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01886







전부 차례대로 입니다~
38번에 4번이 답인데 (나)하고 (다)에서 어디서지 내적갈등이 일어나죠?ㅋㅋ
40번에 5번에서 '더욱', '없으랴'가 무심을 추구한다는 단서가 왜 되는 지 알고싶어요
42번에 1번과 5번선지만 해설 부탁 드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연세대 융합인문사회계열 정시 HASS 빠지시는 분ㅠ 12
예비 1인데 ㅠㅠㅠ 빠지시는 분 댓 좀 달아주세요ㅠㅠ
40번에서 제세현이 더욱없으랴 라는말은 세상에 나말고도 대단한인재가 설마없겠냐 굳이 세상에 내가필요하지않으니 신경쓰지말자. 라는의미입니다
내적갈등은 대부분의 시에서 나타납니다 38번에서. 그냥 고민하는모습등도 모두 내적갈등이라고 볼수있습니다
나시하고 다시에서 어느부분이 내적갈등 인가욥?
저도 정확히 어느부분이다 라고 집어주진못하겠네요ㅠㅠ 그냥 (나) 시는 전체적으로 혼자 의지를다지고 내적으로 방황? 이런것도 다 내적갈등이라 볼수있고. (다)시는 가장으로서의 책임과 가난한삶속에 자신의 자녀들에대한 미안함같은것이 내적갈등이라고 볼수있을것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