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향 [497113] · MS 2014 · 쪽지

2015-09-29 22:14:39
조회수 421

생활과 윤리는 전통을 미화하고 있지 않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85094

부부 윤리 할 때요
부부유별이 부부간의 차이를 나타내지만 차별을 나타낸 것은 아니다 이렇게 말하는데

지금이야 좀 나아지고 있다곤 하지만 가부장적인 질서나 성차별적인 사회분위기가 어디서 유래됐는데

그렇게 말하니까 좀 아니꼽네요

칠거지악 같은 것도 결국엔 남성이 여성보다 우월하다는 인식이 기본적으로 깔려있는 것 아닌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리안엘 · 580752 · 15/09/29 22:16 · MS 2015

    바탕이 조선에서 비롯되서 그런듯...전 생알못입니다

  • thgiwovk · 493836 · 15/09/29 22:21 · MS 201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z(`o')s · 491346 · 15/09/29 22:22 · MS 2014

    저도그생각함ㅋㅋㅋㅋ음양론에서 남녀의 역할이 고정되어있는게 아니라고하는데 남자가 집안일하는거 극혐하는게 조선시대 사고방식인데

  • 하밀카르 · 598536 · 15/09/29 22:27 · MS 2015

    말그대로 이상적인거죠
    유교-성리학 원래 사람들 인식처럼 꽉막히고 멍청한 학문이 아니에요
    21세기 기준에서 보니까 다소 문제가있을 수 있지만, 그렇게 아니꼽게 볼 정도는 아닙니다
    고려는 남녀가 비교적 평등했지만, 유교적 문화가 자리잡을 시기였습니다
    불교덕분에 남녀가 평등했던건 아닌것 같습니다..
    유교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은 식민사관의 영향일 수 있습니다
    양명학을 보면 유교가 참 매력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어요 :D
    조선왕조 500년은 거저 얻은게 아닙니다 전통문화 굉장히 매력있어요..

  • 인수와N제 · 576290 · 15/09/29 22:34 · MS 2015

    거안제미와 음양론의 부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