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vs 경제 뭐가 다를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814361
수능 성적표도 나왔고 정시의 계절이 다가왔네요! 기분이 울적할 수도 있고 신나서 몸을 흔들고 있을 수도 있지만 입시는 그래도 최선을 다해야 하니 문과 친구들 대부분이 고민하는 경영 vs 경제 뭐가 다른지 한번 알아보도록 해요.
저는 서울대 경제/경영 중 한 곳에 다니고 있는데 제가 원서쓰던 2-3년 전에도 비슷한 고민을 했었습니다.
'아...경영쓸까...? 한글이름은 경영이 간진데...'
'스읍 근데 Department of Economy 못 참는데...'
따위의 생각을 했었어요. 그때도 막 오르비나 대학백과 이런 데 찾아보고 그랬는데 그래도 잘 모르겠더라고요...? '인싸면 경영 아싸면 경제' 이런 것만 기억에 남고. 그래서 찍다시피 원서를 썼었는데 그런 우를 방지하고자 경영과 경제를 원서쓰는 입장에서 비교해봤습니다.
렛츠 기릿.
(과 분위기나 이런 건 저희 학교 기준이라 학교마다 다를 수 있으니 대략적인 내용만 봐주세요)
1. 배우는 것
(서울대 경영/경제 홈피에 들어가시면 로드맵, 과목 이름 나와있으니 참조)
-경영
우선 경영학이 뭔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을 거다. 경영학은 말 그대로 '기업 경영을 위해 필요한 학문'이다. 이 말을 듣고도 이해가 안 가는 사람들이 많을 테니 풀어서 설명하면, 경영은 회계, 재무, 마케팅, 인사/조직, 경영관리, MIS(경영정보시스텝), 경영전략 등 7개의 학문을 뭉쳐서 부르는 말이다.
경영학과에 들어가면 회계, 재무, 마케팅, 인사/조직, 경영관리, MIS(경영정보시스텝), 경영전략을 배운다고 생각하면 된다.
회계는 말그대로 계산을 오지게 하는 거고, 재무는 자금조달을 어떻게 할지, 마케팅은 말 그대로고 인사/조직은 조직 운영 이론, 경영관리는 산업공학이랑 비슷한데 시스템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굴러가게 할지 배우는 거고, MIS는 경영에 필요한 IT 지식, 경영전략은 말 그대로다.
-경제
경제는 경영과는 다르게 하나의 사회과학 학문의 느낌이 짙다. 경제원론부터 시작해서 경제학을 다루는 데에 필요한 수학, 통계학 등을 배우고 미시경제학, 거시경제학을 배운 뒤 각론으로 넘어간다. 계량경제학, 노동경제학, 수리경제학, 행동경제학 등등 그냥 경제학의 여러 면모들을 배운다. 게임이론이나 <넛지>에서 다루는 내용, 수능 경제 내용이 다 경제학에서 배우는 내용이다.
문과의 수학과라는 별칭처럼 수학을 많이 쓰는데 공대만큼 쓰지는 않지만 경제 이론 자체가 수리적 서술이 된 부분이 많기 때문에 수학을 좋아하면 잘 맞을 수 있다.
2. 진로
이거는 대학별로 편차가 심해서 다른 학교가 어떻다고 말하기는 힘들다. 서울대 기준으로 보면 우선 경영 경제에서 겹치는 진로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특정 과가 좀 더 강세를 보이는 진로가 있는데, 컨설팅, IB, CPA 쪽은 경영에서 좀 더 많이 가는 것 같고 행시, 금공, 로스쿨은 경제에서 많이 가는 것 같다. 전공이나 활동을 보면 이럴 수밖에 없는 것 같긴 하다. 하지만 겹치는 게 많아서 경영에서도 로스쿨 많이 가고 경제에서도 CPA 많이 찍먹한다. 스타트업은 확실히 경영에서 많이 한다.
경영은 대학원을 가는 사람 진짜 별로 없고 경제는 그래도 약간은 있다.
3. 성향/특징
-경영
일단 경제에 비해 전반적으로 뭉치는 분위기가 강하다. 팀플이 학교 전체에서 손꼽힐 정도로 많고 대외활동이나 동아리, 학회 조직도 상대적으로 잘 조직돼있다. 입학하면 4개의 반으로 나뉘는데 반 사람들끼리도 많이 친한 편이다.(4개 반 중에서도 분위기가 조금씩 다르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수학보다는 영어를 많이 쓴다. 하지만 수학도 많이 쓴다.
-경제
경영에 비해 개인플레이 느낌이 강하다. 팀플? 그딴 거 없고 문제 잘 풀면 된다. 활동도 경영에 비해 많이 안해도 된다. 전반적으로 체감하기에 조용한 친구들이 약간 더 부각되는 느낌이긴 하다. 입학하면 3개의 반으로 나뉘는데 반 사람들끼리 친한 편이긴 하지만 으샤으샤 느낌은 아닌 듯. 뭔가 경영이 고대면 경제는 연대 느낌. 영어도 많이 쓰긴 하는데 수학이 좀 더 중요하긴 하다.
원서를 쓸 때는 우선 진로를 생각해서 하는 게 젤 좋을 것 같다. CPA, 컨, IB, 스타트업에 관심있으면 경영 쓰고 경제학을 배우고 싶거나 팀플 싫거나 행시, 금공 등에 관심이 많으면 경제를 쓰는 게 좋을 듯.
성비는 서울대의 경우 경영이 여자 비율이 더 높다. 대체적으로 경영이 영어 잘하고 경제가 수학 잘하는 건 맞다. 하지만 막 그렇게 심한 차이는 아니니까 영어 못한다고 경제 가거나 수학 못한다고 경영 갈 필요는 없을 듯 하다.
개인적인 의견이나 편견은 뺴려고 최대한 노력하고, 경영/경제 다니는 여러 사람한테 교차 확인받은 내용이긴 한데 혹시 반박시 그 말도 맞습니다. 질문이나 더 궁금한 거 있으시면 댓글로 ㄱㄱ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5꽉이 젤 재밋어
-
과탐을 잘하는 편임. 근데 과목을 새로 시작하고 수업을 들으면 수업내용 하나도 이해...
-
예상댓글) 이정도면 허수가 아니라 실수인데요,,,
-
얼탱~
-
ㅈㄱㄴ
-
근데 고등학교 내에서 공부를 잘한다의 기준이 뭐임? 15
내가 생각하는 기준이 널널한 건가?
-
빨리 나와라 0
으흐흐흐
-
못생김+사회성제로인데 고등학교에서는 공부로 도피가능했단말임..
-
인증한 여르비중 대표존예 ㄴㄱ
-
상대방의 몸을 더듬어요.. 어캄요?
-
우리 학교가 이상한 건가
-
삶은 반직선임 11
개멋지다
-
내신도 원래 2뜨는거 이거때문에 4로 꼴아박았는데 문제 접근도 못하겠고 망망대해에...
-
밀림의 왕 0
김범준 아이디어 훔쳐온 곳 : 포XX
-
수학 선행 국률: 수학의정석 과학 선행 국룰: 하이탑
-
내가본 수능이 0
작수가 돼써ㅠㅠ
-
뭐 자신감부족이 원인이라고들 하던데 이게 정도가 좀 심해가지고 생활에 문제가 가끔...
-
맥미걸 보신분? 0
유튜브에서 봤는데 무료로 성형해주는 프로인듯ㅋㅋㅋㅋ 고대생도 나오시던데…
-
A라는 개념은 b,c로 나뉜다 b의 특징은 d. c의 특징은 일단 ~d Ex....
-
걍 수학 잘하는 애들이 잘하는거 같은데
-
찐따라도 공부하면 모범생취급 ㄱㄴ
-
어케야돼 이거 ㅋㅋㅋㅋㅋ
-
우리학교 0
과오티 생겼네 히히
-
명문대 입시고트들이랑 소통하고 놀수있는 유일한 길임.. 난 못가거든
-
딱히 "이런 걸 곡선이라 한다" 하는 얘기는 못본거같아서 그냥 적당히좋으면 곡선이라하나
-
출처를 모르겠어요..!
-
실시간편붕이 5
덕코로결제해드렸다
-
그냥 머리 까고 다니셈 앞머리 스타일링 하고 덮은거 보다 걍 까는게 훨 나음 ㅇㅇ
-
언미영생지 25447입니다ㅜ한성대 예비 150번대 한신대 7번 한국공학대 20번대로...
-
너무귀찮네
-
귀엽다 0
흐흐흐
-
공부 ㅈㄴ해야함
-
의과대 한의과대 약학 / 한약과 추모 나온곳있나요
-
다시하기엔 시간 아깝고... 그냥 처음에 잘 해볼걸
-
흐흐흐
-
6모까지 탈릅 8
5시간 50분 남음
-
ㅈㄱㄴ
-
허수 기준 8
나보다 수학 잘봤으면 허수 아님 ㅇㅇ
-
배고파졌어 0
이상하다... 12시에 베토디 세트 먹었는데
-
21이요 ㅇㅇ
-
너무낮게나와서 좀충격인데
-
올해 황금돼지띠여서 사람 개많아서 입시 많이 불리함? 4
모집정원은 그대로니 작년에 비해 몇명이 더많은거지
-
공격적 발언 삼가하기 내가 제대로 알지 못하거나 해보지 않은 것에 대해 함부로...
-
아이큐 인증 10
온라인 아이큐는 안정확하니 깊은 신뢰 ㄴㄴ~~
-
혹시나 과탐 응시자들 중에 점수만 놓고 온 애들 위해서 교양과학(물리, 화학,...
-
상처받는 사람 있음 기만으로 밖에 안들림 ㅠㅠ
-
현역이고 겨울방학은 현우진 뉴런 수분감 커리 탔습니다 고2 수학 백분위...
economy는 못참는데 ㄹㅇ

간만이군요선추천 후정주행
그래도 설경은 경제죠?

역시 의치한수약보단 의치한약수죠?감사해옹
개인적으로 역시 경영보다 경제가 간지 나는 듯 ㄷㄷ
유익추
SNU Department of Economics.

갓 울 대대 울 대
상습숭배
둘다못가서울었다
고경과 서울대 낮공에서 상경계열 복과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는데 어떤것이 더 나은 선택일까요..?
제2외국어를 탈주해서 인문계열은 못쓰고 로스쿨 생각은 없습니다
꿈은… 금융권에서 일하는 것과 기업 임원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닥후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서울대 경제학과 들어가려면 필수응시과목이 있을까요..? 그리고 대학학과별 필수응시과목 보려면 뭐라 검색해야나오나요 ㅜㅜ
어…없을 걸요..? 어디가 사이트나 이비에스 보면 나와요
ib쪽이랑 스타트업 생각하고 있지만 학문 자체는 경제학에 관심이 많은데 서울대일 경우에 경제학에 진학해도 경영학 졸업자랑 큰 차이 없이 ib업계로 취업할수 있을까요? 동일한 능력을 가진 사람이라는 가정하에요
꿈일 뿐이지만 ib경험하고 스타트업을 해서 살아가고 싶습니다
경영학회 하시고 그쪽으로 노력하면 아마 될 거에요
증권사 취업시에도 설경영이랑 경제랑 큰차이가 없을까요?
실질적인 진로에 있어서 경영/경제 로드맵은 동일합니다
반수할 거면 경영학과 들어가는 건 좀 힘드려나요..?
어... 상관없지 않을까요
경제이론에 별 관심은 없는데 팀플은 좋아하는 편이 아닙니다.
이러면 설경vs설경제중 어떤곳이 더 학점따기 빡세나요?
진로는 로스쿨 생각중입니다
설경제가 전필이 적어서 로스쿨 노리시는분들은 전필만 채우시고 학점따기 쉬운것들로 학점 딴다고 들었긴 합니다 이것도 사실인가요..?
+영어도 잘하진 않습니다. 영어보다는 수학을 잘하고 좋아합니다.
다만 수능 경제는 쳐다보기도 싫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경제뿐만 아니고 로스쿨 준비는 보통 그렇게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사실 팀플은 좋아하는 사람이 없긴 해서 경제가 싫으시면 경영이 나을 듯요
아하 감사합니다 ㅜㅜ 그 1-2학기 설경 전필인 회계원리에서 고학번 cpa준비생들이 회계지식 복습한다고 수업에 앉아있으면 학점 양학당하는게 맞나요?
회원까지는 별 상관없는 듯 해요 중회부터 엄인데

형님 하나만 더 여쭤보자면컴개실이 설경 필수교양이던데 진짜 컴맹이어도 학점 잘받을수있는지 여부와
컴개실이 설경제 필교인지도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잘 받는 사람도 있는데 일단 저는 못 받았고요 ㅎㅎ
어차피 파이썬은 어딜 가나 한번씩은 다들 배워야하더라고요
음 A 학점 비율보면 비슷하긴 한데 경제가 약간 더 잘 줄 걸요...?
금융권 등의 1티어(?) 취업만 생각한다면 경제보단 경영이 유의미하게 나은걸까요..? 중앙대/경희대 경영/경제 놓고 고민 중인데ㅠ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어…그건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경영/경제 졸업 후 진로는 사실상 동일하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정말 조금이라도 더 끌리는 학문 선택하세요
여의도에 있는 각종 증권사를 IB라고 하나요..?
창업이 1순위 목표고 혹시 취업을 하게된다면 금융 계열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ㄴㄴib는 investment banking이라해서 투자은행임 증권사랑은 좀 달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