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24언매에 대한 생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600230
** 읽기 전, 좋아요와 팔로우는 더 나은 칼럼을 쓰는데 큰 동기부여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본체만채입니다. 문학 칼럼을 쓰는 동안 진행했던 질답 중, 그냥 칼럼으로 써보아도 좋겠다고 생각했던 내용을 잠깐 남겨봅니다. 이번 24 언매는 많은 언매러들의 당황스러운 시작을 알렸던 시험이였습니다. 아마도 내년에 언매를 준비하시는 분들은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막막하실텐데, 왜 이번 언매가 어려웠는지 잠깐 남겨보려고 해요.
언매 문제들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원래 알던 지식으로 뚫어내야하는 유형’이 있고, ‘시험장에서 읽어낸 지식으로 뚫어내야하는 유형’이 있습니다. 뭐가 더 어려울까요? 당연히 후자가 더 어렵습니다. 비슷하게 어려웠던 23학년도 수능의 언매와 24학년도 수능의 언매를 비교해볼까요?
23학년도 수능은 ‘지식형’이 많았고, 24학년도 수능은 ‘읽어내기'가 많았습니다. 2311의 고난도 문항이 35번과 37번, 2411의 고난도 문항이 35번과 37번이였는데, 이것만 봐도 23학년도 수능과 24학년도 수능의 어려움은 결이 달랐음을 알 수 있습니다.
24수능 35, 36, 37번의 공통점이라고 하면, 다른 문법 문제들과 다르게 이전부터 준비해둘 수 없고, 시험장에서 지문과 보기를 읽은 내용을 독해하고, 정리하여 풀어야했다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이 문제들은 '독서'의 '문법 제재' 지문을 읽는다는 느낌으로 풀어줬어야 했습니다.
35는 어쩌면 ‘문법’ 그 자체와는 거리가 먼 지문의 세부내용을 Search하여 풀어야하는 문항이였습니다. 그래서 '독서'라고 말씀드린거에요. 관건은 3-5번의 선지였는데, 이 선지를 푸려면 애초에 지문에서 용자례의 예시인 '콩'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유기적으로 연결하며 독해했어야 했고요. 3번 선지를 제대로 해결하시면 4, 5번 선지도 마찬가지로 해결하실 수 있었을 것입니다. 저는 4번에서 손가락을 걸었고요.
37번도 저는 딱 보기를 보자마자, '이건 내가 모르는 내용이니, 보기를 독서처럼 독해하고, 정리해서 풀어야겠다.'고 정리하셨어야 합니다. 저는 그렇게 하여 자연스레 ㄱ, ㄴ을 비교-대조하면서 보기를 읽을 수 있었고, ㄱ-1과 ㄱ-2의 차이가 양성/음성의 차이, ㄴ은 어간과 어미가 모두 바뀌는 형태, ㄷ-1과 ㄷ-2의 차이가 축약 가능성의 차이구나.. 라는 것을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정리하고 나서 1번 선지를 보니 '이렇-'이 음성모음이라는 것이 보였고, 바로 틀렸다는 것을 판단하여 손가락을 걸고 지나갔습니다. 이렇게 풀지 않았다면.. 굉장히 힘들었을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24수능의 변별력 있는 35-37의 문항은 '지식'보다는, '독해'를 요구했습니다. 앞으로 지문형 문법이나 보기에서 익숙하지 않은 내용이 등장한다면, 제가 37번을 독해했던 것처럼 독서처럼 읽으시길 권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식적인 면은 굉장히 중요하니, 언매 개념에 대한 학습도 게을리하지 마시구요. 아시다시피 39번 문항도 오답률이 꽤 높습니다. ‘부사’와 ‘부사어’, ‘관형사’와 ‘관형어’를 정확히 구분하여 분석할 수 있어야 했는데, 이 문항을 틀렸다면 개념적인 부분에 구멍이 있는 것일 수 있으니 다시 한 번 점검해보시길 권합니다.
정확하게 지식적인 부분들을 알아야 본인이 아는 것인지, 모르는 것인지 지문을 읽으며 구분이 되겠죠? 이번 24수능과 같은 상황은, 제 예상이지만 내년 사설 모의고사나 N제들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비슷하게 구성되어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비슷한 문제들을 풀어보며 털리는 과정 속에서, 24수능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본인만의 '문법을 독서처럼 정리하며 풀어내는' 행동강령을 만들어가시기 바랍니다. 언매 학습법에 대한 가이드가 제 칼럼 중에 정리되어있으니 참고해보셔도 좋을 것 같고요. 좋은 하루 되셔요!!
0 XDK (+1,000)
-
1,000
-
맞나 맞겠지
-
지금 쳐 일어나서 졸려하는 나를 보고 걍 안함
-
아오ㅅㅂ진짜 2
은행 qr 결제탭 찾다가 놓쳐버림 좀 잘 보이게 해놓으라고 아
-
으히ㅣ
-
생각보다 렉 안걸리고 빨리 되네요
-
간만에 모의고사 보러가서 너무떨려요..
-
다들 힘내보자구요
-
헤헤
-
러셀 6모 0
언제 열리나요??
-
참과 모순의 관계 모순(p and not p)거짓 모순거짓 대우명제는 무모순참...
-
심지어 교무실 들어가서 신청해야됨 ㅠㅠ
-
12000원 현금이라는건가
-
그냥 모평 안봐야겠다
-
잇올에 전화하니까 빨리 마감되어서 주의하라고 하고 이투스 247은 오프 신청에...
-
내년수능을 노리는게 맞을까 이번에 개빡세보이는데
-
현재 하고있는 뉴분감 복습이 끝나면 4의 규칙 시즌1을 푼 후 커넥션이나...
-
6평 접수했다 3
비록 노베상태지만 응시해봐야징~~
-
정국 혼란에 힘 못쓰는 원화…환율 1,500원 가나 2
https://n.news.naver.com/article/215/0001203820...
-
일하자 0
으아앙
-
연관 기출: 2022학년도 예시문항 12번
-
고2 아직 미적분, 수2 안 나갔는데 정시파이터 가능한가요? 2
수1만 두번 돌렸어요 이제 수1 기출 문제집 주문했고, 쎈c 할 차례입니다. 수2는...
-
6모 러셀 접수 2
폰이나 패드로 해도 접수 가능한가요..? Pc만 가능하고 그렇진 않은지 궁금합니다
-
배때지 십돼지 됐네
-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최근 국방부에 배포한 ‘임시 국가 방어 전략...
-
가깝자나
-
프섹)거지 ㅇㅈ 5
내 크탈 ㅠㅠㅠ
-
얼버기 8
폐렴구균 복습 시작
-
여보쇼. 그.. 거기에..
-
떳으니까말하지!!!!
-
ㅗㅗㅗ
-
89->90 이라는 가정하에 수능 전체에서 몇문제정도 더 맞춰야 평백 1이 오르나요
-
근데 진학사에선 0
국영수사과한 내신은 못 보냐 국영수과 국영수사 국영수사과 는 다 있는데;;
-
9시 부터 받으먼 딱 9시에 도착해도 되려나요 ㅠㅠ
-
22수능 택시에서 보시고 만점받으셨다함 진짜 씹곹
-
국일만 때 봤는데 저런게 있었나
-
가능하다면 대통령이 돼서 내 망해버린 인생을 조금이라도 살려다오...
-
등교중 2
-
그냥 수2인가
-
6평 신청 못하나요?? 자퇴 늦게해서 8월검고인데…
-
공부시작 1
이얍
-
얼버기 1
부지런행
-
벌써부터 일이 꼬이네 염병
-
계획 1
영어단어 영단어장 day 12(480단어)모르는 어휘 복습 수특 3강~도표...
-
“떨어진 시력도 회복” 한국 연구진, 세계 최초로 망막 재생 기술 개발 9
KAIST 김진우 교수 연구팀 손상된 시력도 회복시킬 수 있는 망막 재생 기술을...
-
응시 신청 접수 기간: 2025. 3. 31.(월) 09:00 ~ 4. 10.(목)...
-
D-227 0
영어 모의고사 분석 영어단어 day1(80단어) 생윤 1단원 복습 2단원 진도 수학...
-
말풍선 한개씩 붙여야겠다 개웃기네 이거 ㅋㅋ 흠.. 그정돈가 ㅠㅠ
-
틱택토 3
-
얼버기 2
공부하러가야징
선좋

문법....후...언매 공부량이 거의 탐구급이라는데 하루에 몇시간 정도 공부해야할까요??????
30분이라도 좋으니 “매일매일, 조금씩, 꾸준히.”!!

저 세트 지문은 보자마자 숨이 턱 막히던 기억이...꼼꼼한 개념을 바탕으로 한 독해가 참 중요하군요
화작 vs 언매의 선택기준이 무엇일까요?
ㅇㄷ
저도 고민 중..
본인이 국어에 시간을 얼마나 쓸 수 있을지가 기준일 것 같네요. 수학, 영어 등이나 국어 공통과목의 성적을 바탕으로, 본인이 국어에 하루에 1시간 정도 시간을 더 쓸 여유가 있는지 고민해보시는게 기준이 될 듯 합니다!!
올해 6월 9월에서도 저렇게 나오면 ㄹㅇ 화작으로 가는게 나을듯
저게 말만 언매지 그냥 독서였고 시간 엄청 잡아먹고 멘탈 갈리고 그랬음…
사교육으로 간파되지 않도록 출제하는 것이 목표인같으니 지엽 개념들을 암기하는거보다는 언매 특유 스타일의 문제 풀이 능력을 기르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함
내잘못이지만 언매개념 공부한시간 너무 아까움…
저 지문형은 진짜 ㅈㄴ 충격이었는데.. ㅋㅋ 한 5~6분 박았는데도 두 문제 다 모르겠어가지고 넘어가고 나중에는 결국 시간없어서 다 찍고...
ㄹㅇ비문학 1지문 추가였음
언매 독학서 추천쫌..
23은 언매에서 2개 나갔는데 24는 언매에서 5개 나갔네요... 화작으로 돌리는게 맞겠죠?
음.. 고민은 필요할 것 같네요..
언매지문형은 배경지식 도움받아서 모르는부분만 체크하고 읽는데 이번 수능은 앞에 비문학지문보다도 더 안 읽혀서 너무 힘들었어요 ㅠㅠㅠ 긴장하니까 대응되는거 찾기도 어렵게 느껴지고 이 부분을 보완해야할텐데 화작런하고싶으뮤ㅠㅠ
진짜 저 지문은...ㅅㅂ
원래 언매에서 시간 세이브하는데 저기부터 그냥 멘탈 터졌네요
안 그래도 문학 때문에 시간 너무 빡셌는데
지문형 훈민정음 보고 맨탈 터져서 그대로 날려읽고 ㅈ망함...하...
이게 맞음 걍 언매하면 ㅂㅅ인 수준
근데 화작은 표점이 너무 안나와서...

언매칼럼 찾아주실 천사분 대댓좀..ㅎhttps://orbi.kr/00066044502/%5B칼럼%5D%20언어와%20매체%20학습%20가이드
25수능은 역배로 노공부 언매 간다
어어..
작수 언매 뭐가 가장 어려웠나요?
37번 30초 고민하고 버리는게 낫겠다 해서 버렸는데 ㅋㅋ
개인적인 생각으론 37이였다 봅니다
다만 35는 지문에서의 압박이 컸고
좋은 판단이었네요 ㅋㅋ
35 36은 표 보고 뇌정지 오긴 했는데 답은 바로 보여서 운이 좋았던 것 같음
37은 뭔가 풀려고 들면 말릴거같아서 바로 버리고 omr 내기 전에 좀 보다가 틀렸네요 ㅋㅋ
지금까지 언매 기출에서 새우볶음 이런 형태소로 치사하게? 변별하길래 그거 조심하자 생각했는데 이번 언매는 느낌 좀 달랐던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