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수특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126540

생1 수능특강 81p 12번문제에서
ㄱ 농도는 혈당량이 높은 상태에서가 혈당량이 낮은 상태에서보다 높기 때문에 인슐린인것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쉿! 그분들을 놀라게 해서는 안 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126540
생1 수능특강 81p 12번문제에서
ㄱ 농도는 혈당량이 높은 상태에서가 혈당량이 낮은 상태에서보다 높기 때문에 인슐린인것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쉿! 그분들을 놀라게 해서는 안 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보자면
혈당량이 높은 상태 보시면
원래 ㄱ 농도 낮음(이때 인슐린 줜나나옴)
-> 시간 지나니 높아짐 (인슐린 존나 나온것에 대한 반응)
아마 23수능 때 비슷한 논리가 나왔을거에요 저도 현장에서 보고 엄청 당황했엇음,,
혈당량이 낮은 상태일 때는 왜 계속 글루카곤 양이 떨어지는 거예요?
딱 반대로 생각하심 됨
혈당량이 낮아서 글루카곤 농도가 높앗음
-> 그에 대한 반응으로 인슐린 나오기 시작하고 자연스럽게 글루카곤 농도 낮아짐
왜 높을때가 농도가 더 높냐 하면 그건 실측치로 문항 제작한거일거라 제가 뭐 설명할수가 없음 전공자가 아니라… 수특 첨봣는데 23수능보다 저게 더 어려운듯;
설명 감사합니다
혈당량이 높은 상태에서 시간이 0일때 인슐린이 많이 나오고 있으니까
그에 대한 반응?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글루카곤 농도가 높아진다는 말씀인가요?
예압 231110 참고하심 좋을듯

감사합니다근데 적어도 낮은 상태의 시작점이 높은 상태보단 높아야하는거 아니에요?
높은 상태의 처음 / 낮은 상태의 처음을 비교했을 때
높은 상태가 더 높은데
축에 대응하는 값이 다르다하면 적어도 축을 양쪽에 두개 그려야되는게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