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전의승부사 [553782] · MS 2015 · 쪽지

2015-09-30 11:26:41
조회수 501

사회문화 초고수분들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86828

상대적 빈곤율과 절대적 빈곤율이 같다고 해서 상대적 빈곤선(중위소득 50%)과 절대적 빈곤선(최저생계비)가 같다고 할 수 있나요?
예를들면 최저생계비가 100만원이고 중위소득 50%가 90만원이라고 해도 소득이 90만원-100원 되는 가구가 하나도 없으면 두가지 빈곤선이 달라도 속하는 비율은 똑같지 않습니까?

15년(작년) 9월 10번 문제 풀다가 생각나서 질문드려요 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효구리 · 549900 · 15/09/30 11:38 · MS 2014

    님이 생각하신 그게 교육청에서 이의제기를 했던 것이에요

    즉 90만원과 100만원 사이에 사람이 한명도 없다면
    빈곤선은 달라도 빈곤율은 일치할수 있잖느냐

    근데 이건 일종의 수학적 계산이에요

    인구수가 5천만명인데 과연 한명도 없을수가 있을까요?

    평가원은 '일반적인'국가에서는 이런 공백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여서

    그냥 빈곤율이 같으면 빈곤선이 같다고 처리함

  • 효구리 · 549900 · 15/09/30 11:39 · MS 2014

    간단히 말해서

    평가원을 따르세요.

  • 역전의승부사 · 553782 · 15/09/30 11:54 · MS 2015

    아 실례가 있었군요...!
    그럼 그리 납득하고 푸는게 답이네요... 이렇게 넘어가는거 정말 싫어하는데
    감사합니다 ㅠㅜ

  • 효구리 · 549900 · 15/09/30 11:56 · MS 2014

    수학과목이 아닌 사회과목을 배우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넘어가세요ㅎㅎ
    평가원이 갑이잖습니까 ㅋㅋ

  • 역전의승부사 · 553782 · 15/09/30 11:56 · MS 2015

    혹시 언급하신 이의제기 어디서 볼 수 있는지 알 수있을까요...? 기억나시면....

  • 효구리 · 549900 · 15/09/30 11:57 · MS 2014

    전 이지영 인강교재로 봐서 링크올리기 무리네요 ..

    님이 생각한 그 자체가 똑같아요 교육청이랑

  • 역전의승부사 · 553782 · 15/09/30 11:59 · MS 2015

    아! 전 최진기 들었는데 그런 언급도 안해줬네요 ㅠ
    감사합니다 ㅎ

  • 세요나야 · 596602 · 15/09/30 13:13 · MS 2015

    진기쌤 강의중에 이내용 언급해주시는데 예시가 명쾌해서 이해하기 쉬웠어요 ㅋ

  • 세요나야 · 596602 · 15/09/30 13:14 · MS 2015

    해당 문제들은 모두 A국 B국 이런식으로 국가를 기준으로 문제를 제시하기때문에 사회문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부분은 제외하고 생각해야 한다고요 ㅎ

  • 역전의승부사 · 553782 · 15/09/30 14:06 · MS 2015

    감사합니다 ㅠㅠ 제가 수업을 대충 들었나봐요 ㅋㅋ

  • 자퇴하고 재수 이키마쓰~ · 585081 · 15/09/30 13:17 · MS 2015

    평가원이 이의제기에 반박한 내용이
    '일반적인 국가에서는 현실적으로 일어날 수 없다'입니다..
    평가원이 참이요 진리요 하는 마음으로 풀어야합니다...

  • wlals11111 · 596618 · 15/09/30 13:26 · MS 2015

    최진기 올인원 개념정리에 다 있는건데

  • 역전의승부사 · 553782 · 15/09/30 14:07 · MS 2015

    아 그런가요.. 똑같은거 들었는데 제가 문잰듯

  • 뱃사람 · 490111 · 15/09/30 22:30 · MS 2014

    2016학년도 6평 이의제기에 대한 평가원의 답변입니다.
    "이 문항은 자료 분석을 통해 빈곤 관련 개념의 특성 및 변화 양상에 대해 묻고 있는 문항입니다. 자료에 제시한 ‘갑국’과 ‘을국’은 일반적인 국가로 상대적 빈곤, 절대적 빈곤, 최저 생계비 제도 등의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국가입니다.
    이의 제기의 주된 내용은 극단적으로 가구 수가 적거나 소득 분포가 불연속적인 경우 반례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의 신청에서 제시한 사례는 가구 수가 극단적으로 적고 소득 분포가 불연속적인 경우를 전제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국가에서는 발생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와 같은 사례들은 극단적인 상황을 임의로 전제하여 자료를 분석한 것입니다. 일반적인 국가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가구 수나 소득 분포의 연속성과 같은 특성이 나타납니다.
    이 문항에서 ‘모든 가구의 구성원 수는 동일하다’라는 단서를 제시한 이유는 일반적이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상황을 단순화하여 문항을 명료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이 문항의 문제와 정답에는 이상이 없습니다."

  • 역전의승부사 · 553782 · 15/10/01 00:22 · MS 2015

    명쾌하네여! 감사합니다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