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잘하고싶다 [360802] · MS 2010 · 쪽지

2015-10-29 09:40:54
조회수 357

윤리고수님 소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09465

1마더텅해설에 벤담 밀공통점이 도덕과 입법의 원리가 최대다수최대행복이라네요
벤담 만해당하지않나요 이지영샘이 그렇게가르치셨는데. .도덕의원리만공통아닌가요?
2인간은 세상에 한번내던져지자 이것이될까저것이 될까 자유롭게 선택하지만 불안을안고 살아갈수밖에없습니다 인간은 자유롭도록세상에내던져진 존재가아닐까요? 이걸 사르트르인지하이데거인지어케구분하나요? 문제푸는데 지장은없습니다만해설에 사르트르라나와있길래ㅂ.
3 지와 행의 본체는분리되지만 상호영향을끊임없이주고받는다 주자가할수있는말일까요?
4 해겔ㅇㅣ 자유가 절대정신의 명령을따른다고ㅂ보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안희자 · 526327 · 15/10/29 10:13 · MS 2014

    밀 제시문

    "단 하나의 명확한 행동의 준칙,혹은 도덕의 기준은 최대 행복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행복의 양 못지 않게 질의 문제를 고려한다"

    "밀의 시각에 볼 때에는 ,인간 행복을 결정하는 데 가장 기여하는 것은 고등기능의 발휘이며 그러한 발휘로부터 얻을 수 있는 즐거움이다.행복의 요소에 포함될 수 있는 것에는 또한 자유와 권력의식,안전의식,그리고 인성의 다양한 요소들간의 조화이다"

    밀도 당연히 행위공리주의자이므로 최대다수의 행복을 인정해요.

    다만 최대다수가 행복하다는 걸 어떻게 봐야하느냐(양만을 고려할 것이냐 질도 또한 고려할것이냐)에 따라

    다르다는 거죠

    행복을 인정하되, 벤담은 "행복"의 양을 고려하는 것이고 밀은 "행복"의 양 뿐만 아니라 질 또한 고려하자는

    겁니다..


    샤르트르가 내던져진 존재라는 걸 특히나 강조해서 제시문에 나오고

    하이데거는 주로 죽음에 관해 강조해서 제시문에 나옵니다.



    지와 행은 수양법이에요 "본체"라는 건 잘 모르겠고

    주자는 분리되지만 상호영향 끊임없이 주고받는다고 말해요.

    선지후행이되 결국에는 지행합일을 강조하거든요.

  • 윤리잘하고싶다 · 360802 · 15/10/29 10:19 · MS 2010

    아 질문의 요지가 밀이 입법의 원리가될수있는지입니다 이지영샘은 벤담이 행정가라서 입법가능한거라고 하셨거든요 그리고4번도답변해주시면감사하겠습니다

  • 이안희자 · 526327 · 15/10/29 10:33 · MS 2014

    벤담이 행정가인지 뭔지 잘몰라요.. ..


    자유가 절대정신의 명령 따릅니다

  • 윤리잘하고싶다 · 360802 · 15/10/29 10:35 · MS 2010

    그거모르시더라도 밀이 입법의원리라고 말하는게가능할ㄲㅏ요?

  • 이안희자 · 526327 · 15/10/29 10:39 · MS 2014

    도덕과 입법의 원리가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고

    당연하게 여기고 공부해와써용

    나눠서 생각해본적이 없어서..

    근데 뭐 벤담이 행정가라서 입법주장한거라는 것까지는 처음 알았네요..

    ㅠ_ㅠ...;;

  • 수환이형 · 285572 · 15/10/29 11:00 · MS 2009

    밀.벤담 모두 됩니다.
    행위공리주의에서 행위는
    사적 행위와 공적행위로 나누어 집니다.
    사적행위는 개인의 도덕의 문제.
    공적행위는 정부와 의회의 입법의 문제입니다.

  • 윤리잘하고싶다 · 360802 · 15/10/29 11:17 · MS 2010

    오 감사합니다

  • 우마루 · 440898 · 15/10/29 10:58 · MS 2013

    2 현존재란 단어가 없으면 아무래도 샤르트르로 보는게 편하겠죠?
    3 지행병진을 길게 늘여놓은말같네요

  • 윤리잘하고싶다 · 360802 · 15/10/29 11:18 · MS 2010

    현존재 사르트르도 쓴다고 배웠는데요?

  • 우마루 · 440898 · 15/10/29 13:15 · MS 2013

    현존재는 하이데거가 쓴 용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