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국어에 관해 궁금한 것들 자유롭게 질문받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677073
저도 고정1은 아니었고 오히려 수능에서 잘 풀린 케이스긴 한데 그래도 나름 3->2->2->1로 스텝업하는 과정에서 나름대로 많은 고민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제 수험 생활에도 아주 많은 조력자들이 있었고 그들 없이는 무사히 치뤄내지 못했을 것임을 알기에 저 역시도 제가 가장 자신있는 과목에서 고민하는 수험생들을 조금이나마 돕고 싶습니다
특정 개념이든 공부법이든 뭐든 수능 국어에 관해 궁금한 점들 자유롭게 물어봐주세요
제 능력이 닿는 선에서 최대한 성심성의껏 답해드리겠습니다 답변이 늦을 수는 있더라도 무성의하게 쓰진 않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댓글 계속달리네
-
흠…있으려나
-
오전 11:59네이런밎친
-
늦잠잤다 0
오늘 완전 푹 잠
-
퉁퉁퉁퉁퉁퉁퉁 사후르가 세다는 사람이랑은 대화 안함 3
그거 다 바이럴 가짜뉴슨데 그거에 속는거 보면 하;;
-
국어 화작런 1
언매로 백분위 현역 64 재수 39 나왔는데 현실적으로 백분위 68정도만 나와도...
-
지금?
-
토론할 분 구함
-
회사가 달라서 여쭤봄 컴맹이라 양해좀
-
강기원 시즌2 0
장재원t 시즌2부터 듣고 있었는데 저랑 좀 안 맞는 느낌이라 지금 뒤늦게 강기원t...
-
봄바르딜로 크로코딜로 이거 ㅈㄴ ㅂㅅ 같다고 생각했는데 12
계속 보다 보니까 재밌노 ㅋㅋㅋㅋ 에라이
-
D-8 4
30문제 남았다 오후에 실모할지 복습부터할지 봐야겠군
-
그러합니다...
-
고1 수준이 절대 아닌 거 같은데 교육청은 막 중학교 졸업한 애들한테 뭔 짓을 하는...
-
여백에 회음후 열전 만년필로 필사했음 불려가는거 아니겠지 ㅋㅋ..
-
럭키 77 0
https://orbi.kr/00072740989/ 좋아요 77 캬 좀 더 글을...
-
어디갈까요 성적 최우선 다녀보신분들 장단점도 기술해주심 갬사하겠습니다..!
-
친척형이 준 국어의기술책인데, 친척형은 오래전에 수능봤어요 전 언어와매체 선택자인데...
-
아오오오오오오오 5
오니
-
에엣
-
모교 6모정원 60명이면 모집개시당일 마감일까요?? 0
그렇겠죠...?? 학교 특성상 학교응시n수생 60명 훨씬 넘을 것 같은데...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지금 페이스면 6모전에 딱 개념기출 1회독 할꺼같은데 속도 올릴까요?
-
현역 공부 효율 0
3모보고 멘탈 나간 이후로 공부가 잘 안되고,,, 원래 이정도로 수학이 안풀리진...
-
같은 문제라도 풀이가 ㄹㅇ 눈에 띄게 좋아졋군 상당히 좋군
-
난이도 어떤거같나요? 전반적으로 드릴345보단 쉬운거같은데
-
둗옹
-
독서 고1 기출 3
손실 보상 청구권, 실어증 얘네 풀어 보셨나요 하... 정보도 많고 용어도...
-
휴강인지 모르고 학교 갔네 카톡에도 동기가 톡 했는데 못 보고 도서관에 가서 중간 준비나 할까
-
어릴 때 이거 전집 읽었었는데 진짜 고전 소설 풀면서 엄청 도움된 듯
-
권태기가 온 내 일상에 흥분을 가져다주자
-
1960년대 부산대 화학공학과는 지금으로 어느정도였나요 ??
-
요즘 독감이 유행이래요
-
Fim풀면서 2
엄밀함을 많이 배우는 듯 실력이 부족해서 얻어갈 거 자체는 많았음
-
운문은 나름 치고 현대소설까지는 어떻게 어떻게 하는데 고전소설을 진짜 못 해 먹겠음...
-
사문 개념강의 다들었는데 다음 커리인 임팩트를 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그냥 기출푸는게 좋을까요?
-
메일 접수는 갓갓갓인데 이건 점 죳죳죳이네
-
열 바로 내림 근데 열은 내려도 아직 힘드네
-
재수로 약대에 들어간 사람입니다. 현재 2학년인데 약대를 다닐수록 한번더...
-
깨달은거 3
학교서 눈마주치면 어색하게 지나쳐야되는 사람들이 꽤 잇다는거 학교생활하지도 않았는데...
-
뭐지진짜
-
생1이 탐구 17개 과목중에 3등급 맞기 제일 쉬움 그 이상은 근데 존나 어려움...
-
비갤에 저격올라온거 보니 농어촌메타니 여러 저격메타니 보고 혼자 또 도파민 터져서...
-
평상시에 속으로 혼잣말 많이하고 뭐 생각할때도 속으로 혼잣말 많이하고 공부할때도...
-
시모노세키 끝 8
이제 히로시마로
-
0.999... = lim(x->inf),(1-1/10^x)...
문학 공부법이 궁금해요
구체적으로 문학의 어떤 부분, 어떤 영역이 어려우신 건가요
현대시랑 고전시가 푸시는거 관련해서요!
고전시가는 우선 고대, 중세 한국어 특유의 어휘나 표현법 등에 익숙해지는 게 제일 중요하고요(특히 ~곡으로 끝나는 작품들)
현대시는 간략하게 말하면 결국 작품의 전체적인 감정선을 얼마나 빨리 파악해느냐의 싸움인데, 이건 준비중인 칼럼에서 자세히 말씀드리도록 할게요
공통점은 '상식적인 감정선'을 웬만해선 벗어나지 않는다는 거죠 그냥 상식적으로 예상되는 다음 행동이나 반응이 그대로 답이 된다고 해야 되나
현 고3인데 아직도 언매냐,화작이냐가 결정이 안났어요..
둘다 풀이시간 비슷하고 틀리는 개수도 비슷은 한데 언매는 종종 3개까지도 틀려요..
지금 3개까지 틀리는 거면 오히려 상당히 잘 나아가고 계신 거에요 제가 볼 때는 언매 하셔도 큰 무리는 없을 것 같네요
다만 언매를 하실 거면 '품사'와 '문장 성분'의 정확한 차이만큼은 완벽하게 숙지하시는 게 낫습니다 음운변동을 제외한 거의 모든 문법 개념의 기반이거든요
오홍 감사합니다!
고전문학 공부법 궁금합니다
크게 고전시가, 고전수필, 고전소설이 있는데
고전시가는 우선 작품들을 많이 접하면서 고대, 중세 한국어 특유의 어휘나 표현법 같은 것들에 익숙해지는 게 제일 중요하고요(특히 별곡 시리즈 등등)
고전수필은 이번 수능 잊음을 논함처럼 말투 자체는 현대수필처럼 정제해서 출제하는 경향이 있기에 현대수필과 크게 다르게 공부할 필요는 없을 것 같고요
고전소설은 보통 영웅담이 많이 나오는데 글의 호흡이 길 뿐 내용의 큰 틀(권선징악이나 연애 등)은 정형화된 경우가 많죠 큰 틀 속에서 줄거리를 따라가며 숨겨진 단서를 찾는 게 중요합니다 생각보다 지엽적인 곳에 단서를 숨겨놓는 경우가 꽤 있거든요
1.이해를 위해서 천천히 읽으면 시간 부족할까봐 걱정하느라 집중이 안되고
그렇다고 빨리 날려서 읽으면 정답률이 답이없어요
이럴경우 나한테 맞는 정상속도?를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2.국어 누구 들으셧나여
1. 아직은 시간 의식하지 말고 지문을 온전히 이해하고 푸는 데 집중하세요
일단 본질적인 읽기 능력을 잡는게 먼저고 시간 단축은 그 다음이에요
정상 속도는 글을 이해하는 능력에 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여기까진 줄일수 있겠다 싶은 시간 아닐까요
2. 김동욱쌤 취클 교재만 풀었어요 인강은 들어본적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