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향 [497113] · MS 2014 · 쪽지

2015-10-05 19:20:32
조회수 301

사문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05450

저에게도 님들에게도 도움되는 호혜적인 질답시간


1. 면접의 녹취록과 참여관찰인지는 비공식적 자료인가요?

2. 해석적 연구는 객관성을 지향하나요?.

3. '이주 노동자의 유입으로 인한 국제 결혼 증가가 다문화 가구 증가의 가장 큰 원인일 것이다'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는 무엇인가요?

4. '무감독 시험과 학생 자존감 간의 상관관계 연구' 는 원인에 해당하는 부분이 '변수'가 아니므로 부적합한 실증적 연구의 주제 아닌가요?

5. 감정이입적 이해는 주관적 이해는 아닌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객관적 이해인가요?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빛이 있으라 · 596292 · 15/10/05 19:26 · MS 2015

    이런거 안해도됨

  • 생수반대연 · 496908 · 15/10/05 19:46 · MS 2014

    2번관련 정확한 해설은 아니나 듄에 비슷한게 있어서 올려드려요

    *참여관찰법에서는 연구대상자의 행위를 연구자가 자의적으로 해석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상호주관성확보) 수특p34

    *연구자의 가치중립적 자세는 해석적연구에도 요구되는 것이다 2014 ebs

    지영쌤 4step중

  • 정호빈 · 602216 · 15/10/05 23:51 · MS 2015

    1번 공식적자료(비공식적 자료는 낙서, 일기 등)
    2번 패스
    3번 독립변수는 국제결혼증가 종속변수는 다문화가구 증가
    4번 적합한 연구주제 왜냐면 무감독 시험이 독립변수ex(감독시험vs무감독시험)
    5번 감정이입적 이해는 주관적 이해(감정의 이입때문)

  • 무궁화향 · 497113 · 15/10/06 13:11 · MS 2014

    답변 고맙습니다. 그런데 변수는 성별이나 연도와 같이 변화가능한값이 되어야한다고 알고있는데 무감독시험 이러면 고정된 값인것 아닌가요? 시험에서의 감독의 유무 이런게 변수가 될수있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감정이입적이해와 주관적이해는다른거라고 이비에스인가에 나와있네요.

  • trek85 · 577902 · 15/10/06 22:57 · MS 2015

    감정이입적 이해와 주관적 이해는 다릅니다
    해석적 연구를 할때 감정이입적 이해와 같은 방법이 이용되기때문에,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이 있다!
    는 선지는 맞는것이 되지만,
    객관적인연구를 하고자 노력해야 하는 것이고,
    따라서 상호주관성 이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되는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