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름산 [588070] · MS 2015 · 쪽지

2015-10-17 19:46:36
조회수 1,295

지1) 내행성 외행성 관측이 제일잘될때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63083

내행성, 외행성이 관측이 제일잘될때가

각각 내합, 충 인거 맞나요?


그리고 내행성중 수성은 외합부근에서 제일 밝기가 밝다고 들었는데

그러면 수성은 최대밝기인 외합에서 관측이 제일 잘되야되는거아닌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kiii · 567728 · 15/10/17 19:48 · MS 2015

    내합에있으면 태양이랑 같이뜨는데 안보이죠...

  • kiii · 567728 · 15/10/17 19:52 · MS 2015

    관측이 가장 잘된다는게 가장 밝다는 거라면 최대이각부근에서 가장 밝다고 알고있어요.
    외행성은 충일때 가장 밝습니다.

  • 포름산 · 588070 · 15/10/17 20:06 · MS 2015

    금성이 최대이각 내합 사이에서 가장밝지,

    수성은 외합부근일때가 가장밝은데요.... 외행성은 당연히 충이구요.

  • kiii · 567728 · 15/10/17 20:11 · MS 2015

    아 수성은 그런가요... 제가 잘 못알고 대답해드렸네요..
    근데 수성이 외합이면 태양이랑 같은데있는데 관측하기는 힘들죠
    외합이면 태양이 떠있을때만 수성이 떠있다는건데 관측이 힘들겠죠

  • 포름산 · 588070 · 15/10/17 20:53 · MS 2015

    그렇겠네요....
    그러면 관측이 잘된다는게 도대체 무슨말일까요?
    관측시간이 긴지점인지, 밝기가 가장밝은 지점인지, 시직경이 가장큰지점인지 뭔지모르겠네요 ㅠㅠ

  • 집독재생 · 577708 · 15/10/17 20:15 · MS 2015

    해랑 같이 뜨니까 수성은 관측하기 힘들죠 그러므로 ㄱ 땡. ㄴ도 땡 아니에요? 답 2번?

  • 포름산 · 588070 · 15/10/17 20:49 · MS 2015

    4번입니당

  • 집독재생 · 577708 · 15/10/17 21:13 · MS 2015

    근데 왜 금성 뜨는 시간이 중간에 왜 끊긴거에요?

  • 이번년도에 끝내자 · 491834 · 15/10/17 20:53 · MS 2014

    ㄴㄷ아닌가요?

  • 포름산 · 588070 · 15/10/17 20:54 · MS 2015

    넵 맞아용

  • Core_i7 · 509614 · 15/10/17 20:53 · MS 2014

    관측하다의 의미는 태양이없을때(밤에) 천체들을 관측할수있음을 뜻하는 말입니다. 그래서 이각이 클수록 관측가능 시간도 커지는 것이구요. 내합부근만 아니면 내행성들의 위상은 확인할수있으니 =(관측가능하니) 내행성들은 최대이각부근에서 가장 관측하기 좋습니다. 외행성은 말할것도 없이 충이고요

  • Core_i7 · 509614 · 15/10/17 20:54 · MS 2014

    내행성 관측하기 좋다 라는말의 의미는 관측가능시간이 가장길다는 말입니다. 거기다 금성은 덤으로 최대이각부근에서 최대밝기까지 되니 더좋겠죠

  • 포름산 · 588070 · 15/10/17 20:57 · MS 2015

    항상 코어님 지식에 감탄이 ㄷㄷ
    명확한답변 감사합니다

  • Core_i7 · 509614 · 15/10/17 21:58 · MS 2014

    헤헷 감사함다

  • 이끼만땅 · 568207 · 15/10/18 13:00 · MS 2015

    내행성의 시직경은 최대이각 부근에서 최대입니다 그리고 관측시간도 최대

    외행성도 충에서 시직경이 최대이며 망과 12시간 관측이 가능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