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항식, 다항방정식, 다항함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861037
다항식입니다. 이런 식으로 생겼습니다.
독립변수 x의 값에 따라 하나의 값이 정해지는
종속변수 y에 대하여 y와 x의 관계를 우리는 함수라 합니다.
정확히는 독립변수 x와 x에 대한 종속변수 y에 대해
y를 x에 대한 함수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 x=1 대입했을 때 y값이 정해지면 함수라는 것입니다.
y=x+3은 함수입니다.
x에 뭐 하나 집어넣으면 y도 뭐 하나 나오기 때문입니다.
x^2+y^2=9는 함수가 아닙니다.
x=1 집어넣으면 y값이 2개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평면 상에서 x^2+y^2=9의 그래프와
x=1의 그래프의 교점이 곧
x^2+y^2=9에 x=1을 대입하는 상황을
뜻합니다. y값은 2루트2 혹은 -2루트2가 됩니다.
(y에 대한 이차방정식의 해를 찾는 과정)
y=루트(9-x^2)은 함수입니다.
x에 뭐 하나 집어넣으면 y도 뭐 하나로 나옵니다.
예를 들어 x=1일 때 y=2루트2이고
x=-1일 때 y=2루트2이기 때문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수학(하)에서 함수 공부할 때
살펴보는 것으로 합시다.
독립변수 x와 종속변수 y에 대해
y가 x에 대한 다항식으로 작성되면
y를 x에 대한 다항함수라고 합니다.
앞서 다항식의 예로 들었던 식들에 관한
다항함수의 그래프가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이때 일차함수와 이차함수를
중학교와 고등학교 1학년 때 배우고
삼차함수와 사차함수를 고등학교 2학년 때 배웁니다.
일차함수, 이차함수는 '특성이 이러하다' 식으로 배우고
삼차함수, 사차함수는 '도함수'의 개념을 활용해
일차함수, 이차함수의 그래프로부터 그래프를 그립니다.
수학2에서 학습합니다.
이차함수는 보시다시피 빗살무늬토기의 단면처럼 생겼습니다.
최고차항인 이차항의 계수가 양수이면 빗살무늬토기이고
최고차항 계수가 음수이면 뒤집어진 빗살무늬토기입니다.
때로 이렇게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어떤 이차함수가 y값으로, 즉
함숫값으로 0을 지니는 때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이차방정식입니다.
다시 말해 식을 정리했을 때
한 변에 어떤 문자에 관한 이차식,
다른 변에 0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면
그 등식을 이차방정식이라고 합니다.
이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x값을 찾는 것을
이차방정식의 해를 구한다고 하는데
주어진 이차식을 AB 꼴로 정리할 수 있다면
A=0 or B=0을 만족하는 x값을 찾는 방식,
인수분해를 통해 해를 구할 수 있습니다.
혹은 모든 이차식을 A^2+B 꼴로 변형할 수 있음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완전제곱식의 성질을 이용하는 것!
이제 양변에 루트를 씌워주면
경우에 따라 1가지 혹은 2가지 x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허수 단위를 도입하여
루트 안이 음수가 될 때도 이차방정식의 근을 논할 수 있습니다.
복소수 범위에서요! 하지만 보통은 실수 범위에서 논합니다.
이를 확장하여 n차 다항식에 대해
n차함수와 n차방정식 모두 논해볼 수 있습니다.
다항함수는 앞서 이야기했듯이 수학2에서 미분을 공부한 후
그래프를 그릴 수 있게 됩니다. 근데 이것은 연습 목적이고
실제로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수식 입력하시면 그래프 그려줍니다.
다항방정식은 앞서 보았던 이차방정식의 해를 찾는 과정과 마찬가지로
인수분해를 통해 A=0 or B=0 or C=0 or ... 식의 사고를 활용하거나
특정 차수의 다항식을 특정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음을 활용하여
근의 공식이라 부르곤 하는 무언가를 작성해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을 유도해봅시다.
참고로 앞서 봤던 이차방정식의 경우는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이라 부르며 수학(상)에서 학습합니다.
이차방정식의 경우에 (x+A)^2+B=0 꼴로 식을 변형할 수 있음이
근의 공식 유도 과정에 중요하게 존재했었고
삼차방정식의 경우엔 평행이동을 통해 삼차함수의 이차항 계수를 0으로,
혹은 x에 x+k꼴을 대입해 삼차식의 이차항 계수를 0으로 만드는 과정이
근의 공식 유도 과정에 중요하게 존재합니다.
이후 uv=-\frac{1}{3a} \left(c-\frac{b^2}{3a} \right) 을 만족하는
(u, v)에 대해
uv에 w^3을 곱해도 uv이므로
(u, v)와 (uw, vw^2)와 (uw^2, vw)에 대하여
세 가지 순서쌍에 대해 하나로 묶인 순서쌍의 두 값끼리
더해준 것이 삼차방정식의 복소수 범위에서의
세 근 (일반해) 이 된다.
사차방정식은 각자 찾아보는 것으로 하고
5차 이상의 다항방정식의 근의 공식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자세한 것은 갈루아 이론과 등등을 찾아보는 것으로 합시다.
아무튼 다항방정식의 근의 공식은 4차 이하의 다항방정식에 대해
유도할 수 있으며 교육과정 내에서는 1, 2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까지
학습하고 3, 4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은 배우지 않는다는 것.
3, 4차 방정식의 해를 구할 때는 특수한 방법들로 풀리는 경우만을
다룬다... 정도로 기억해두시면 되겠습니다.
즉, 해의 존재성을 따지기보다 공부한 방법론 잘 적용하는 것이
고등학교 1학년 수학의 목표이다!라고도 한 번 얘기해볼 수 있겠네요.
p.s.
고1 수학에서 학습하는 대부분의 곱셈공식, 인수분해 공식은
분배법칙에 따라 직접 전개해봄으로써 자연스레 유도해보고
외울 수 있다고 느꼈습니다.
그런데 저 두 개는 '이걸 어떻게 떠올리지' 싶은 느낌이
조금 더 강하다고 생각해서 그냥 외워주시면 좋겠습니다.
이런 식의 사고의 흐름도 이어가볼 수 있겠죠 ㅎㅎ
마지막 a=b=c 부분은 '만약 x^2 꼴이 0이 아닌 값을 지니면?'이라는
질문을 3번 반복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귀류법이라고도 합니다.
후에 체계적인 경우의 수 분류가 필요한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 문항과
다항함수 그래프 개형 추론 문항 등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사고 과정이니
관심 갖고 지켜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수능 수학에서뿐만 아니라 일상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경우의 수에 대해
어쩌지 어쩌지 하고 있을 시간에
일단 뭐 하나 잡아서 해보고
되면 좋고 안되면 다른 방법을 시도해보는 식의...
사고 과정으로 이어서 바라볼 수도 있으니
귀류법 자체를 찾아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가장 흔한 사례는 루트2가 왜 무리수인지를 증명하는 부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진사람 삭발하고 인증하기 ㅇㅇ
-
혀 닦다가 토함 11
ㅜㅜ
-
나 언제 죽음? 4
하 힘들어 ㅠ
-
1회 62점 2회 86점
-
어림도 없지 시발
-
윤사 기출 1
윤리와 사상 마더텅은 끝냈는데 다음으로 임정환쌤의 임팩트를 할까요? 아니면 현돌의 기시감을 할까요?
-
으흐흐
-
공부용으로 기출지문분석 / 해설집기능만들어봤음요 여기서 더 상세하게 모르는거도...
-
기철햄 들으면 개씹좆노베여도 3등급까지 떠먹여주는데 ㄹㅇ.. 홍보를 안해서 그런건가
-
근데안되는거암
-
님드라! 14
한 며칠정도 과탐만 해보는거 어때! 이거 감 좀 잡고싶어... 맨날 개념도 까먹고..
-
올해 초에 오르비 뒤집었다가 탈릅한사람 아닌가
-
그낭 하루종일 놀아버렸어 얼불춤 좀만 더하다 자야지
-
n제 여러권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얼굴 형이나 하관이 얄쌍한게 외모에 미치는 영향이 큼? V라인이라고하죠
-
먼저 자야겠네요 9
잘자요
-
과연 내년에 입학하고서 연뽕이 얼마만에 빠질까.
-
수학 풀이에 관하여 12
자기 맞는 풀이대로 푸세요 다만, 남(주변이든, 강사, 교사 등 선생님이든..)...
-
공부 안하던데 왜 잘하는거지
-
무슨일 있었는지 쭉 요약해주는 분 500덕 30분까지 제일 상세히 설명해주는 1분께 드림.
-
옛날 유저신가요 1
처음 들어보네요 반응 왤캐 뜨거움
-
25를 그렇게 내고 26을 불로 안낸단게 말이안ㄷ
-
조용하면 커뮤가 아니긴 해
-
비상교육 교과서에는 아예 없네 원래 직접적으로 언급은 안해도 문제로는 있던데
-
네.. 18
-
오늘 산거 10
냄새 ㅆㅅㅌㅊ
-
우우
-
라면추천좀 10
ㅈㄱㄴ 진짬뽕굴진짬뽕스낵면참깨라면진라면 너무많이먹어서 다른거 먹고싶어요
-
잇올 업키 3
성적 한 과목이라도 오르면 해주는거에요?
-
메인 무슨일임 6
왜 저분은 저격당한거죠
-
2028부터 삼각함수 덧셈정리는 간접범위에도 없음? 3
삼각함수 덧셈정리는 만국 공통으로 고딩때 배우고 들어온다고 가정해서 대학교재...
-
3합 6이상인 대학 지원할거고, 과탐1개 반영대학 지원할예정이어서요 수학...
-
오늘도 0
찬우쌤 강의 듣고 마무리 문학 공부까지 해서 너무 좋다. 찬우쌤 사랑해요. 심찬우
-
쇼츠로 보는데 꿀잼
-
국수영탐 백분위 85 94 2 96 91
-
정시가 바늘구멍 된다는건지 아니면 진짜 없어진다는 것인지?
-
무슨 말을 못하겠다 ㄹㅇ ㅋㅋㅋㅋ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