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속도 a에 대해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531891
V-T그래프에서 기울기가 0이 아닌 일차함수의 꼴이라면
모든 구간의 가속도가 같고, 모든 구간의 순간 가속도와 평균 가속도가 같으니까 가속도 a가 시간이 언제이든 간에 같은 값을 가지는데,
만약 V-T그래프에서 기울기가 0이 아닌 일차함수의 꼴이 아니라면,
시간을 어디로 설정하냐에 따라서 평균가속도, 순간가속도 모두가 달라지잖아요??
그럴때 등가속도 공식이나, 운동량 보존, 에너지 보존 법칙 공식을 쓸 때 a의 값을 어떻게 설정해야 하나요??
문제에서 알아서 설정해주니 걱정 안해도 되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등가속도가아니니깐 등가속도공식을 못쓰구요,
운동량보존공식이나 에너지보존법칙공식이 뭔지는 모르겠으나 가속도를 시간에대한 함수로 쓰면됩니다. 근데 물1에서는 그런내용을 다루지않습니다.
감사합니다. 혹시 다른 질문 해도 될까요??
네
이 질문과 비슷한 맥락인데, 만약에 등속도 운동을 할 때 v는 어디를 시간으로 설정하든 모든 구간의 순간속도 = 평균속도이니 상관이 없는데,
만약 등속도 운동이 아닌 경우는 시간을 어디에 설정하느냐 따라 순간속도와 평균속도가 다 달라지잖아요??
그럴 때 예를 들어 1/2mv^2과 같은 공식을 적용할 때, v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나요??? 시간은 문제에서 알아서 설정해주나요??
댓글로 말하려니 잘 안되네요.
1/2mv^2은 운동에너지 공식입니다. v가 변한다면 그에 따라서 1/2mv^2값도 변하는거죠.
속도가 변함에 따라 운동에너지가 변하는건 당연한일입니다.
문제에서 만약 v=3일때 운동에너지를 구하라고 한다면 3을 대입해서 그 시점에서의 운동에너지를 구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더 공부해보면서 복습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