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국어에 관해 궁금한 것들 자유롭게 질문받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677073
저도 고정1은 아니었고 오히려 수능에서 잘 풀린 케이스긴 한데 그래도 나름 3->2->2->1로 스텝업하는 과정에서 나름대로 많은 고민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제 수험 생활에도 아주 많은 조력자들이 있었고 그들 없이는 무사히 치뤄내지 못했을 것임을 알기에 저 역시도 제가 가장 자신있는 과목에서 고민하는 수험생들을 조금이나마 돕고 싶습니다
특정 개념이든 공부법이든 뭐든 수능 국어에 관해 궁금한 점들 자유롭게 물어봐주세요
제 능력이 닿는 선에서 최대한 성심성의껏 답해드리겠습니다 답변이 늦을 수는 있더라도 무성의하게 쓰진 않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디지몬 아닌 거 아무나 가져가셈
-
돈쓸때가없어서 그냥 한달에 몇만원씩 타서썼는데 신기방기
-
연세대학교 레어 1
자랑.
-
덕코주세욥
-
대 컨 관 2
-
덕코 좀 주셈
-
3개다
-
끼얏호우~ 1
-
에 1
우
-
엄마 화남 3
원래 컨비 엄마한테만 보탁했는데 올해 세금폭탄맞은 친부 카드 써서 화남
-
메가패스 0
이기상 선생님 강의하나만 보려하는데 너무 비싸서요 ㅠㅠ 같아 공유하실 분 있으실까요?
-
5분 만에 검색 기능이 생겼다
-
푸하하
-
도대체 뭘하면 2
컷보다 9점이 높은데 백분위가 96이라고 찍히냐 강X 등급컷 일 안하냐
-
영재학교 출신은 한과영 출신밖에 못 보긴 했는데... 0
확실히 한과영 출신은 뭔가 다르긴 했습니다. 이게 Something...
-
오뎅이 8
ㄱㅇㅇ
-
친칠라 3
귀여운
-
레어 검색 생김 4
-
덕분에 샀습니다 저의 1픽 게임
-
제가 낙찰받은 레어들 안들어와서 그냥 이미 상점에서 하나하나 사버렸는데 컨난지원금...
-
아 고만떼가 0
내 춘식이 고만떼가아 ㅠㅠㅠ
-
음하하하
-
오 기능 추가됨 0
헤응
-
제가 억울하게 렉걸려서 두번 누르다가 화면이 이상한데로 바뀌어지면서 다른 레어도...
-
공하싫 1
-
부탁드립니다
-
컴 아니면 신청못함?
-
오루비 재밌었다
-
레어가 도대체 뭐임? 이모티콘처럼 쓰는거임?
-
아 지금 ㅈ됨요 3
무수면 상태에다가 엉덩이 종기 ㅈㄴ 아프게 나고 아침에 라떼 먹고 유당 불내증...
-
두ㅜ두두 3
-
어떤가요???
-
수학 기출 공부 1
기출R 3회독 Vs 기출R 한번만 하고 다른 기출문제집 2회독 후자면 문제집 추천도 부탁드려요!!
-
레어샀다 4
후
-
레어 사세양
-
흠
-
ㅇㅇ
-
SEX
-
낙찰된 RARE는 그대로 낙찰된 사람에게 가는지 좀 알려주세용..
-
덕코주세요 4
50만덕넘게써서거지됨...
-
김준보다 낫다는 사람까지 있네 ㄷㄷ
-
레전드사건발생 2
너구리에 다시마두개들어잇음
-
이제 내꺼다
-
인싸들끼리 서로 나눠주고 나빴오!! 나같은 도태들만 뻘글로 덕코모으지 ㅡㅡ
-
제가 원래 아이즈원 멤버들 + 윈터 레어만 모으고 있었는데 오르비 기술의 부족함 +...
-
150만덕 모아야하네..ㅋㅋ
-
맞팔구 6
은테 사라질 위기여서 맞팔 구해요
-
10 11 12번대 빠르게 뚫고 나가는 거 연습하려고 정리해뒀는데, 혹시 필요하신...
문학 공부법이 궁금해요
구체적으로 문학의 어떤 부분, 어떤 영역이 어려우신 건가요
현대시랑 고전시가 푸시는거 관련해서요!
고전시가는 우선 고대, 중세 한국어 특유의 어휘나 표현법 등에 익숙해지는 게 제일 중요하고요(특히 ~곡으로 끝나는 작품들)
현대시는 간략하게 말하면 결국 작품의 전체적인 감정선을 얼마나 빨리 파악해느냐의 싸움인데, 이건 준비중인 칼럼에서 자세히 말씀드리도록 할게요
공통점은 '상식적인 감정선'을 웬만해선 벗어나지 않는다는 거죠 그냥 상식적으로 예상되는 다음 행동이나 반응이 그대로 답이 된다고 해야 되나
현 고3인데 아직도 언매냐,화작이냐가 결정이 안났어요..
둘다 풀이시간 비슷하고 틀리는 개수도 비슷은 한데 언매는 종종 3개까지도 틀려요..
지금 3개까지 틀리는 거면 오히려 상당히 잘 나아가고 계신 거에요 제가 볼 때는 언매 하셔도 큰 무리는 없을 것 같네요
다만 언매를 하실 거면 '품사'와 '문장 성분'의 정확한 차이만큼은 완벽하게 숙지하시는 게 낫습니다 음운변동을 제외한 거의 모든 문법 개념의 기반이거든요
오홍 감사합니다!
고전문학 공부법 궁금합니다
크게 고전시가, 고전수필, 고전소설이 있는데
고전시가는 우선 작품들을 많이 접하면서 고대, 중세 한국어 특유의 어휘나 표현법 같은 것들에 익숙해지는 게 제일 중요하고요(특히 별곡 시리즈 등등)
고전수필은 이번 수능 잊음을 논함처럼 말투 자체는 현대수필처럼 정제해서 출제하는 경향이 있기에 현대수필과 크게 다르게 공부할 필요는 없을 것 같고요
고전소설은 보통 영웅담이 많이 나오는데 글의 호흡이 길 뿐 내용의 큰 틀(권선징악이나 연애 등)은 정형화된 경우가 많죠 큰 틀 속에서 줄거리를 따라가며 숨겨진 단서를 찾는 게 중요합니다 생각보다 지엽적인 곳에 단서를 숨겨놓는 경우가 꽤 있거든요
1.이해를 위해서 천천히 읽으면 시간 부족할까봐 걱정하느라 집중이 안되고
그렇다고 빨리 날려서 읽으면 정답률이 답이없어요
이럴경우 나한테 맞는 정상속도?를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2.국어 누구 들으셧나여
1. 아직은 시간 의식하지 말고 지문을 온전히 이해하고 푸는 데 집중하세요
일단 본질적인 읽기 능력을 잡는게 먼저고 시간 단축은 그 다음이에요
정상 속도는 글을 이해하는 능력에 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여기까진 줄일수 있겠다 싶은 시간 아닐까요
2. 김동욱쌤 취클 교재만 풀었어요 인강은 들어본적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