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1 칼럼) 지구과학에서 평가원의 언어와 해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554783
24 수능 16번 문제를 틀렸다면 꼭 읽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평가원 문제를 풀다보면 종종 'A에 대한 B'라는 표현이 등장합니다.
B/A를 물어보는 것인데,
이번 수능 16번 문제 ㄷ 선지의 경우 문장 자체가 길다보니 A/B로 잘못 독해하여 틀린 사람들이 꽤나 많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ㄷ 선지의 경우 질량과 반지름이 나와있으므로
질량을 반지름의 제곱으로 나누어 비교하면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만 평가원의 의도는 질량/광도를 수명으로 해석하라는 것으로 보이고,
이렇게 접근하면 더 간단하게 풀 수 있었습니다.
질량은 주계열성 내부에서 수소 핵융합 반응에 참여할 수 있는 수소의 총량과 관련이 있고
이는 곧 단위 시간당 방출하는 에너지인 광도와 관련이 있으므로 이를 광도로 나누면 별의 수명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글에서는 질량/광도가 수명과 관련있다는 점을 이야기하고자 하는 게 아닙니다.
만약 질량/광도가 아니라 광도/질량으로 보고 풀어서 틀렸다면
평가원의 표현 방식을 잘 몰라서 그랬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평가원은 'A에 대한 B'라는 표현을 쓸 때 의도를 담아서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당장 같은 시험지의 8번 문제 ㄷ선지에서도 '은하의 질량에 대한 성간 물질의 질량비'라는 표현이 등장합니다.
그런데 ㄷ 선지를 풀 때
"(성간 물질의 질량)/(은하 질량)인데 (은하 질량)/(성간 물질의 질량)으로 풀어서 틀렸어!"
라는 사람은 보이지 않습니다.
16번 문제와 차이점이 무엇일까요?
(18수능 지2)
24수능 지1의 8번 문제의 ㄷ 선지의 경우
이미 몇 차례 소개된 내용이므로 그 의미를 해석하는 과정이 어렵지 않습니다.
ㄷ 선지를 (성간 물질의 질량)/(은하 질량)이라고 해석한 후에 은하 질량과 성간 물질의 질량을 각각 고려하여 비교하겠다고 생각하기가 더 어렵고
대부분은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성간 물질이 차지하는 비율"로 해석하여 받아들였을 것입니다.
의미를 해석하여 받아들였기 때문에, 분자와 분모를 헷갈려서 생각하는 실수를 하지 않게 된 것입니다.
애초에 분수라고 전혀 생각하지 않고 넘어간 경우도 많았을 것입니다.
23학년도 수능 ㄷ선지에서도 비슷한 표현이 나옵니다.
'헬륨 원자핵에 대한 수소 원자핵의 함량비'가 아니라
'수소 원자핵에 대한 헬륨 원자핵의 함량비'를 물어본 이유는 무엇일까요?
ㄷ 선지의 표현은
'수소 원자핵에 대한 헬륨 원자핵의 함량비' -> 수소 핵융합 반응이 진행된 정도
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정말로 수소 원자핵과 헬륨 원자핵의 함량을 비교하고자 함은 아닐 것입니다.
이제 24수능 16번 문제를 다시 봅시다.
ㄷ 선지를 (광도)/(질량)으로 반대로 보고 틀렸다면
애초에 무언가 의미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조차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번 글에서는 '~에 대한'이라는 표현에 대해서만 다루었지만
결국 무언가 출제 의도를 담는 경우가 많다는 점은 항상 중요합니다.
조금 핀트가 다르지만 아래의 문제도 봅시다.
22수능 9번의 ㄴ선지를 봅시다.
'진짜 열이 공급되지 않아도 마그마가 생성될 수 있나?'에만 집중하였다면 틀리기 쉬운 문제였습니다.
㉡은 압력 감소 과정인데.. ↓ 이걸 왜 냈지? 뭘 물어보고 싶은 거지? ↓ 압력 감소 과정은 무슨 의미가 있지? ↓ 압력이 감소하면 온도는 크게 변하지 않는데 용융 온도가 변해서 마그마가 생성되지 ↓ 열이 공급되지 않아도 되겠네 ↓ 압력 감소 과정에 열 공급 과정이랑 뭐가 다른지를 낸 거구나 |
그 의미에 대해서 고민해보며 접근하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참고로 저는 당시 수능 지1 만점이었고 실제로 현장에서 위와 같이 생각했습니다.
생각보다 실전에서도 그 의미를 고민해보는 게 유의미하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른 칼럼 읽어보기
(지1 칼럼) 수능 지구과학에서 의문사가 많은 이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제 (거의)다 끝난 수시러로서 진심으로 고등학교 입학생에게 한마디 해줌 0
1.인원수 많은곳, 과중인 곳을 찾아가라 보통 과중인 학교는 높은 확률로 물화생지...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국수 100 100 아닌이상..
-
16일 출고면 내일 오후나 돼서 도착하겠죠?
-
미적->확통 물리->생윤 할 수 있겠지 진짜
-
'하니의 국정감사 출석'이라고 생각합니다.국정감사 발언은 속기록과 영상으로 영구히 남게 되거든요.
-
렌 2
천지에 번지는 꽃내음 봄이 드나 하였거늘 붉은 눈의 검객 지난 자리로구나 칼끝을...
-
(feat.교새)공립고등학교<<<이새끼는 절대 가지 마라 ㅋㅋㅋ 4
특히 지방 일반고+공립이면 진짜 개창임,,,ㅋㅋㅋ 성적 존나 높고 의대 ㅆㄱㄴ일것...
-
피램후에 기출? 0
피램생각전개1권 이번주면 끝나는데 기출분석강기분 새기분을 방학땨 듣는게 나을려나요?...
-
레어장착 1
-
이번에 폴드 민트 너무 예뻐서 사유는 고작 이거하나임 그리고 원신해야됨
-
수학이 하나도 기억이 안나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수학 노베이스...
-
로갓 상태로 눈팅하면 차단한 사람들 글 보게 됨..
-
여자는 성녀같은 여자를 만나고싶다 진실되고 자애롭고 때묻지않고 또 대화로 해결할줄...
-
ㅋㅋㅋㅋㅋ 2
-
이대로 계속 중독 되있다가는 수능 조질거같음
-
너무 졸려서 아무것도 못하겟어…
-
현재는 동욱쌤 방식과 비슷하게 그일끄풀방식으로 공부를 하고있는데 지믄을 읽을때는...
-
드디어 다 잃어버렸다 1년이면 오래 버텼다
-
영어는 습관이다 0
안녕하세요.절대평가인 영어, 하루 종일 공부하기에는 시간이 애매하잖아요. 점심시간,...
-
덕코 쓸일 없어서 ㅅㅅㅅㅅㅅ 선착순 1명 5000덕 드림 맞추신분 생기면 글 지움
-
애니프사 달고 헤헤 아스카쨩 스키다능 이러는 사람이 없어서 슬퍼..ㅠ
-
어케 복구함
-
서울대는 일반과 기준 어디가 더 위상이랑 선호도 높음??
-
물2러분들 0
지금 머공부중이심??
-
강철중 모고 0
작년 거 재탕인가요 신규제작인가요
-
단원별로 된거말고 모의고사형식으로 된 지1 N제있을까요? 2
단원별로 공부하니까 뒷내용 공부하면 앞내용 까먹고 앞내용 공부하면 뒷내용 자꾸까먹음...
-
상식이지? 경제 ㅈ도 몰라서
-
여러분이 의사돼면 미쳤어?? 간호사랑결혼할려고 내가 힘들게 의대나온줄알아???...
-
“반응해라” 0
국어공부를 하면 할 수록 저 말이 너무 맞말이라 웃김 ㅋㅋㅋ 아 첨 김동욱 들었을땐...
-
대충이라도 알려주실 수 있나요 ㅜ 국어가ㅜ낮은 바전으로..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https://vapingzone.kr/
-
학종 의대 0
수성고 일반고 재학중인데 학종으로 의대 어디 써야 되나요 총 내신 1.7이고 수학은...
-
[속보]경찰, 민희진 업무상 배임 '혐의없음' 결론 불송치[공식] 1
https://m.entertain.naver.com/home/article/108/...
-
월우러월월월워
-
병신임?? 뭔 준식이 드립이야 ㅋㅋㅋ 엄준식국어는 인증도 안햇잔ㅇㅎ너
-
인간채험 하고잇눈고임 야옹~
-
야옹 ~ 0
야옹 야옹 야아옹 .
-
강기원 수업듣는데 원래 킬캠정도만 사서 풀려고했는데 기원매스에서 팔아주길래...
-
이상형의 조건이 수십개야 ㅋㅋㅋㅋ 여러분 저렇게 까다로우면 저렇게 독거노인으로...
-
학교 오는 거 너무 힘들다 진짜 ….. 보고서 쓰라는데 지피티 논문 벅벅인데 이게...
-
수1복습 0
고2 4등급대인데 자이 한완수 한완기 중에 뭐로 복습하는게 좋을까요? 시발점도...
-
.
-
20회분 만팔천원 ㄷㄷ Omr도 있음
-
원가 35820원임니다 완전 새책임
-
제본 종이 두께 1
80g이랑 100g 중에 뭘로 해야하나요? 모고 아니고 예전에 학원에서 준...
-
7호차 3주 푸는데 기술지문 13-15분 걸리는데 정상임? 왜캐 어렵냐
-
너무한거 아니냐고~
굿
좋은칼럼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