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2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53777
유전자형 AA의 빈도와 Aa의 빈도가 같은 집단에서 유전자형이 Aa인 개체수와 aa인 개체수의 합은 1,200이다. (전체 개체수 3600마리) ( O or X )
여기서 p=0일수도 있다고 생각해야하나요?
p^2=2pq에서 p=2/3, q= 1/3인경우랑 p=0, q=1인경우 둘다 나올 수 있는건가요
아님 p=0인 경우는 불가능 한건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연세대 융합인문사회계열 정시 HASS 빠지시는 분ㅠ 12
예비 1인데 ㅠㅠㅠ 빠지시는 분 댓 좀 달아주세요ㅠㅠ
p=0, q=1이면 a유전자만 있다는건데 AA가 2400인게 설명이 안됩니다
글 수정했어요. 저 선지가 맞다는게 아니라 O,X를 고르는 문제였어요. 근데 어차피 두가지 경우가 다 된다고 해도 답은 둘다 X라 답고르는건 문제가 안되는데 p=0, q=1인경우가 될 수도 있냐 없냐가 궁금합니다.
p=0이어도 될듯?!
ㅎㄷㄷ..! 그럼 만약에요. p=2/3, q=1/3으로 구하면 2000마리 나오는데 수능에서 [ 유전자형 AA의 빈도와 Aa의 빈도가 같은 집단에서 유전자형이 Aa인 개체수와 aa인 개체수의 합은 2,000이다. ] 이렇게 나오면 p=0나올수도 있으니 x치실건가요?
수능에서 그렇게 안나오겠죠 ㅋㅋ p가 0이 될수 없는 조건을 달아준다던가.. 위 선지만으로는 p=0이 안된다는 말이 딱히 안보이는것같아요
왠지 p=0이 될 수 없는 이유가 있을 것 같지 않나요? ㅠㅠ..
근데 문제 의도상 p=0이 된다는거까지 고려하지 못하고 만든 문제가 아닐까 싶네요
그런 것 같네요
멘델집단이라는 전제가 없으니까 하디바인베르크법칙으로 유전자빈도를 구하는게 아니에요
아 문제 선지중에 일부만 따온거에요! 멘델집단이에요.
수능완성에 그런 문제 있어요 p=0일 때 고려해요
아 정말요? 감사합니다!! 혹시 몇페이진지도 알 수 잇을까요?
그것까지는 잘 모르겟네요 ㅜ
근데 실전 모의 파트였던거 같아요
정말 감사합니다. 찾아봐야겟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