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베이스! · 565800 · 15/10/05 20:32 · MS 2015

    수완 없어서 모르겠는데 천구의 북극은 지평선으로부터의 위도나 위도에서 천정적위 뺀값임 ㅇㅇ

  • dlspej2 · 579437 · 15/10/05 20:34 · MS 2017

    다른내용이에요..

  • dlspej2 · 579437 · 15/10/05 20:34 · MS 2017

    다른내용이에요..

  • dlspej2 · 579437 · 15/10/05 20:34 · MS 2017

    다른내용이에요..

  • dlspej2 · 579437 · 15/10/05 20:34 · MS 2017

    다른내용이에요..

  • dlspej2 · 579437 · 15/10/05 20:34 · MS 2017

    다른내용이에요..

  • dlspej2 · 579437 · 15/10/05 20:34 · MS 2017

    다른내용이에요..

  • dlspej2 · 579437 · 15/10/05 20:34 · MS 2017

    다른내용이에요..

  • dlspej2 · 579437 · 15/10/05 20:34 · MS 2017

    다른내용이에요..

  • inborned · 588433 · 15/10/05 20:36

    만약 지구 자전축이 세차운동을 통해 지금과 반대가 되면 천구의 북극과 가장 인접한 별은 직녀성이 됩니다. 베가인지 알데바란인지 헷갈리네요; 아무튼 '북극성=천구의 북극' 이라는 명제는 엄밀히 말하면 틀린 명제입니다. 천구의 북극에 가장 가까운 별이 북극성일 뿐이에요. 지구 자전축 경사가 현재와 같을때의 천구의 북극에 가장 가까운 별이 북극성입니다.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가 변하면 자연스럽게 천구의 북극의 위치가 바뀌고 그럼 천구의 북극과 가장 가까운 별도 바뀔 수 밖에 없습니다. 지1 교육과정 기준으로 별은 천구상에 고정되어 있다고 배우기 때문에 천구의 북극이 세차운동을 통해 움직인다고 하더라도 북극성이 천구의 북극의 움직임을 따라 움직이지 않으니까요. 현재 북극성(폴라리스)의 적위는 +90도로 최대니까 북극성이 더이상 천구의 북극에 위치하지 못하게 되면 적위는 더 작아지겠죠. 그 어떤 적위도 천구의 북극에 위치했을 때인 +90보다는 클 수 없으니까요.

  • dlspej2 · 579437 · 15/10/05 20:43 · MS 2017

    아 그러면 그냥 북극성은 고정되어있다고 이해하면되겠네요 감사해요

  • inborned · 588433 · 15/10/05 20:46

    넵 북극성은 그냥 별일 뿐입니다. 현재 천구의 북극에 가장 가까워서 모든 일주운동의 기준점이 될 뿐 걔도 그냥 별이에요. 만약 지구 자전축 경사가 변하거나 세차운동을 통해 천구의 북극이 변화하면 북극성은 그냥 다른 별과 별반 다를게 없답니다. 말했듯이 만약 지구 자전축 방향이 13000년 뒤에 반대가 된다면 그때는 우리가 지금 직녀성이라고 부르는 녀석이 새로운 북극성이 되겠지요. 13000년 뒤의 천구의 북극에 위치하고 있으니까요. 어떻게 설명이 잘 되었나 모르겠네요 ㅠㅠ 열공하세욥!

  • Core_i7 · 509614 · 15/10/05 22:27 · MS 2014

    북극성이 별이름 (X)

    북극성 자리에 있는놈을 북극성이라고함 (O)

    북극성은 유동적입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