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리 석호 질문합니닷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18376
이전부터 궁금했던건데
파랑과 연안류의 퇴적작용으로 해안선이 변경되어 석호가 생기고 그 석호는 하천이 운반한 퇴적물이나 증발 등의 요인으로 인해서 규모가 축소되거나 없어지는데, 여기서 궁금합니다.
이전에 석호 안쪽으로 흐르고 있던 하천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없어지는건가요..?
제 얕은 지식으로는 알 수 없어 질문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수원지가 마르지 않는 이상 계속 흐르지 않을까요..? 석호를 메운 다음에 바닷가(고도가 낮은 지역)으로 흐를것 같네요.
저도 추측은 같은생각이예요! 수원지랑 석호 발달 소멸과정과는 관계없으니까요..
일반적인 석호의 경우 해수의 작용으로 인해 만 지형에
사주가 형성 - 발달 - 고립(석호 생성) - 빗물 유입 등에 따른 민물화 - 퇴적.. 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기억하고 있는데, 본래 하천이 흐르고 있던 곳에 생긴 석호?의 경우를 묻는것이라면 어떻게 되는지 저도 궁금하네요.
현역때부터 근 3년여를 묵혀왔던 질문.. 핳하; 어디 전공하신 분 없을까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