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서울대 vs 연세대-하버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04796
서울대 학부 -> 서울대 대학원 이랑
연세대 학부 -> 하버드 대학원 중에서 택할 수 있다면 어떤게 더 좋으세요?
서울대 떨어져서 연대 간 언니가 서울대 못 간 컴플렉스 때문에(?) 악바리같이 공부해서 연대 하버드 전액 장학금 받고 들어갓는데
하버드 대학원은 비교적 들어가기 쉽다네요 ㅋㅋ 장학금도 많이 주고 (자기말로는...)
서울대 떨어진게 결과적으로 더 잘 풀린 케이스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하고 ㅎㅎ;
그냥 궁금하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식사와 카페인을 한번에 해결할 수 있고 맛있는거랑 맛있는거 섞어서 더 맛있어질 것...
-
진짜 평생 라면만 먹고살 수 있을정도로 라면 좋아했는데 아무것도 모르는...
-
송도 라면 3/8 13
해장 라면.
-
송도 라면 3/5 13
끓는 중
-
라면은 역시 5
뭐가 좋을까요? 추천받습니다
-
치즈볶이 먹고싶다 내 최애...
-
맛짬뽕vs너구리 2
아..고민입니다 둘중에 뭘먹죠 그냥 같이 끓여서 둘다 먹을까요
-
0. 시작하기에 앞서 난 음식에 있어선 원칙주의자라서 꼭 하라는 대로만 먹는...
-
짜파게티vs신라면+밥 14
뭘 먹죠... 지금 엄청나게 갈등중
-
염라대왕이랑 통성명 하고 왔습니다
-
라면 잘 끓이시는분들 조리법, 레시피좀 알려주세요 35
전 안성탕면이나 신라면, 오짬 즐겨하구요그냥 물양 적절히 조절하고파넣고 계란넣고...
네 그 중 더 실력있는 사람이요
한국은 무조건 학부가 중요
외국에서 살고 싶으면 덜 중요한가요~?
전공따라 다르죠
뇌교육 / 교육심리? 요!
학계나 연구쪽은 학부도 매우 중요하다고들었는데요
이공계쪽은 서울대 카이스트 포항공대 학부로 서카포 국내박사받고 연구잘하면해외박사랑 차이없다던데...
인지심리/뇌인지 쪽은 실상 자연과학 쪽이라 대학원(박사)가 더 비중이 높지 싶네요(애당초 인지과학 쪽에선 한국이 미국 못 따라가기도 하구요). 인문학, 특히 철학 같은 경우는 국내 한정으로 학부가 서울대 아니면 (학자로서의 길이) 힘들겠지만요.
뇌과학 분야에서 들어갈수만 있다면 하버드가 당연히 낫죠. 유학을 위한 경제력만 뒷받침된다면
전자
우리나라에서 살려면 하버드고 나발이고 서울대가 최고...
특히 저같은 경우는 공부가 죽기보다 싫고 그냥 졸업장이나 따서 돈이나 많이 벌고 싶기 때문에 서울대를 나와서 그 넓고 고급진 인맥 네트워크의 도움을 받고 싶음
저는 미국에서 살고싶어서 하버드.
한국에서 사는분들은 서울대.
교수 할 거면 무조건 유학(미국으로) 가는 게 좋습니다.
학계 있을 생각이면 무조건 미국이 낫지 않을까요
아무리 서울대가 좋아도 저같으면 후자요. 더 넓은 세계에서 실력을 키울 기회도 더 많을것같아요. 어느 대학을 나왔냐보다 무슨 일을 하고 사느냐가 더 가치있다고 생각합니다.
후자요
그리고 하버드 대학원 들어가기 쉽다는말은 처음들어봄 ㅋㅋㅋ
학부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특히mba쪽은 씹넘사아닌가요
하버드 대학원 박사학위면 국내에서 교수하지 않나요?
서울 모 대학 어문계열 교수이신 아버지께서 무조건 후자라고 하시네요.
박사까지 마친다는 가정하에서 무조건 후자입니다
연구소나 교수의 경우 특히!
제 친구 중에 서울대졸업 동대학원 졸업하셨고 카이스트 소속 연구소에 일하고 계신는
아버지를 둔 애가 한 말입니다
툭하면 자기 아버지가 대학원은 무조건 해외로 가라고 말씀하신다고....
뭐 취업할거면 하버드 안가는게 좋은데 취업할거 아니잖아요
닥후일듯;
하버드 들어가기 쉽다는 말은 첨듣는데.. 하버드 같은경우 대학원 합격률 저조합니다. 그리고 온 세계에 있는 엘리트들과 상대를 하는데 항간에는 서울대 학부 들어가는게 하버드 대학원 들어가는거 보다 어렵다는 말이돌던데 틀린말 입니다..
고민의 여지 없이 ㅆㄷㅎ
하버드 대학원(박사).. 서울대 과탑해도 가기 어려워요.
이거 전자 나오는거 보니 확실히 오르비네요 ㅎㅎ
대학원 간다는것을 학계에 남는다는것으로 해석했을떄는 닥닥닥닥후져 ㅎㅎ
서울대 석사나와서 바로 해외 명문대 박사과정 들어가는것도 쉽지 않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