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1 질문드립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90128
bod가 증가해서 미생물수가 증가하는건가요
아니면 미생물수가 증가해서 미생뭏 처리하는데 요구되는 산소량이 증가하므로 bod가 증가하는건가요??
그리고 bod와 do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고 봐도 무방한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90128
bod가 증가해서 미생물수가 증가하는건가요
아니면 미생물수가 증가해서 미생뭏 처리하는데 요구되는 산소량이 증가하므로 bod가 증가하는건가요??
그리고 bod와 do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고 봐도 무방한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오염 물질인 영양염류가 유입되면 미생물들이 그거 분해한다고 산소를 많이 필요로해서 BOD가 높아집니다. 반비례는 일차함수 관계일때만 성립해서 정확하게는 틀린 말이구요, 평가원 시험에는 '~가 증가할때 ~는 대체로 감소한다'등의 표현으로 등장합니다. 그리고 DO BOD는 그래프 주니까 그거보고 자료해석으로 푸시면 돼요.
미생물이 영양염류를 분해한다구요?? 그거먹고 증식이 많아지는거 아닌가요ㄷㄷ
분해하는거 맞아요 그래프보면 시간이 지날수록 다시 BOD수치가 낮아지잖아요
그건 유기물에 호기성박테리아 아닌가요??
저는 영양염류가 유입되면 미생물이 유기물 분해한다고 BOD수치 증가하는걸로 알고있어요(인강에서 본 듯).영양염류 때문에 미생물 자체가 증가하는거는 적조(플랑크톤 증식)아닌가요? 만약 제가 틀렸다면 죄송해요.
bod는 do의 변화량입니다
즉 무슨소리냐
하천A의 물을 비커에 떠왔다고 합시다
그다음 하천물의 용존산소량을 측정하고
비커를 랩으로 감싸고 그다음 암실에 보관합니다
그다음 (몇일동안인지는 모르겠지만) 시간이 지난후에 다시 용존산소량을 측정합니다
그럼 처음값과 차이가 있겠죠?
그 차이를 bod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bod가 높다는말은 미생물이 많다 는게 아니라!
물속에 유기물의 양이 많다는것입니다
참고로 유기물의 정의는 아직도 논란중에 있는것으로 알고있어요
그러니 쉽게 똥! 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영양염류도 유기물에 속합니다
추가로 반비례라고 보셔도 무방하겠습니다 (적어도 수능수준에서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