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얄제리 [551149] · MS 2015 · 쪽지

2015-10-28 14:58:25
조회수 285

윤리 고수분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06080

에게 질문드립니다

(헤겔은 강력한 정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가 맞는 선지인데 이게 어떻게 왜 맞죠??

또 아우구스티누스가 도덕적 덕과 종교적 덕을 구분했나요? 아퀴나스는 한걸로 아는뎁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Bloom · 591054 · 15/10/28 15:08 · MS 2015

    아우구스티누스는 플라톤을 계승함으로써 4주덕을 계승하고 중세 시대 철학가라서 3원덕도 중시해요.
    그래서 4주덕이 도덕적 덕이고 종교적 덕이 3원덕이라서 구분했어요.

    흠 헤겔은...홉스라면 맞을거같은데 헤겔은 모르겟어요

  • 로얄제리 · 551149 · 15/10/28 15:08 · MS 2015

    근데 몽몽 모의고사에서 저자분은 아우구스티누스는 구분하지 않는다고해서 헷갈리네요 ㅠㅠ

  • Bloom · 591054 · 15/10/28 15:11 · MS 2015

    정말요?? 저는 ebs에서 받은 답변인데...

  • 로얄제리 · 551149 · 15/10/28 15:14 · MS 2015

    "'아퀴나스는 종교적 덕과 도덕적 덕을 구분하여 설명합니다. 그 중 종교적 덕을 통해 완전한 행복을 실현 할 수 있다고 봅니다. 반면 아우구스티누스는 구분을 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말씀하시더라구요

  • Bloom · 591054 · 15/10/28 15:23 · MS 2015

    누군가 해결해주시길 기다리죠 ㅋㅋ

  • Gitanjali · 530411 · 15/10/28 15:20 · MS 2014

    ㅇㄹㅇ

  • fCDlY1hHJ5tjne · 610609 · 15/10/28 15:43 · MS 2015

    헤겔은 국가를 절대정신이 역사에 구현된 이상적 존재로 보았습니다. 따라서 저 선지는 옳다고 볼 개연성이 있습니다.

    헤겔 본인의 철학으로 인해 생전에는 국가철학자 존경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이성, 국가를 강조하는 헤겔의 철학은 헤게 사후 나찌즘을 옹호하는 논리로 사용되는 등 사회에 부정적 영향을 미첬다고 평가받기도 합니다.

  • 이안희자 · 526327 · 15/10/28 15:52 · MS 2014

    헤겔은 시민사회의 무질서함을 제어할수 있는 군주의 권력을 강조해요.!

    전제군주제까지는 아니지만 입헌군주제까지는 허용합니다

    제시문

    "헤겔 국가관의 특징은 국가,즉 전체가 개인 또는 개별적인 것보다 우월하다는 생각이다.헤겔은 국가를 신격화함으로써 국가가 전능하다는 신앙을 심어주고 ,국가의 권위를 높였다.."


    당연히 아우구스티누스도 도덕적인 덕과 종교적인 덕을 구분합니다.

    구분해야 사람들이 도덕적 덕이 아닌 종교적인 덕을 향해 나아가죠.상식적인 겁니다.

  • 데리다 · 544618 · 15/10/28 16:15 · MS 2014

    교재 찾아봤는데 아우구스티누스가 플라톤 4주덕의 본질이 종교적 덕 중 하나인 사랑과 같다고 주장했네요( 같다 = 구분하지 않는다 정도로 이해하면 될까요?) 덕분에 하나 배우고 갑니다

  • 로얄제리 · 551149 · 15/10/28 18:58 · MS 2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