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요짜요2 [590830] · MS 2015 · 쪽지

2015-10-10 15:37:54
조회수 442

이지영 스듀 사문 모르는거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27565

실험법의 장점이


1.인과관계규명 유리


2.정확성,정밀성


3.객관성 확보


이 세가지고


단점중


2.실제성 떨어짐(조작 및 통제수준 높음)


3.인간이라는 변수통제 곤란


이 있는데



실험법 장점이 정확성,정밀성이라 했는데


단점이 실제성 떨어짐이라는건 앞뒤가 안 맞지 않나요?


실험법의 장점이 정확성 정밀성이라 할수없지요 그럼... 


인간이라는 변수 통제도 곤란한데..



 아직 참여관찰법이랑 면접법 배우기전입니다.


이해하기 쉽게 자세하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카르풰디엠 · 363939 · 15/10/10 15:40 · MS 2017

    실험법은 실험자가 인위적으로 통제된 조건에서 실험하기때문에 참여관찰이나 면접보다 실제성이 떨어진다고 말할수 있는거고 마찬가지로 인위적으로 실험자가 만든조건이니 정확하고 정밀하다고 볼수있겠네요

  • 짜요짜요2 · 590830 · 15/10/10 15:45 · MS 2015

    조금만더 설명이 가능할까요 ㅠㅠ...실제성은 떨어지지만 정확하고 정밀하다는게;;;

  • 달리하니 · 547479 · 15/10/10 15:51 · MS 2014

    실험법이 조작및 통제 수준이 높기 때문에 실제성이 떨어지는 데요
    여기서 말하는 실제성은 reality를뜻합니다
    장점에서 나오는 정확성은 자료내용이 실험법으로 인해 좀더 정확하고 정밀한 자료를 얻을수 있다는 점을 뜻합니다

  • 짜요짜요2 · 590830 · 15/10/10 16:21 · MS 2015

    조작및 통제 수준이 높아 실험대상자인 음악을 듣게하여 공부하게하는 학생이 음악이 듣기싫어 이어폰만 꼽고 소리를0으로 줄인다면 문제가되잖아요 정확성이 떨어지죠 그러면

  • 핫식수 · 401314 · 15/10/10 15:49 · MS 2012

    실제성이라는 개념은 현실과 얼마나 부합하느냐의 문제이고 정확성과 정밀성은 통제된 실험상황 내에서 적용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상충하는 것이 아닙니다.

  • 핫식수 · 401314 · 15/10/10 15:51 · MS 2012

    윗분이 설명해주신대로 실험법은 변수 통제가 이뤄져야하기에 독립변인이 아닌 것들을 배제하게 되겠죠. 그런데 현실에서는 그 모든 것을 통제하는 것이 매우매우매우 어렵게 되겠죠. 따라서 실제성이 떨어지게 되는 상황이 생기는 겁니다.

  • 짜요짜요2 · 590830 · 15/10/10 16:33 · MS 2015

    조작및 통제 수준이 높아 실험대상자인 음악을 듣게하여 공부하게하는 학생이 음악이 듣기싫어 이어폰만 꼽고 소리를0으로 줄인다면 문제가되잖아요 정확성이 떨어지죠 그러면

  • 핫식수 · 401314 · 15/10/10 16:54 · MS 2012

    그건 실험의 변수통제를 피실험자가 임의로 따르지않은상황이죠. 님이 말씀하신 2.가 아니라 3.인 상황이 되는건데요?

  • choji · 594404 · 15/10/10 16:43 · MS 2015

    참여관찰법과 대조된다고 생각하시면 쉬워요
    참여관찰은 있는그대로의 모습을 볼 수 있어서 실제성이 높지만 실험범은 통제된 공간,시간에서 정해진 일을 수행하는걸 보는거라 그 관찰대상자 본연의 모습이라고 해야하나 그런걸 볼수는 없다는거죠

  • choji · 594404 · 15/10/10 16:45 · MS 2015

    이어폰을 꼽고 소리를 0으로 줄이는것은 변수통제가 어렵다는거죠
    분명 이어폰을 꼽으면 모두 음악을 들을거라 가정하고 실험하는데 돌연 누군가가 소리를 0으로 줄인다는것은 예상치못한,돌발적인 변수가 나타나는거지 정확성과는 거리가 멀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