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학 모의고사 1회문법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22701
게시판에 올려서 물어봤는데 이상하게 와서..
인수2 3강 6번의 자신의 의견을 "다른사람"이라고 하면 잘 밝힌다라는 지문인데요
On the basis that what people see in others reflects there own perspective, asking consumers [that] they think other people's motives are can be enlightening.
이라는 문장에서 중간의 괄호 해논 that이 아니라 what인데요.
asking consumers [that] they think other people's motives are can be enlightening.
asking consumers가 주어이고 that이 관계대명사로 쓰여서 that they think other people's motives가 주어를 꾸미고 뒤에 동사 이럴게 나온다고 하면
that이 관계대명사로 쓰여 앞에 선행사를 꾸미면 불완전이니 가능한거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통수칠 준비중인 아재인데 통합 수능 준비 할라면 그냥 시중 통합 사회 통합 과학...
-
재수생 6모 2
4월 10일 까지 모교 가서 신청하면 되는 거죠? 일찍 가면 좋고 그런거 없겠죠?
-
복귀중 0
으악
-
ㅈㄱㄴ
-
평가원 #~#
-
N제 해설강의는 1
다 보나요? 틀린것만 보나요?
-
“재수 1년 박아서 실패했는데 반수로 되겠냐“ → 4개월만에 반수 성공 “솔직히...
-
나 등장 6
밥줘
-
사탐 공부법 0
6모 1등급 목표면 6모 전까지 개념,기출,심화개념..어디까지 나가야할까요 사탐은...
-
제가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공부해도 걍 잠이 솔솔 오길래 요즘은 8시에 기상해서...
-
캬 인정하면 개추
-
고2때까지 잘 하다가(내신은 잘 나옴 근데 갓반고라 쓸 데는 없음) 고3때 놀아서...
-
갑 도가 을도 도가인줄.. (순자래) 최근 생윤에서 도가가 유교인척 하는경우가...
-
[속보] 플라이츠 "트럼프, 尹 공감하고 이야기하길 원해" 3
[파이낸셜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측근 프레드 플라이츠...
-
흑
-
박원순 김수현 나오는 릴스에 하트박아서 리포스트눌려있었네 미친
-
강릉에서 '5000억원어치' 마약이…'美 FBI' 첩보로 적발 1
국내 정박한 외국 선박에서 밀수로 의심되는 역대 최대 규모의 마약이 적발됐다....
-
정~말 피곤해 3
-
희영이가 오지 0
오케 사랑이란 폴린 오케 사랑이란 폴린 100에 400을 뚝 때 난 떨어지고 싶어
-
무잔이다!! 2
녀석은 목을 베어도 죽지 않아!!
-
토마토스파게티 만드는중 10
양파 많이넣었는데 약간 부자같아요?
-
만백?이 중요하니까 생윤사문하는게 국룰인가요.. 생윤 대신 괜찮은 과목 있으면 추천해주세요
-
라고 하지말고 찡찡대지말고 주어진것에 항상 감사하면서 좋은 환경에서 공부할 수있는거...
-
자주 들음... 근데 실제로는 싸가지 잇어
-
교재비는 얼마정도 나오나요?
-
맛점해라 게이들 10
아 질질 쌀 거 같아❤️
-
뒤지게 힘드네 요리하는 사람들 진짜 대단하네요
-
햇살 ㅈㄴ좋다 1
아침엔 좀 추운것 같다만 밥먹고 담배피면서 광합성 하니까 힐링이 따로없네
-
냐고!
-
이시기에 플만한 실모 있음? 그냥 기출 복습하는게 맞나
-
간계밥을 너무 짜게 만들었어요 요리 잘하시는분 있나요 제가 고용할게요 요섹르비언...
-
지면 수비❤️
-
해치웠나?<<이생각 하면 진짜 틀림 내가 틀린걸까?뭐 놓친거있나? 이생각 계속해야함
-
스탠다드 10~30번대 난이도 정도면 어려운편인가요?? n제 중에 뭐랑 난이도 비슷하나요?
-
감 못 잡으면 미적분보다 어려움 반박 시 니 말 맞음
-
내 저녁은 5
너
-
지하철 억까 1
왜 지하철은 배차간격이 10분이고 왜 내 앞에서 철벽을 치는거지..
-
간장계란밥+오겹살 13
-
벚꽃보러갈래? 2
네네네네네네네네
-
어제 무지성 n제 50번 풀다 떠올린건데 역 정사영인거임 한 평면위의 도형을...
-
이제부터 학원 쉬어서 수12 복습하려고하는데 스블 하는게 나을까 기코하는게 나을까
-
이미지 엔티켓은 그냥 아빠미소 지으면서 수학 풀게 되네요 현우진 선생님 고마웠어요
-
ㅈㄱㄴ
-
ㅎ
-
자취하다가 본가로 전입신고하고 휴학했는데 건보료 독촉 우편 왔는데 이거뭐냐
-
이 나라의 흥망성쇠가 내일이면 결정되겠구나
-
팔팔이 형이야
-
평가원 어려운 확통 기출만 선별된 거 있을까요.. 작년 수능 같은 거 아예 컷해...
~라는 점에서,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서 무엇을 보는지가 그들의 관점을 반영한다는, 소비자들에게
다른 사람의 동기가 무었인지 묻는 것은 재미질 수 있다. 해석이 이렇게 되는데 that... 은 좀 이상한듯?한거같기고 하는 거 같기도 하구요.
( ) they think on other people's motives 에서 that으로 오면 해석이 그들이 다른 사람의 동기를 생각한다는 것. 해서 요상해져요
정말정말 죄송한데 that일때랑 what일때앙 해석이 어떻게 달라진건지 알수있을까요???ㅠㅠㅠㅠ
어법상으로는 문제가 안되죠?..해석상 문제인거죠?
제가 어법문제를 어법으로 안 풀고 거의 해석으로만 풀어서...
3수생인데 고 2 부터 모의고사는 어법은 1문제도 안틀렸는데
어법적으로 엄밀하게 말씀드리기는 어렵네요 ㅎㅎ.
해석은 what 으로 하면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서 무엇을 보는지가 그들의 관점을 반영한다는 것을 기반으로 하면 다른 사람의 동기가 무엇인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고 소비자에게 묻는 것은 can be enlightening.
that 으로 하면 잘 안되기는 한데 굳이 하자면
~라는 점을 기반으로 하면 소비자들에게 그들이 다른 사람들의 동기를
생각하느냐라고 묻는 것은 can be enlightening. that 으로 해석하면 motives are 에서 are 이 붕 떠서 헤메는 느낌이네요. 그리고
무엇이 그들의 동기냐고 생각한다고 묻는 것 <-> 그들의 동기를 생각하느냐?고 묻는 것(붕 뜬 해석)
요 정도로 되는 듯 해요
감사합니다!! 죄송한데요 어법문제를 해석으로만 푸시면 불안하신다거나 그러하시지 않으세요??
해석상으로는 이상한데 내가 해석을 잘 못하는건지...해서 ㅋㅋㅋㅋ
그만큼 영어에 자신감이 있으시고 잘하신다는 소리이겠죠!
해석 감사합니다!! 어법적으로는 좀 알아봐야겠네요 공부영심히하세요:)
가끔 해석으로 안풀릴 때가 있는데 그때는 시제와 수일치 보면
항상 있었어요 ㅎㅎ...
우선 어법상으로 that 관계사가 들어갈 수 없습니다.
asking consumers [that] they think other people's motives are can be enlightening.
에서 that이 관계대명사로 사용이 가능하냐 여쭤보는걸로 질문을 이해했고 대답을 하겠습니다.
(that은 관계사가 아니다 라는 말도 있지만 편의상 관계사라 하겠습니다.)
명사를 꾸며주는 관계사절은, 본래 대명사+접속사의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즉 that은 관계사절 안에서 주어, 목적어 등 명사가 하는 역활을 해야되는데요.
뒤 문장을 분석해보면 완전한 문장입니다. consumers가 들어갈 자리가 없죠(당장 they가 주절이니 주격관계대명사로 할 수 있느냐? 라는 질문 자체가 성립하지 않습니다)
또 사람을 관계사로 받을 때 일반적으로 who를 씁니다 : ->
that이 아니라 what이 답이라는 건 뒤에가 불완전이라는 말 아닌가요?
that뒤에 they think other people's motives are로 불완전 아닌가요?ㅠㅠㅠㅠㅠ
해석으로 풀어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아 정정할께요. 뒤가 불완전은 맞는데요 (질문에 관계사절 are을 말 안하셔서, can be를 못보고 답했네요 죄송)
that이 asking consumers를 받는 관계대명사가 되면 are 뒤에 들어가야되는데(관계사절의 주어는 they니깐요)
asking consumers / [that] they think other people's motives are / can be enlightening.
그러면 관계사절로 놓고 분석해보면, that they(S') think(V') other people's motives(O') are(??) 로 이해할 수 없는 분석이 나오게 됩니다. 관계사절 내부 문장구조를 어떻게 분석하셨는지 궁굼합니다.
what they think other people's motives are 는 그들이 다른 사람들의 동기가 어떤지 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저는 they think는 삽입절로
asking consumers that (they think) other people's motives are
그들이 생각하기애 다른 사람들의 동기는 소비자에게 묻는것이다
라고 해석했거든요..해석을 워낙 딱 떨어지게 못해서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이러면 안되는 건가요?
맞습니다.
asking consumers [that] they think other people's motives are can be enlightening.
저 문장은 ask 에 대한 단어의 용법을 살펴보면 쉽게 해결 됩니다.
일단 ask 가 “물어보다” 란 뜻으로 쓰일 때 ask+목적어+that 절의 형태를 취하지 않습니다.
ask+목적어+what 절의 형태는 취할 수 있죠.
I’ve got to ask her what I should buy for her birthday gift.
이럴 경우 what 이 이끄는 절이 목적어가 되는 문장이 되어 당연히 불완전한 문장이 오게 되죠.
위에 쓴 예문의 경우에는 타동사인 buy 뒤에 목적어가 없죠? 그래서 불완전한 문장이죠.
그럼 글쓴이께서 질문하신 문장으로 돌아가서 ask란 단어의 용법이 아닌 문법적으로 저 문장을 본다면, consumer+[ ]뒤에 나오는 문장은 불완전 합니다. 왜냐하면 이 문장의 주어가
asking consumers [ ] they think other people's motives are 죠? 동명사가 주어로 온 경우죠.
근데 [ ]에 있는 문장이 불완전 합니다. be동사 뒤에 보어가 와야하는데 말이죠.
좀 더 쉽게 저 문장을 바꿔보면,
asking consumers [what] other people’s motives are 이 됩니다.
고객들에게 물어 보는 것, 다른 사람의 motives가 무언인지
저기에 they think 를 삽입한 겁니다.
asking consumers [what] they think other people's motives
고객들에게 물어보는 것, 그들(고객들)이 생각하기에, 다른 사람의 motives가 무엇인지
라는 표현이 됩니다.
죄송합니다만 that이 안되는 이유는 ask의 용법 때문이라..봐야되는건가요?
윗분께서도 쓰신 거 모두에서 찾을 수 있는 답일지는 모르지만 개념이 완벽하지 않아서인지 꼼꼼하게 읽어 봤으나 그 쪽으로 이유는 모르겠어요 ㅠㅠ
뒤에 불완전이 오고 what이 올 수 있는 이유는확실히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삽입 가능합니다. 위 분석의 경우 삽입절로 보지 않고 분석했을시 모순이 있죠? 그걸 이상히 여기고 삽입절로 분석하면 that (they think) other motives are 로 분석하면 됩니다.
추가 설명하려 했으나 아래분들이 상세히 답변해주셨네요
What=the thing which 로 이해하시면 더 편합니다~
Ps. Miller님이 일찍 답변드렸는데 감사합니다~
"윗분께서도 쓰신 거 모두에서 찾을 수 있는 답일지는 모르지만 개념이 완벽하지 않아서인지 꼼꼼하게 읽어 봤으나 그 쪽으로 이유는 모르겠어요 ㅠㅠ"
죄송합니다. 이 부분이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 ㅠㅠ
ask 의 용법에 관해서 모르겠다는 건가요? 죄송합니다. 난독증이 있나봐요 ㅠㅠ
ㅠㅠthat이 안되는 이유요!
관계대명사로 쓰였을 시 뒤에 불완전인데 해석적으로 때매 안되는건가요?
asking consumers that (they think) other people's motives are
그들이 생각하기에 다른 사람들의 동기는 소비자에게 묻는것이다
로 해석 하면 안되는건가요?ㅠㅠㅠ
아~알겠습니다~
일단 관계대명사가 아닌 이유에 대해 아직 좀 더 의문점이 있는거죠?
그럼 관계대명사라고 보고 한번 보면(좀 더 확실히 하기 위해 they think 는 삽입절이니까 없다고 생각하고 볼께요)
consumers that other people's motives are 이죠.
관계사 that 주격, 목적격으로 쓰이잖아요. 근데 관계사 절에서 that 다음에 주어가 있으니까 일단 주격은 아니죠.
그럼 목적격이란 얘긴데. 만약 관계사가 목적격이라면 목적어가 빠져나와서 관계사가 되는 거니까, 관계사 절에서 동사 다음에 위치하는 목적어 자리가 비어 있어야 하죠.
I want to buy the car that she has.
that she has 가 관계사 절인데 has 다음이 비어있는 것 처럼요.
그런데 글쓴이 분께서 질문한 문장에서는 애초에 목적격 관계사도 올 수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that 절에 있는 동사가 be 동사죠.
consumers that other people's motives are
be 동사 다음에는 목적어가 올 수 없죠. 보어가 오고요. 때문에, that 이 관계대명사가 될 수 있는
길이 없습니다.
아 그렇군요ㅠㅠㅠㅠ 불완전이면서 앞에 있는 명사를 넣을 수 있는, 주어, 목적어, 보어에 모두 가능한 줄 알았는데 아니였나보네요!!!
정말정말 마지막으오 하나만 여쭈어 볼께요ㅠㅠㅠ
관계대명사오 쓰인 that과 what을 구별할 때에는 뒤애 모두 불완전이나 해석밖에 없는건가요?
해석은 무슨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요...
what은 ~것 앞에 선행사가 없고
that은 선행사가 있고 수식하는 것으로 해석하면 되는 거 맞죠??
위의 많은 분들이 설명해주신 것과는 별개의 이야기로, 목적어를 가지고 있는 동명사는 일반적으로 관계절로 수식받지 않습니다. 사실 동명사 자체가 관계절의 수식을 잘 받지 않습니다. 받는 것처럼 보이는 동명사 중 많은 수는 -ing 형태의 "명사"입니다.
또한 관계대명사는 보어의 역할 역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만약 수행할 수 없었다면
"It's not what you think it is."
"I still love her, but she's just not the person that I thought she was."
"Is the person that I am today the person who I want to be?"
같은 문장은 말이 되지 않겠죠.
위의 예문들과 비슷한 관점에서 살펴본다면, (또한 동명사구가 관계사의 수식을 받는 것이 가능하다고 가정했을 때!)
"(asking consumers)_선행사 (that)_관계대명사 {(they think)_삽입 (other people's motives)_주어 (are)_동사}_관계대명사절 (can be enlightening)_동사 ~ "라고 글쓴이 분께서 추측하신 대로 우겨볼(?) 수도 있겠습니다.
문제는, 설령 위와 같은 구조를 인정하더라도, 글쓴이 분께서 해석하신대로 "그들이 생각하기애 다른 사람들의 동기는 소비자에게 묻는것이다"와 같이 해석되지 않고, 따라서 문장에 어울리지 않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들이 생각하기에는 다른 사람의 동기인) 소비자에게 묻는 것"이 되겠지요. 문장에 넣어보시고, 이게 문맥상 상당히 괴상하며 뜬금없지 않은지 한번 생각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해석 문제 였군요!! 해석을 문법에 맞게 해석하는 것도 중요할 듯 하네요 ㅠㅠ 해석을 정확히 못하니..ㅠㅠ
갑사합니다!!
이 특정한 문맥에서 좀 더 쉽고 간단하게 설명하려고 좀 극단적으로 주격과 목적격으로 나누었는데... 위에 precipitation 님의 말대로 관계사는 보어의 역할도 하죠. 제가 설명해 드린 부분때문에 혹시 이 부분 때문에 질문자 분께서 더 혼란스러워 졌을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f
그리고 글쓴이 분이 하신 마지막 질문을 보자면. 문법적으로 관계사로 쓰인 that 과 what 뒤에는 모두 불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This is what I like.
This is the thing that I like.
완전, 불완전을 구분하려면 명사절로을 이끄는 접속사인 that 과 구분(뒤에 완전한 문장이 오는)을 해야 합니다.
The problem is that she doesn't like me.
말씀하신 대로 what 은 선행사를 포함한 것이고(한국말로 바꿀 때 "~것" 으로 대게 쓰인다고 하죠),
that 은 앞에 선행사를 수식한다고 하죠.
그리고, precipitation 님이 설명한 것 중에 약간 clarify 를 하자면, 동명사 자체는 관계사 절의 수식을 받지 않지만, 동명사 뒤에 나오는 동명사의 목적어(즉 명사(선행사로 쓸 수 있는)) 는 상관이 없습니다.
Waiting for a woman who I really love is joyful.
Solving the problem that I had struggled with for months made me feel proud.
근데, 쓰고 보니 이미 알고 있는 부분인데 제가 괜한 오지랖 떤거 같기도 하네요 ㅋ
잘 정리 되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