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잔틴史] 어려운 한국사 - 현대사 이것만 기억하고 들어가쇼 3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48628
3탄!!! 이구.. 좀 일찍 시작할껄.. 저도 압박이.. ^^ 현대사는 요걸로 마무리하고, 담번에는 근대사 정리해 드릴께요. 유용하게 쓰이는거 같아 마음이 완전 뿌듯해요~~!!
24. 기본적으로 한국의 대통령제는 4년 중임제였으나 유신체제 때 6년, 전두환 때 7년 단임, 87년 이 후 5년 단임제로 바뀌었다.
양원제 내각도 발췌개헌 때와 2공화국 때 밖에 없었다.
박정희는 공화당, 전두환은 민정당(민주정의당), 대표 야당은 신민당이다.
→ 개헌 과정을 일일이 1차, 2차 식으로 외울 필요는 없어요. 그냥, 이승만 발췌개헌-사사오입개헌, 박정희 삼선개헌-유신, 전두환 7년 단임제, 6월 항쟁 5년 단임제식으로 사건과 연결지어서 외우는게 훨씬 효과적이에요.
삼선개헌 때도 4년이기 때문에 삼선개헌과 유신을 구분할 때 4년과 6년으로 구분해두면 도움이 되요. 양원제 내각은 실재로 실시가 된 건 2공 밖에 없기 때문에 표 형태로 의석수 나오고 하면 무조건 2공화국이에요.
정당 이름은 기억해두면 여러모로 유리해요.
25. 1980년에는 서울의 봄, 광주민주화항쟁이 있었고 1987년, 전두환 집권 말기에 6월 항쟁이 일어났다.
박종철, 이한열 군이 죽었으며, 전두환은 4.13 호헌조치를 통해 정면 돌파하러 하였으나 ‘호헌철폐, 민주헌법쟁취’를 외친 6월 항쟁의 요구에 굴복, ‘6.29선언’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를 수용하였다.
→ 4.13호헌 조치가 정말 많이 나와요. ‘4.13 폭거’ 식으로 규탄 선언문 형태로 나오구요. 6.29선언은 올해 처음으로 평가원 모의고사에 나왔으니까 주의 깊게 기억해두세요. 전두환 정권 당시 노태우 민정당 대표가 선언한거에요.
26. 노태우 정부 때 ‘여소야대’ 국회 하에 5공 청문회가 진행되었으며 3당 합당을 통해 거대 여당이 다시 등장하게 된다.
한편 노태우 정부는 ‘냉전 붕괴’ 속에 적극적으로 ‘북방외교’를 천명, 90년대 초반에 소련, 중국과 수교를 했다.
→ 요거 많이 헷갈려해요. 노태우 정부는 ‘청문회’만 했고, 재판은 ‘김영삼 정부’라고 정확히 기억해야 합니다!
27. 김영삼 정부는 이승만 이래 최초의 ‘문민 정부’였으며 집권 초기 다양한 ‘개혁’을 추진하였고, 역사 바로 세우기를 통해 전두환-노태우 전대통령을 재판하기도 했으나 집권 말기 외환위기를 맞이하며 IMF에 구제 금융을 요청하게 된다.
→ 업적이 하나하나 시험에 다 나와요. 금융실명제, 부동산실명제, OECD가입, 전면적 지방자치제 모두 활용되니까 잘 기억해두세요.
28. 김대중 정부 때 비로소 ‘최초의 평화적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으며 햇볕 정책을 통해 ‘최초의 남북 정상 회담’도 이끌어 냈다. 또한 IMF를 극복한 것도 주요 업적이다.
→ 1997년 말 외환위기 발생했구요, 2001년 극복했답니다. 요즘에는 2006년 노무현 정부 때 한미FTA 채결된 것도 나와요.
정상회담은 두 차례 모두 ‘평양’에서 했구요. 김대중 대통령은 비행기타고, 노무현 대통령은 육로로 북행을 했답니다.
29. 유엔 감시 하의 남북한 총선거를 주장했던 통일 정책은 장면 정권 때이다.
→ 이건 2공화국 때 혁신계에서 주장한 내용인데 현재는 사실상 안나와요.
30. 72년 7.4 남북 공동 성명은 남북한 통일에 대한 대원칙을 합의한 사건이며, 이를 바탕으로 91년 남북기본합의서는 포괄적인 협력 방안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2000. 6. 15 공동 선언을 통해 구체적인 실행 방안들이 나오게 되었다.
→ 7.4남북공동성명과 6.15남북공동선언을 반드시 숙지해두세요. 어차피 3개 중에 나오는데 2개의 특징을 알고 있으면 그게 아닌게 남북기본합의서가 되니까요.
‘자주-평화-민족 대단결’이 7.4 핵심 키워드구요.
‘연합제와 낮은 단계 연방제 간의 유사성이 있다’는게 6.15 핵심 키워드입니다.
남북기본합의서는 ‘남북관계가 잠정적 특수 관계’이다 등의 여러 키워드가 있어요.
31. 최초의 남북적십자회담은 7.4 공동성명 직전, 최초의 이산가족 상봉은 85년 전두환 정권 때 이루어졌으며 남북고위급 회담은 노태우 정부 기간 때 본격화 되었다. 김영삼 정권 때는 핵위기가 발생하였고 ‘경수로 건설’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 1971년 최초의 남북적십자회담
1985년 최초의 이산가족 상봉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는 ‘남북고위급회담’중심으로 진행
1994년 북한 NPT탈퇴 및 핵위기 발생
앗, 남북이산가족 상봉 전에 ‘북한에서 수해 물자 보낸 것’도 기억해두면 좋아요.
32. 금강산 해로 관광은 정주영 회장이 98년에 얻어낸 성과이고 평양에서 이루어진 6.15 공동 선언 이 후 육로 관광이 이루어졌다.
→ 요즘에는 ‘현대그룹 정주영 회장’ 식으로 그대로 나옵니다. 1998년이니까 김대중 정부 시절이겠죠?^^ 1998년은 노사정위원회가 만들어진 해이기도 해요.
해로 관광은 배타고 금강산 가보는거고, 육로 관광은 버스타고 가는거니까 헷갈리시면 안되요.
33. 1970년에는 전태일 분신 사건, 새마을 운동, 경부고속국도 건설, 포항제철 준공 등 중요한 사건이 있었다.
→ 정확히 연도를 따지면 착공, 완공 등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1970년을 기점으로 전후 사정이 바뀐다고 기억해두면 되요. 시대 분위기 상 ‘새마을 운동’ 출제 확률이 높고, 보기도 매우 긍정적으로 나올꺼에요^^ 포항제철은 포스코를 말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쿠바나샷 3
랜만오
-
Rpm 다음으로 풀 문제집 고민입니다 쎈b 일품 일등급만들기 뭐가 나을까요??...
-
진짜 말 그대로..ㅜㅜ 계속 하다보면 갑자기 팍 오르나요 그냥 계속 밑 빠진 독에...
-
그 애완견들이 강사가 하는 말을 십분 이해했을지도 의문이고 고금으로 증명된...
-
가슴이 웅장해진다평가원 기출만 고집하던 나는 바보였구나.......21년~25년꺼...
-
251130 1
현장에서 해석도 제대로 못하고 포기했다가 얼마전에는 온갖노력을해서 낑낑풀었는데 이제...
-
반수 공부 2
시작하기 너무 싫다
-
김상훈 선생님 0
고전시가 tmi, 문학개념매뉴얼 중 뭘 먼저 들어야 하나요??
-
더 어려운걸 들고와라
-
근디 다 김미영팀장님임
-
내주변엔 현역~재수 중 시절 나를 포함해서 반비례하는 케이스가 너무 많음 바뀐 연대...
-
환율 뭐야 2
원달러 1480원 대라니...
-
성별은 남자기준이구요 개원한의사 정도면 전국 계층 상위 몇퍼 안에 드나요 ?
-
학교 vs 학과 0
둘 다 붙어면 어디가나요? 충북대 윤리교육과 가면 임용고시 볼 생각이고 경북대...
-
매일 +1점,국어 1등급을 만드는 완벽한 루틴 2026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대비...
-
스포츠판은 워낙 유명하고 롤판은 이제 슬 아이돌화가 돼서 더이상 이스포츠...
-
미적분 넘어온지 이제 4달? 되어갑니다 공통 베이스가 있어서 그런지 기출이나 엔제를...
-
미중분쟁때 얼마나 코스피 갈렸는지 보고오셈
-
[FIM 222] 2018 Epsilon 1회 30번 [FIM 222] 2018 Epsilon 1회 30번 7
문제가 생각보다 쉬운데 이게 맞나 ㄹㅇ 문제가 생각보다 쉬운데 이게 맞나 ㄹㅇ
-
현생에서 남자애들한테 보내면 씹게이소리듣고 여자애들한테보내면 오해생길까봐 못쓰겠음...
-
앞 네문제에서 어려운 27번정도는 가볍고 사점짜리 풀리는거 가끔있는정도는...
-
쪽팔림
-
의식적으로 자꾸 정리해야될까요 아니면 지금은 그냥 많이 풀어보면 되나요
-
ㅇㅈ 6
ㅎ
-
나도 올해 현역인데 이건 걍 대학 편하게가겠다는거 아님?ㅋㅋ
-
언매 버릴까요 0
작수 언매 다 맞고 24 언매는 2개 틀렸습니다 갠적인 사정으로 공부 시간이...
-
과학이나 서양철학은 이해가 쏙쏙되는데 동양철학 << 이새긴 뭐라는지도 모르겠고...
-
인생 어카지 2
배가 너무 고프다 세상을 잃었다
-
세상이왜이러냐정말
-
여러분 3
무슨 일이 생겨도
-
2025 수능 대비 소우주 모의고사: 신성 제 0호 수록 기하 2문항 드린거...
-
독학기숙학원 다니다가 넘 힘들어서 나와서 동네 독재 다닌지 한달안되는데 공부량이...
-
[속보]한양대 실험실서 황산 폭발로 화재, 학생 4명 다쳐 3
한양대학교 실험실에서 황산 폭발로 불이 나 실험 중이던 학생 4명이 다쳤다. 9일...
-
세금이장난이야?
-
취미로 시험후기나 올려야겠군
-
대통령 배출 해보셨습니까?
-
저번에 냇엇 베르테르 모의고사 3회 29,30번
-
[짧칼럼] 국어 백분위100의 도식화 (feat.비타민K) 7
안녕하세요 당해년도 9모 언매 3등급 >>2025학년도 수능 언어와매체 원점수...
-
미적하세요 미적
-
1학년인데 서울대로 편입한다는 친구 어떻게 해야함? 15
애초에 편입은 2학년 마치고 하는 거고 서울대는 학사 끝내고 가야하는 걸로...
-
독재학원다니고있는데 학원측에서 학원측에서칠지 모교에서 칠지 와서 적고가라던데...
-
흠 낙첨이군 0
2차추첨 응모 고고혓
-
와 진짜 ㅈㄴ 빡세네
-
외롭지 않다
-
ㅋㅋㅋㅋ
-
ㅋㅋㅋㅋㅋ
-
다풀었다 21
3639문제 정답률 78% 시험전 마지막 헬스 한번만 다녀와서 공부해야지
너무너무최고좋아여
고마워요~~^^ 주변에 널리널리 소개좀~~^^
몇 편까지 나오나요 선생님?? 완전 좋아요^^ 감사합니다!!
음.. 글쎄요. 10편 정도? 최대한 달려 볼께요^^
대박.....맨날 읽어요
근데 우리나라 지방 자치제의 역사를 정확히 알 수 있을까요??ㅠㅠ
이승만 정권 때 지방 자치제의 부분적 실시가 이루어쟜다고 알고 있는데
6.29선언문 내용을 보면 지방 자치제를 실시한다고 나와 있잖아요....
정확히 언제부터 시작한 걸까요??전면적으로 이루어진건 김영삼 정부고요!!
아.. 그게 시험은 딱 2가지만 물어봐요.
부분적 지방자치제. 1920년대 일제시대
전면적 지방자칮. 김영삼 정부.
왜냐면~ 이승만부터 전두환까지 말만 지방자치제였고 실재로는 거의 임명제였거든요.
복잡한 자료에 휘둘리지 말고 두가지 기준만 가지고 접근하세요. 다 맞출 수 있음!!^^
6평때는 419 이후의 지방자치 확대도 물어보지 않았었던가요 ㅠㅠ
아뇨~ 지금 약간 가물 하긴한데 그때 그런 얘기 있었는데 그 문제는 맥락이 달랐던걸로 기억해요. 혹시 더 궁금하시믄 여기다 이미지라도 붙여주심 제가 보고 말씀드릴께요^^
지금봤어용!!!
19번에서 4.19혁명 제시되고 적절하지 않은 것들 고르는 것이였는데
1번 선지 지방 자치 제도가 실시된 내용을 조사한다였어요. 맞는 선지였고요.
네네 맞아요. 근데 그건 제도 실시를 묻는게 아니라 4.19의 사회적 결과를 묻는 문제여서 접근방법이 조금 다를 필요가 있을거같아요^^
날잡고 몰아보려고 스크랩하고있습니다
항상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 근데 과외워너비면 대학생 아닌가? 지금 과외 할라고 제 글을 스크랩? ㅎㅎㅎㅎ
재수생 입니다만....ㅠㅠ
과외 '워너비' 죠 ㅠㅠ
^^;; 미안해요 ㅎㅎㅎㅎ 이제 한달만 있음 대박!!!!!^^ 적극 도울께요^^
사적인 질문이지만 국정교과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용.. 역사에 관심은 많은데 최근 많이 시끄럽더라구요..
단호히 반대합니다. 말로만 반대하고 있지 않구요^^
1편 블라인드 처리 된건가요?ㅜㅠ
아니에요. 다른 글 처리된거에요. 있어요^^
너무 좋아여! 잘 읽고 있습니당
고마워요!!^^ 세상을 감동시키는 인물이 꼭 되세요!!
감사합니다^^
그런디 쉬운한국사 파트는 언제나오나요??
너무 기대됍니다~
고건 일단 수능 끝나구요^^
항상 감사합니다! 주말에 다시와서 글 다읽으려구요!!ㅎㅎ
전근대도 해주세요 ㅠㅠㅜ 짤막하게
핵심요약이 진짜 좋은듯
시간 되믄 해드릴께요..^^;;
문화파트 한번만 정리해주세요 ㅠㅠ문화파트 어떻게 손대야할지 모르겠어요 정말
어 장면내각 때 5년임기아닌가요?저때도 년수 예외로 알고있는데요..!아니라면 정확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ㅎㅎ
그건 시험에 전혀 안나와요~ -.-
마른 잎 다시 살아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