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CHO GUSTO [593233] · 쪽지

2015-10-07 17:40:26
조회수 861

사문 완성 실전모 총체론적 관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13153

물어 볼 사람이 없어서요ㅜㅜㅜ

상대론적 관점 문화 연구 사례에서

- 스마트폰의 보급이 개인의 인성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연구

스마트폰-물질문화....는 맞는데

개인의 인성>>>이걸 문화로 볼 수 있나요????... 선지는 맞아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태연아ㅏ · 570851 · 15/10/07 17:58 · MS 2015

    물질문화 말고 비물질문화 아닐까요?

  • MUCHO GUSTO · 593233 · 15/10/07 18:40

    개인의 인성도 비물질문환가요?? 어메..... 연계교재가 맞다고 했으니 그렇다고 알아놔야겠네요...감사해용!!!

  • 태연아ㅏ · 570851 · 15/10/07 19:31 · MS 2015

    그냥 문화를 the way of life로 보면 넓은 의미에서 문화에 들어가지않을까 싶네요 ㅠ 애매한거 같긴 힌데

  • Freedom Dive · 565398 · 15/10/07 18:52 · MS 2015

    개인의 인성은 문화가 아니지 않나요?
    문화의 정의가 다수가 공유하는 공통적인 생활 양식이고 개인의 습관 같은걸 문화라고 하진 않지 않잖아요.

  • MUCHO GUSTO · 593233 · 15/10/07 19:02

    저도 이렇게 생각하는데 맞는 선지로 나오네요... 틀린거를 고르는 건대 답이 비교론적 관점이었거든요.. 그래서 이 선지는 맞아요. 실전모의고사 3회 7번 문제예요

  • Freedom Dive · 565398 · 15/10/07 22:17 · MS 2015

    문제 확인했어요.
    제 생각엔 선지의 서술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구성원의 신념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비물질문화 중 관념 문화니깐 '개인의 인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관념 문화로 볼 수 있겠네요. 그렇게 보면 선지는 1. '스마트폰의 보급'을 관념 문화라고 보는 것인지, 2. '스마트폰의 보급'이 '관념 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 알 수 없네요. 물론 스마트폰의 보급이 관념 문화가 된다는 첫번째 추측은 그 자체로 모순이고 두번째 추측은 가능한 진술이겠네요.
    무슨 말을 하고 싶은 지는 알 거 같은데 뭔가 선지를 만들다 만 느낌이 듭니다...
    찝찝하네요 ㅠㅠ 수능에 이런 것 좀 안나왔으면...

  • MUCHO GUSTO · 593233 · 15/10/07 23:08

    이렇게 애매한 것은 안나오겠죠???...이렇게만 알고 있어야겠네요 감사해요!!

  • 김부와 · 554433 · 15/10/07 19:04 · MS 2015

    관념문화로보는게아닌지. 비물질문화중 하나인 제도관념문화로..

  • MUCHO GUSTO · 593233 · 15/10/07 20:07

    네ㅠㅠ 그렇게만 알고 넘어가려고요! 듄에 나온걸 틀리게 하진 않겠죠!!빡공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