윤사내용 기준이니 참고정도만 하세요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루소도필요악이라고보나요? 홉스는 필요악이라고배웠는데 로크 루소는필요악인지모르겠네요
루소의 경우 국가의 형태를 여러개로 분류하고 그 중에서 직접민주주의를 하는 작은 국가를 긍정했습니다 그래서 루소가 국가를 필요악으로 보았다고 일반화하는건 옳지 않을듯합니다
로크는요?
로크도 국가를 악으로 보지 않습니다. 로크도 국가에 많은 권력을 위임해야된다고 봤습니다. '국가를 필요악'으로 보는 것은 근대 자유주의자들로 국한시키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들과 대립적인 수정자본주의자(케인즈), 사회주의자, 또 이들과 유사한 신자유주의들의 개념, 관계, 역사적 흐름 정도만 꼼꼼히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홉스 원전 보면 필요악이라고 나옴 최소국가는 절대 아님
그럼필요악은홉스로만알면되겠네요?
오 그렇군요 배우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