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05450
저에게도 님들에게도 도움되는 호혜적인 질답시간
1. 면접의 녹취록과 참여관찰인지는 비공식적 자료인가요?
2. 해석적 연구는 객관성을 지향하나요?.
3. '이주 노동자의 유입으로 인한 국제 결혼 증가가 다문화 가구 증가의 가장 큰 원인일 것이다'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는 무엇인가요?
4. '무감독 시험과 학생 자존감 간의 상관관계 연구' 는 원인에 해당하는 부분이 '변수'가 아니므로 부적합한 실증적 연구의 주제 아닌가요?
5. 감정이입적 이해는 주관적 이해는 아닌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객관적 이해인가요?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이런거 안해도됨
2번관련 정확한 해설은 아니나 듄에 비슷한게 있어서 올려드려요
*참여관찰법에서는 연구대상자의 행위를 연구자가 자의적으로 해석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상호주관성확보) 수특p34
*연구자의 가치중립적 자세는 해석적연구에도 요구되는 것이다 2014 ebs
지영쌤 4step중
1번 공식적자료(비공식적 자료는 낙서, 일기 등)
2번 패스
3번 독립변수는 국제결혼증가 종속변수는 다문화가구 증가
4번 적합한 연구주제 왜냐면 무감독 시험이 독립변수ex(감독시험vs무감독시험)
5번 감정이입적 이해는 주관적 이해(감정의 이입때문)
틀
답변 고맙습니다. 그런데 변수는 성별이나 연도와 같이 변화가능한값이 되어야한다고 알고있는데 무감독시험 이러면 고정된 값인것 아닌가요? 시험에서의 감독의 유무 이런게 변수가 될수있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감정이입적이해와 주관적이해는다른거라고 이비에스인가에 나와있네요.
감정이입적 이해와 주관적 이해는 다릅니다
해석적 연구를 할때 감정이입적 이해와 같은 방법이 이용되기때문에,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이 있다!
는 선지는 맞는것이 되지만,
객관적인연구를 하고자 노력해야 하는 것이고,
따라서 상호주관성 이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되는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