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시한 BigJohn) 색시한 19일 영문법 질문 놀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78512
[질의 응답 산파법 놀이 2014~2015 현재]
Q.
두번째날 동사-2편 17번에서요.
그의 고모가 옥스퍼드에서 교육받앗다는데 현재인지 과거인지 어떻게 알수잇는건가요?? 시간상 얘기를 들은 것보다 과거인 이유가 어떤 표현때문인지 잘 모르겟네요
무조건 is said to-가 나오면 to-에서 얘기를 들은거보다 앞선 시제를 사용해야되는건 아닌거같은데..
문제1번 같은경우는 기원전 550년경 일본이라 나와서 이전에일어난 사건인줄 알겟는데 17번은 잘 모르겟네용
A. BigJohn
맥락이 완성된 형태는 아니지만. 일반적인 맥락에서(저런대화를 하는 일반적 상황)을 보면. 졸업을 이전에 했다는것을 듣는상황이 됩니다.
지금 동시에 이루어지는 맥락이 들어가서 현재형 부정사를 쓰려면. 맥락을 설명하는 부분이 추가로 들어갈것입니다.
1. 듣고있다. (이전에. 몇분전이든 몇년전이든) 졸업했었다고
2. 듣고있다. (말을 그 때에) 졸업을 하고있다.
이런차이입니다^^
Q.
세번째날 준동사-1편에서 문제11번 being cheating하고 being cheated에서 being cheated가 답인이유는 알겟는데 cheating이 아니라 being cheating은 문법적으로 맞는 표현이 될수잇는건가요??
단순능동일때는 v-ing고 단순수동일땐 being p.p잖아요.
그럼 being cheating말고 cheating라고 보기가 주어져야하는거 아닌가요?
A. BigJohn
I am being cheated.
I am being cheating.
I am cheating.
의 차이네요.
Being 은 존재. 상태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분사구문에서 주로 생략을 해서 씁니다. 분사는 ~가하는 상태인가. ~당하는 상태인가를 묻거든요.
I am being cheated.
나는 속임을 당하는 상태이다.
I am being cheating.
나는 속이고 있는 상태이다.
I am cheating.
나는 속이고 있다.
(나는 속일것이다. 곧바로)
의 차이로 보시면 됩니다. 상태(being)라는 의미를 쓰느냐 안쓰냐이죠.
좋은질문 감사합니다.
Q.
33쪽 5번 문잔 none of the woman i spoke to regretted making this change 여기서 동사가 뭔가요...?
A. BigJohn
none of the woman (I spoke to) regretted making this change
에서 regretted 가 동사에요. ( ) 는 꾸미고 있구요^^
Q.
33쪽 1번에 processing foods 음식을 가공하는것 이라고 해석하면 안되나요?
그리고 process 뒤에 목적어가 있는데 왜 p.p가 오나요??
A. BigJohn
가공하는 음식이 아니라,
가공된 음식이여서 그래요^^
분사가 좀 헷갈리죠?
Q.
12쪽 14번에 중간에 are가 생략된걸 어떻게 아나요?
A.
내용상. 상태(be)라는 의미가 되잖아요.
make you be better off than you were better off.
be 와 being 은 상태로 생략되는 경향이 있어요.
do better. 더 낫게 하다.
do 는 make you do better 에서는 생략되지 않구요. ^^
Q.
진행형 불가 동사, 이성적 판단을 나타내는 형용사 이런걸 이해해야하나요 외워야하나요?
A. BigJohn
이해를 먼저 해야해요.
1. 진행불가동사는 특징을 보시고.
알면 알고 모르면 모르는거지 알가가는중일수없고
가졌거나 안가진거지. 가지고있는 중이다는 말이 안되는거죠
이런 이해후에. 자주보면서 익숙해지는게 필요해요
2. 이성적판단 형용사두 자주보면서 해당 문장을 익숙하게 하는것이 필요합니다.
외워봐야 기억안나거든요^^
Q.
146p smoke pouring이면 연기가 자기 스스로 나온다는 건가요? 왜 답이 pouring인지 잘 모르겠네요.
A. BigJohn
Pour 이 자동사로 쓰여서 입니다.
현재분사. 과거분사는 보통 타동사기준인데. 자동사가 자주 등장합니다. Pour. Double. Open. Consist 등과 같은 단어들이. 자동사로도 사용되어져서 우리를 좀 헷갈리게하거든요^^
open, double 과 같은 동사는 자동사와 타동사로 같이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speed 라는 것이 두배가 되었다라는 자동사로 접근해야해요.
with 와 같이 쓰이는 것은 하나의 구문으로 접근해야 하구요.
보통 with + 목적어 만 써도 됩니다.
-와 같이...
with + 목적어 + 목적보어
는 목적어가 목적보어하면서(상황에서)
라고 해석하면 됩니다. ^^
Q.
전치사 to 인지 to 부정사인지 어떻게 구분하나요...?
A. BigJohn
비법 2-11 p. 154 에 다양한 전치사와 부정사가 나와있어요.
이부분은 자주 읽어주면서 익숙해져야 하는부분이에요.
우리 들에게는 미세한 차이가 잘 안느껴져서 자주 보는 방법밖에 없어요^^
Q.
연결사 가정법-1
18번
나는 모든 스태프들이 도착한 그 상황을 보고싶었다. 라고 하면 that도 답이 될 수 있지 않나요????????
A. BigJohn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
바라는 시점은 과거이구
바라는 상황은 더 과거인, 과거완료입니다.
보기를 원했다. 그 이전의 상황이 ~인지 아닌지를 묻는 상황인데,
말씀하신대로.
"도착한 그 상황을" 보고 싶었다라고 하면, 앞에 맥락에 어디를 누군가가 갔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근거가 있어야 해요.
그래서 그 사실(that) 을 알게 되게 되는 것이거든요.
지금은 그냥 한문장에서, 도착했는지 알수 없는 상황이라 if 를 하게 했습니다.
한문장으로 내서, 맥락이 불충분해서, 말씀하신 질문이 충분히 일리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다른 상황(맥락) 빼고, 접근한 일반적인 상황이라 if 를 물어봤습니다. ^^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Q.
280쪽 2번에 when/which 다음에 they spend off the coast of north america from california to alaska 이게 왜 불완전한 문장인가요?
A. BigJohn
They spend + 목적어
현재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문장입니다
Off the coast of ~ 는 전치사구입니다.
Q.
271쪽 3번에 we can to contain~ 앞에 which 가 생략된건 알겠는데 that이 생략됬다고 보고 contain 을 해서 완전한 문장을 만들면 안되나요?
A. BigJohn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문장으로. Which 를 썼는데. 목적격 관대 that 도 가능해요
Q.
134쪽 적용1번에서요 lie는 자동사 아닌가요?
그런데 there은 또 목적어 아닌가요? 모순아닌가요?
A. BigJohn
there 은 부사입니다^^
Q.
P 57쪽 문제4에서요 i wish my team [would get / had got] better score in the last english contest. 에서 last를 마지막남은 영어대회로 해석한다면 ( 여러개 열렸었고 이제 남은거 하나) would get도 맞지 않나요?
A. BigJohn
네 중의적일 수 있네요.
여기서는 지난이라 시간차를 나타내는데.
마지막이라고 할수있겠네요. 전체글에서 보면 지난이 맞아요^^
Q.
59쪽 13번에 would 를 과거로보는게 이해가 안되네요 would는 과거 시점을 기준으로~할거야 라던지 선택적 상황에서 쓰이는걸로 알고있는데 왜 would를 과거로 단정하는지 모르겠네요 또한 57쪽 4번에 would get의 의미도 잘 모르겠고요... 많이 헷갈리네요...
A. BigJohn
맞습니다. Would는 조동사로 가정. 확실치 않은상황에 씁니다.
전 가정법접근에서 해석보다는 형태로 접근합니다. 우리말이 표현못하는것이 있어서요.
형태상 과거로 인식하시면됩니다
Q.
45쪽 8번에 lead to 의 to가 전치사로 사용되었는지 어떻게 알 수있나요? to부정사랑 헷갈리네요...
A. BigJohn
Lead O to 부정사. : O 가 to 부정사하게 하다.
그리고 lead to ~ing : 동명사를 이끌다. 하게하다.
입니다
Q.
want need require v+ing 가 왜 수동의 의미로 쓰이나요...? 그렇게되는 정확한 원리와 어원... 좀 알려주세요!!
A. BigJohn
물건주어(물주구문) 에서는 want need require v+ing 가 수동의미에요.
사람 주어면 비문입니다^^
Q.
p66 18번문제에서 의미상 불확실해서 if가 정답인건 알겠는데요~ see의 목적어로 that절을 사용할수도 있지 않나요? if나 that이나 문법적으로는 둘 다 옳은 것 아닌가요?
A. BigJohn
해석상.
~인지 아닌지를 알다 (if) 와
~인것을 알다 (that)의 차이입니다^^
Q.
2일차에 문제 11번
if they ignored, them so often, they did so not out of ignorance but because they did not think mattered.
여기에서 did가 ignored의 대동사라고 나와있는데 they did so not out of ignorance를 해석한 부분은 이 파트가 '그들은 비율을 몰라서가 아니라'라고 되어있거든요?? 근데 어떻게 그런 해석이 나오는지 모르겠어요. 제 생각에는 out of ignorance는 '무시 밖에서'라는 부사구 같은데요. 그렇다면 대동사 did의 목적어는 어떻게 찾는 건지, out of ignorance가 어떻게 '몰라서'라고 해석되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선생님의 넓은 아량으로 친절하게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A. BigJohn
무지밖에서. -> 무지로인해. -> 잘몰라서
입니다^^
Q.
107쪽 10번에 그들이 좋아하는 직업을 가짐으로써 이루는 만족과 즐거움 이라고 해석하면 안되나요? 왜 '이루는것'이라고 해석해야하나요? 꼭 답변부탁드립니다.
A. BigJohn
동명사는 보통 "~하는 것" 이라고 해석하는데. 님이 하신대로 해도 맥락은 통합니다
Q.
however절은 왜 see의 목적절인 명사절로 못 쓰죠?
A. BigJohn
1. 앞부분 질문은 이해를 잘못했습니다.
2. how 절은 명사절
however 절은 부사절 로만 쓰입니다
(중요포인트^^)
Q.
2일차 질문있습니다..
15번에서 그냥 started보다 과거라서 had p.p를 쓴거 아닌가요??
[과거형+to have -ed] [had -ed+to-v]....이런 게 뭔지 모르겠습니다ㅠ 아예 처음보는데..
17번에서 to be educated로 하면 틀린문장인건가요? 문맥으로 푸는 문제라 생각하고 "다녔던건지 다니는건지 어떻게 알지.." 이러고 못풀었는데 어디서 오류가 있던건가요??
A. BigJohn
1. 네. 그렇게 이해하시는 것이 더 빠릅니다. 저희는 기존 방식외에 좀더 심도있는 해설을 하려다 보니. 간단한 해설보다 더 살을 붙이고 있습니다. [과거형+to have -ed] [had -ed+to-v].... 는
예를 들어 I began to have thought of 와 I had begun to think of 가 의미차이가 크게 없이 사용될 수있다는 말입니다.
2. 숙모가 말을 하고 있는 그 순간에 교육을 받고 있는지, 숙모가 말하는 지금 시간 보다 (전에) 교육을 받았(졸업) 는지를 묻는 것으로
일반적 상황에서는 '숙모가 (그전에) 교육을 받았었다고, (지금) 말하고 있다." 입니다. 그래서 to have been educated. 입니다.
시험에 나오면, 지금 문제자체는 맥락이 많지 않아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핵심은 말하고 있는 시점과 같으냐, 시점이 다르냐를 묻고 있습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기존 쉬운 문제는 지양하고, 고민해봐야 하는것을 구성했습니다.
고민하는 것 자체가 학습입니다.
Q.
p54 18번 문제에서 doubling이 답이 되는 이유 좀 더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해설로는 이해가 안되네요...
A. BigJohn
안녕하세요.
이 문제는 현재분사와 과거분사를 묻는 문제인데요.
double 은 open 과 같이 자동사, 타동사 동사에 쓰입니다.
지문에서는 자동사로 쓰이거나, 타동사로 수동태로 쓰여야 하는데요.
자동사는 주어가 스스로 하는 것이고, 타동사는 무엇인가에 의해 당하는 의미입니다.
스피드가 자동적으로 (스스로) 두배가 되면서, ~~~ 가 되었다가 자연스럽습니다.
만약 by 나 특수한 맥락으로 -에 의해 서가 강조되면 타동사도 가능합니다. 여기서는 그냥 속도가 두배가 됨에 따라.
감사합니다.
Q.
1. p124 문제12. 문장 맨 마지막에 along the way를 어떻게 해석해야 되나요?
2. p188 적용 1. 주어가 not being~ or waking up~ 이니가 동사는 are이 되어야하는거 아닌가요? 동명사가 주어로 나오면 단수취급하는건 알지만 동명사 주어가 2개가 나오면 복수취급하지 않나요?
3. p193 적용 2. A lot of beer has gone down을 해석을 봐도 모르겠어요. since then and now도 마찬가지로요.
4. p194 적용 1. as를 접속사로 보면, civilization was developted라고 쓰면 안되나요?
A. BigJohn
1. along the way 그 방식으로, 그 길을 따라서 등 그것대로 같이 해석하시면 되구요
2. 동명사는 단수 취급인데, 두개가 쓰이면 쓰는 사람의 입장에서 한 개념으로 보면 단수, 낱개의 두 개념이라고 보면 복수로 봅니다.
3. 많은 맥주가 (소비) 줄어들었다. 그때이후로 이런식으로 해석하면 될것입니다.
4. 가능합니다. as 의 용례가 많으니까요. 교재의 용례와 as 를 사전에서 한번 찾아서 정리를 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Q.
p.111 문제4번
untuned 는 왜 안
되죠(???
A. BigJohn
and 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to 를 생략하고 사용을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다른 접속사도 내용이 명확하면 to 나 그 앞에 공통되는것은 빼고 쓰기도 합니다.
하지만 내용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 and 와 명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구가 되어도 같이 to나 전치사류를 써주는것이 맞습니다
Q.
1. p100 8번. But we are largely ignorant가 주어,동사,보어를 갖춘 완전한 문장이라면 that there is such a thing이 문장성분은 무엇인가요?
2. p169 적용2. due to the injured party를 어떻게 해석하나요?
3. p42. 16번 to be the second most irritating~의 문장성분이 무엇인가요? 해석은 어떻게 해요?
A. BigJohn
1. be ignorant that ~ : ~이하의 것에 무지하다.
2. 다친(부상당한) 쪽(무리) 때문에
3. 두번째로 가장 짜증나게하는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Q.
1. p26. 6번. in possesion of the gossip을 어떻게 해석하나요? 이 전치사구가 the person을 수식하는 건가요?
2. p29. 13번. against the patient's wishes가 콤마사이에 있는 부사구이기때문에 that앞에 콤마가 와도 문법적 오류가 없는건가요?
A. BigJohn
말해졌다. 즉 들리다라는 의미입니다.
직역을 하면 좀 어색한면이 있습니다.
Q.
그리구 시간조건의 부사절하고 명사절/형용사절을 구분하는 방법이 뭐죠?
A. BigJohn
부사절 부분은 문장에서 없어도 됩니다. 혼자 독립적으로 쓰이는것입니다.
명사절은 문장은 주어. 보어. 목적어 역할을 하구요.
형용사절은 독립으로 쓰이기보다는 명사 뒤에서. 명사의 의미를 구체화. 설명합니다.
Q.
선생님, 정말 이 책 제가 오르비북스에서 산 책 중에 가장 좋고 도움이 많이 되는 책입니다 ㅎ 파편적으로 있었던 문법지식들이 정리되면서
뒤에 있던 기출문제들의 각 선지를 논리적으로 판별해서 거의 90%이상 정답을 맞출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히, 문제를 먼저 풀고 모르는 것을 찾아본다라는 다소 특이한 컨셉이 굉장히 참신하고 좋은 것 같습니다.
아, 그리고 몇가지 생긴 의문에 대해 질문 드리겠습니다.
1. 71페이지 16번, 찰리의 가족이 과거에 바랬는데, 한 문장만 봤을 때, 놀러가서 더 있기를 바랬는지(have), 논 후 더 있기를 바란건지
(had)구분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2. 120페이지 19번, any가 단수로 복수로 둘다 쓰일때가 있는 것으로 아는데 구분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3. 201페이지 3번 문제에서 a의 try앞에 who 가 생략된 것인지 궁금하고, 또한, b와 관련해서 자동문이니까 능동적인
생명체(?) 취급을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일반적으로 자동문이라도 엔지니어 그렇게 되도록 설계한 것이니까
기계류는 수동적인 존재가 되지 않을까 궁금합니다.
4. 229페이지 b에 관해서, 절 안에 무엇이 오든지 단수취급 한다고 하였는데, who we are에서 we are가 불완전한 절이라서
단수취급 하는 것입니까?
Q n A
BigJohn
1. 71페이지 16번, 찰리의 가족이 과거에 바랬는데, 한 문장만 봤을 때, 놀러가서 더 있기를 바랬는지(have), 논 후 더 있기를 바란건지
(had)구분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 wish 다음에는 두가지 시제만 쓰입니다.
과거와 과거완료..
현재완료 자체가 비문^^
2. 120페이지 19번, any가 단수로 복수로 둘다 쓰일때가 있는 것으로 아는데 구분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 단복수 명사문제는 어려움 부분이 있습니다. 사용한 사람의 생각(인지)가 들어가서, 맥락따라 달라지거든
물을 수 있는 것은,
any 단수명사 + 단수동사 ,
any 복수명사 + 복수명
수일치입니다. 앞의 동사를 보시면 됩니다. 아님. 뒤에 동사를 보고, 명사를 유추할 수 도 있습니다. ^^
3. 201페이지 3번 문제에서 a의 try앞에 who 가 생략된 것인지 궁금하고, 또한, b와 관련해서 자동문이니까 능동적인
생명체(?) 취급을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일반적으로 자동문이라도 엔지니어 그렇게 되도록 설계한 것이니까
기계류는 수동적인 존재가 되지 않을까 궁금합니다.
- 첫번째, 5형식문장입니다. watch a man try to get off
try는 목적보어입니다.
- 두번재, 이 문제의 핵심은 제가 항상 강조하는 "첫문장"에 핵심 키가 있습니다. 자동으로 문이 열리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거죠. 지문에 등장하는 사람은 이 문이 자동문이라고 생각하고 전체 글이 진행되는것입니다. 문은 수동문도, 자동문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첫문장의 자동문을 잡고 글을 보셔야 이해가 빠릅니다.
어법사항만 보고 풀면 틀릴수 있습니다.
요즘은 맥락시대입니다. 첫문장 파악 후 대략적으로 라도 읽으면, 관련 부분이 나오면 무엇을 묻는지 파악해서 푸시면 됩니다.
4. 229페이지 b에 관해서, 절 안에 무엇이 오든지 단수취급 한다고 하였는데, who we are에서 we are가 불완전한 절이라서
단수취급 하는 것입니까?
- 불완전, 완전 관계없이, 동명사구, to 부정사구, 명사절은 모두 단수 취급합니다. ^^
Q.
선생님 day 6의 6번을 보면 해설에 관계대명사를 쓴다면 who를 쓸 수 있다고 하는데, who를 썼을 경우
she 와 who was critically injured가 너무 떨어져서 어색 혹은 비문이 되지 않나요??
A.
-> 어색해서 잘안쓰지만. 가능한 부분입니다. ^^
Q n A
1. 먼저, 5번째날 17번 문제에서 what she said 가 명사상당어구라서 전치사 다음에 쓰일 수 있는 건가요??
-> 네^^
2. 그리고, 5번째날 5번 문제와 여섯번째날 12번 문제는 묻고 있는게 다른건가요??
-> 같은 맥락이겠네요
3.
12번 해설서nd some of them = some of which 라고 하3는데, 저는 5번째날 5번에서
and all of them = all of whom ?? 그래서 whom인가? 라고 생각했는데 완전 잘못된건가요...?
-> 사물 which. 사람 whom
4.
그리고 12번 해설에서 some of what is frozen 이 홀로남아 어색하다는게 무슨 말인가요?
some ~ frozen 이 통째로 명사가 되는건가요??
-> 네^^
Q.
선생님, 4번째날 5번 18번 질문드려요~
먼저 문제 5 심화학습을 보면 ing는 과거느낌 to는 미래느낌이라고 하는데, 이 문제에서 consider은 미래에 살 것을 나타내는데
ing를 쓰나요?? 그냥 ing밖에 안되는 특수한 동사인가요?
또 18번에서 '처리기와 인터넷 연결 속도'는 스스로가 두배로 올리는게 아니고, 타자에 의해서 두배 올려지는 셈 (예를들면 기술자)
이니까 수동형으로 쓰는게 옳지 않은가요?
A.
-> 질문감사해요.
1. consider. 현재를 바탕으로 고려하다라고 이해하시면 좋구요. ^^
2. 기술자라는 특수한 주체가 있다면 "by 기술자". 가 있어야 해요. 생략할수없거든요. by - 가 없다는건 일반적상황.
자동사로 그 자체가 두배가 되면서. 라는 의미 입니다.
Q.
선생님, 12페이지 14번 문제에서 be동사를 생략하지 않으면, make you are better off 가 아니고 make you be better off 인거죠?
이 be가 생략될 때 대동사문제가 나오면, 생략된거에 초점을 두고 쓰는건가요?
또, be가 상태일때 생략된다고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떨때 생략됨을 알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A.
-> 분사쓸때 being. having been. 생략하는것은 이것들이 없어도 내용이해가 되기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better 상태에 굳히 be 를 안써도 상태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
Q.
질문할게 있는데요
미래완료 형에서 I Will have finished the homework by six o'clock
이랑 I Will finish the homework by six o'clock의 해석에 차이에
미래완료형은 지금 하고있는 숙제를 6시 까지 끝낼것이다. 라는 뜻이고
미래형은 그냥 숙제를 6시까지 끝낼것이다. 라는 뜻이 맞는가요?
두 문장 해석의 차이를 잘 모르겠어요
A. BigJohn
네 그런이해 좋습니다
기간(duration. 완료)이냐
점이냐의 개념도 좋아요.
그래서 완료는 지금부터 라는 것이 들어가는 거죠^^
Q.
그럼 일반 미래형이 더 포괄적인 뜻인가요?
미래완료 용법중에서 완료만 잘 와닿지가 않네요 ㅠㅠ
A. BigJohn
네 완료는 시작시점이 말하는 지금.
그리고. 완료되는 시점이 존재하죠.
미래시제는 앞으로 그럴것이다.
주신예문의 by ~ 는 사실 완료랑 주로 다니는 시간의 전치사구입니다^^
시제가 완료보다 범주가 크죠.
시제에 have pp 가 들어가서. 더 세분화된거니까요^^
Q.
p131 완료형 문법 해설 이거 맞나요? 종속절에 현재완료 시제가 들어가 있는데 이거 과거시제가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A. BigJohn
시간차가 생기면 완료형이 되는데요. 현재완료나 과거시제면 현재 기준에서 시간차가 생겨서 완료형이 됩니다. ^^
Q.
194p내용을 다시 고친 후의 설명에 대해 질문 부탁드립니다
In no time을 문두에 쓴 것을, 부사구 전치로 보아 주어와 동사의 도치가 일어났다고 보면 안되나요?
A. BigJohn
좀더 깊이있는 예시를 들다보니, 좀 어려워진 감이 있는데요.
여기서 하는 말은 부정어가 문장 전체를 부정해야 도치가 일어나구요
그리고 장소의 부사구는 도치가 일어나지만, 시간의 부사구는 도치가 안일어납니다^^
Q.
166p에서 '접속사와 전치사의 역할을 둘 다 하는 것들'의 'as'를 왜 지워야 하나요?
as는 접속사와 전치사로 모두 쓰일 수 있지 않나요?
A. BigJohn
as 는 접속사, 전치사, 부사, 관계대명사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해서, 뺐습니다.
그리고
as
전치사. ~로써.
접속사. ~할때
의미가 다른 동음 이의어 라 보시면 됩니다
Q.
33쪽에 1번 processing foods 로 음식을 가공하는것 이라고 해석되는게 왜 대체 안되나요~~~??
A. BigJohn
가공된 음식이
음식을 가공하는 것은
다른 해석입니다. 맥락상 가공되어진 음식이. 자연스러운것입니다.
Q.
p.227에서 4번보기문장이 왜 능동태인지모르겠습니다...
soda cans 가 실리는거라 수동태가아닌가요?
A. BigJohn
트럭 hold so(how) many soda cans. 입니다^
[색시한 19일 영문법 Q n A]
Q.
p47 18번문제 질문있습니다.
double이라는 동사가 능/수동이 다 되는데, 이런경우 doubled도 되지않나요?? 수동으로 쓰이는게 가능하잖아요
A.
둘다 가능한데 여기서는 스피드를 누군가 올리는 대상이 언급이 되야 과거분사형태가 가능합니다.
지금상황은 스피드가 두배가 되다. 라는 자동사로 현재분사가 맞습니다.
by an officer 같이 있으면 과거분사가능해요
Q.
안녕하세요 , 책사러 서점갔다가 제목말하기 민망했습니다..ㅋㅋㅋ 책 내용은 아주 만족합니다!! 좋아요
다름이 아니라 분사의 태결정 할때 판단하기 어려운 부분이있어서요 , 살펴보니까 제가 이부분에서 문법문제에서 걸리더라구요
자동사 타동사 둘다쓰일수있는 경우에 태를 판단해야하는경우요
교재에 쓰인 예문
with processor and internet-connection speed [douling/doubled]
with smoke [pouring/poured] out of back
그리고 수완에서도 똑같은거 틀렸어요
the fuel keeps the fire of our desier [buring/burned]
제가 문제를 풀때 둘다 의미상 주어가 수동으로 해석이 되고 목적어도없어서 p.p형태로 생각을했는데 능동이 답이 되더라구요
능동인데 뒤에 목적어가없으니 자동사로 쓰였단소리인데...
자/타동사 둘다가능한 동사의 경우 이 동사가 자동사인지 타동사인지 구분을 어떻게 해야하나요?? 아 갑자기 멘붕이 오네요..
밑에 설명있어서 봤는데..아주 디테일하게 설명해주실수있나요???부탁드리겠습니다 ㅠ
A.
자동사 타동사는 어려운 부분입니다.
1, 2 형식 자동사
3-5형식 타동사이죠..
이 교재에 있는 예시들을 잘보시고, 파트2의 심화어법의 단어들을 익히시는 길이 제일 빠릅니다.
모든 단어를 그렇게 익힐수는 없습니다.
좀 쉽게 뒤에 목적어가 있으면 현재분사라고 생각하고.
아닌 예들을 (4형식 동사) 이해하는것이 문제 접근에는 용이합니다.
자동사는 수동태가 될수없다는 기본내용인데..
그 자동사가 참 많습니다. 다행인것은 출제하는 범위는 고등학교 범위라 이교재에서 다르는 것만 정확이 익혀주세요. ^^
Q.
p179 적용3 에서요
immediate 가 drinking 을 꾸며 줄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왜 immediate는 안 되고 immediately만 되는 건가요?ㅠ
A.
형용사 + 동명사 입니다.
하지만.
부사 + 동명사 + 목적어. 입니다
동명사가 목적어를 가지면. 동사의 성향이 강해져서 부사를 씁니다^^
좋은질문감사해요.
Q.
215p에서 3번에 club 뒤에 관계사 that이 생략 된 거라고 보면 devotes도 맞지않나요?
A.
that 이 생각되는 경우는 명사절을 이끄는 that 일때 입니다. 여기서는 형용사절입니다.
1. which devotes -> devoting
2. which is devoted to -> (being) devoted to -> devoted to
에서 2번이 맞습니다. be devoted to -에 전념하는 의 구문입니다.
좋은 질문 감사해요.^^
Q.
1. 204p alike 뒤에 동명사가 오지 못하는 이유 좀 자세히 알려주세요ㅠㅠ
2. 267p it 뒤에는 관계대명사 수식을 받지 못하나요?네이버에 쳐봤는데 자세한 설명이 없어서요ㅠ
3. 269p 5번 that을 명사절을 이끄는 that으로 보면 that뒤에 완전한 문장이 되어야 하나요?
A.
1. alike 는 서술형으로 뒤에는 부사구만 옵니다. He is alike. 자체가 완전한 문장입니다.
동명사는 문장에서 주어와 목적어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소라 올수 없습니다.
2. 비교급에서 that / those 두가지만 됩니다.
it 과 that 의 차이는 it 은 구체적인 한개의 명사를 받는 '그것' 대명사이구, that 은 '그러한 것' 대명사입니다.
비교는 그러한 것의 의미라. 단수일때는 that, 복수일때는 those 를 씁니다.
3. 네.. that 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that 선행사 유무 / 뒷문장 완정 유무)
관계대명사 O x (불완전)
동격 O o (완전)
접속사 X o (완전)
입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Q.
선생님 선생님책 다 보고 다른문제집 풀다가 모르는게 생겨서 질문남겨요!! 어떤 지문에서 most of them 이어야 할것 같은데 most of which라고 쓰는 경우가 있던데 어떨때 most of them 대신에 most of which라고 쓰는거에요??(and most of them=most of which맞나요?)
This means that although a third of the world's energy is used to produce electricity, at least two-thirds of which is wasted in generation and transmission. 이문장에서 which는 어법상 틀렸고 them이 맞다고 하는데 왜그런건지 설명해주세요ㅜㅜ..이런 문제를 잘 못풀겠어요ㅜ
A.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어법은 포인트 이해가 중요합니다.
질문의 포인트
유형1. 접속사 + 절 (주어 + 동사), 절(주어 +동사)
유형2. 절 (주어 + 동사), 접속사 + 절(주어 +동사)
보통 유형2번의 이해에 대한 것을 어법에서 묻습니다.
질문 A) most of them 대신에 most of which라고 쓰는이유
(and most of them=most of which 이기 때문입니다)
** 접속사 + 대명사 -> 관계 대명사 가 되는것입니다.
유형2 인것입니다.
질문B) This means that although a third of the world's energy is used to produce electricity, at least two-thirds of which is wasted in generation and transmission.
에서 겉보기에는 유형2 처럼 보입니다. 그래서 which 라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명사절 that 아래에 놓인 문장입니다.
다시말하면 이것은 유형1 입니다.
although(접속사) 주어 + 동사, two-thirds of them(주어) + 동사 인것입니다.
그래서, which(관계대명사 : 접속사 + 대명사)는 어법상 틀렸고 them(대명사) 가 맞습니다.
Q.
아래 댓글에 262p where 질문 드렸었는데요,
설령 where 이 관계부사로 쓰였다고 하더라도 from 의 목적어 역할을 할 수 있나요?
관계 부사면 말 그대로 성분은 '부사' 이기 때문에 명사의 역할을 못 하는 것 아닌가요?
A.
제가 이해한것은 from (the place) where 이었습니다.
어법상 말씀하신대로 의문사로 명사절이 되어야하나.
"어디" 라는 해석이 들어가기에 어색해보입니다.
일반적 장소에는 the place 를 생략해서 쓰기도 합니다.
Q.
문제풀이 페이지 말고, 뒤쪽에 링크 되어있는 부분에 관계대명사 설명한거요, in which뒤에는 완문이 나와야 되는데 어떻게 불완문이 오죠..? He hand her an envelop in which was tucked five billion dollars였나? 아마 이문장 맞을거에요. 여기서 in which 뒤에 불완문 못오자나요;;
A.
BigJohn
도치구문입니다. 수능에도 출제가 두번되어서, 전멸시킨 유형입니다.
in which was tucked five billion dollars
-> five billion dollars was tucked in the envelop 이죠
장소의 부사구가 앞으로 나오면 도치^^
이런걸로 우리는 "훅"가게 한답니다.
이책은 이런 깊이를 추구해요
Q.
117p 3번문제에서 which 가 one 을 수식한다고하면 왜안되나요?
그리고 154p 2-11 에 나와있는 전치사 to 부정사to 구분하는거 따른 방법없이 다외워야하나요?
A.
BigJohn
A of B which ( B 동사 ) / (A 본동사) 가 기본 형태입니다.
one 으로 볼 가능성도 존재는 합니다. 맥락이 있다면요. 없는 상황에서 일반적으로는 B 를 받습니다.
전치사 to 만을 임에 자꾸 말하면, 붙이세요.
Q.
여덟번째날 14 15모르겠어요 왜 frequently가 is run을 수식하고 strongly 는 think를 수식해요?? 어떻게알수있나요
A.
BigJohn
14. 잦은 광고가 아니라 자주 보여진다가 맞아요. 만약에 더 잦은 광고라면 복수여야 합니다.
15. 구조를 잘 보셔야 하는데, think strongly 강하게 생각한다 ^^
Q.
p.142에 적용 1 - Using a specially developed website, [ which / they ] offered more than 14,000 people the opportunity to download free music. 에서 분사구문이기에 they가 오고 which가 오는건 말이 안되죠? 만약 Use 로 문두가 시작 되고 which와 already를 넣는다면 Use a specially developed website, which already offered ~ 이런 변형된 청유문 문장도 가능한가요?
A.
BigJohn
네 앞이 분사구문이 되려면, 뒤는 온전한 절이어야해
말씀하신 Use 명령문, which 는 가능합니다.
Q.
선생님! 영문법 139쪽에 두개의 동사만 주의하자 그부분에서요 suggest가 제안할때는 should 동사원형쓰고 암시하다일때는 주절의 시제에 맞게
쓰는군요 알겠는데요 insist가 약간 헷갈려요!
insist는 둘다 주장하다라는 뜻인데 동사원형을 쓸때와 주절의 시제에 맞게 쓸때를 구분할수 있을까요??
그리고 두개의 동사만 주의하자 밑에 예시에서 (사실목적설)이 있는데 암시하다라는 뜻으로 안 쓰여도 사실목적설 같은 내용이면
그럴때도 주절의 시제와 같게 종속절 시제도 적용되는건가요??
A.
BigJohn
insist
(사실을) 주장하면 시제 일치
(-해야한다고 주장하면 ) should 동사원형^^
사실이나 의견이냐에 따라, 시제일치냐. should 동사원형 이냐 입니다. ^^
좋은 질문 감사해요
Q.
선생님 색시한영문법 페이지 세번째날 33쪽 2번 문제요~
sucess가 여겨지는 거라서 is seen as 라 생각했고 답도 이거인데요
해설보니까 분사구문인지 아닌지 묻는거라는데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요 ㅠ
A.
BigJohn
해석으로 하면 seen as 도 맞아요..
^^ 깊게 설명하려니. 더 어렵게 느껴지셨겠네요.
네 생각하신 대로 보시면 됩니다. 여기서는 접속사도 있고, 주어도 있는 상황이라.
분사구문이 될수 없다.. 이런 메시지 입니다.
Q.
1. 162p에서 적용1에 A white person whom lives primarily among other whites~에서 왜 whom이 되는거죠? 뒤에 주어가 빠져있는 불완전문장 아닌가요
2. 163p 에서 what 설명하신 박스안에 what 앞에 선행사가 있다고 하셨는데 what 앞에는 선행사가 없는거 아닌가요?
3. 174p 에서 적용2가 왜 ones가 되는거죠? 무인우주임무와 유인우주임무 내용인데 우주임무가 막연한것이 되는건가요? 막연한 것의 기준이 조금 애매해서 헷갈립니다ㅜㅜ
A.
BigJohn
1, 2는 정오표에 있습니다. ^^ who 답이구, what 선행사 없어야해요
3. 특정하냐. 불특정하냐가 핵심입니다. 불특정한 (실제 없는) 것을 말하기에 ones ^^
Q.
where=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 모두 가능하나요?
A.
hellolaw
where는 세 가지 종류가 있어요
1. 의문사 where (명사절)
2. 관계부사 where (형용사절)
3. -하는 곳에서 (부사절)
Q.
1일차 14번 문제에서요. 어떻게 be동사 were가 생략되었는지 해설을 봐도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ㅜㅜ저는 문제풀때 does 나 make를 보고 대동사 did겠구나! 해서 풀었는데말이죠ㅜ
A.
BigJohn
심층구조로 보면 make you (be) better off이며 better off에서 better는 형용사로만 사용합니다^
Q.
질문 드립니다.
1. 36p 16번 저는 irritate 자리를 동사 자리라고 보았는데 found (that) s + v 그렇게 하면 안되는 정확한 이유는 뭐죠?
2.146페이지 상단 적용1 예문에 pouring 보다는 poured가 맞지 않나요?
smoke가 pour되는 거니까 수동이라고 생각했고, 사전에 쳐보니 pour은 자동사로의 쓰임이 별로 없는 것 같아서요.
3. 이거는 책과 상관 없는 질문인데...사관학교 기출 문법입니다.
One of the biggest obstacles to [increase/increasing] a hybrid car's range is the weight of the battery.
increase라고 했을 때는 obstacle을 수식하는 to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이고
increasing이라고 했을 때는 전체가 부사로서의 쓰임 아닌가요? 둘 다 정답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왜 하나만 정답인지 모르겠습니다.
A.
BigJohn
1. to be가 있어 irritating은 목적격 보어이고
2. pour다음에 전치사구가 나오면 자동사임
3. obstscle은 부정사의 목적의 뜻이 아니면 전치사 to를 사용. in an effort to-v는 거의 관용적인 표현임.
Q.
50p 문제 9번에 the day as the jury- 이부분의 as 절을 the day 를 수식하는 시간 형용사절로 볼 수 있지 않나요?
그리고 54p 18번의 예문들을 보면 double 이라는 동사가 자동사와 타동사가 둘 다 가능한 것 같은데, 그럼 답이 둘 다 가능한것 아닌가요?
덜 중요한 부분이긴 하지만, 149p Stop 설명에서 stop to 부정사의 to 부정사는 목적어가 아니라 부사적 용법임을 설명해야 할 것 같아요.
A.
BigJohn
50p 문제 9번에 the day as the jury- 이부분의 as 절을 the day 를 수식하는 시간 형용사절로 볼 수 있지 않나요?
~~여기서 as 는 접속사입니다. 형용사절로 사용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54p 18번의 예문들을 보면 double 이라는 동사가 자동사와 타동사가 둘 다 가능한 것 같은데, 그럼 답이 둘 다 가능한것 아닌가요?
~~ 타동사가 되려면 by 특정인이 있어야 자연스렵습니다. 여기서는 스피드가 두배가됨에 따라.
덜 중요한 부분이긴 하지만, 149p Stop 설명에서 stop to 부정사의 to 부정사는 목적어가 아니라 부사적 용법임을 설명해야 할 것 같아요.
~~네 반영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걍 노예임
-
기출 2회독 하고 괜찮은 것 같아서 n티켓 괜찮게 풀고 4규 넘어갔는데 수1은 잘...
-
확통이고 1회풀었는데 난이도 어느정도인가요..? 현역이라 5모 쳐서 3등급대...
-
9번부터 15번까지 10번 하나 맞은줄 알았네 어휴...
-
최근 4일정도 공부가 너무 안돼서 거의 한게없는데.. 지금부터라도 정신차려야겠죠?...
-
전략도 좋고 뭐 사탐런 다 좋은데 그냥 깔짝하다가 안되면 런치면 그만이야...
-
하
-
멸망함.. 지금까지 본 국어 시험중에 제일 못 본듯.. 오답해야하나..짜증나는데
-
귀찮다 걍 gpt로해야겠다
-
미적 잘 못하는데 할만할지...
-
수분감1회독하고 뉴런 듣고있습니다 수분감 2회독하기엔 교재 바로 위에 문제풀어서 또...
-
4규 vs 미적 0
볼텍스 미저구도함수 활용 부분이 좀 쉽게 느껴졌고 못 푸는것도 별로 없었어요....
-
둘다 서의치반으로 들어갈것같음 최상위가 자연보다 좀 더 비싸고 라인업도 좋은 것...
-
분명 평가원이 화1 생태계의 붕괴를 두고보고있진 않을겁니다.. 올해 좀 어렵고...
-
밑변의 한점에서 빗변의 한점으로 수직으로 선을 긋고,그빗변의 한점에서 나머지변으로...
-
하지만 내겐 죽기 전에 풀어야 할 히카가 남아있다
-
독서 기출문제집 마더텅과 자이중 어떤걸 선호하시나요??? 14
뭘 선호하시나요???
-
그리고 문제도 살짝 손봄 풀지마 풀이 (누르면 펼쳐짐)
-
탈 화1 하세요 5
문과계산은 아무것도 아니네 과탐 ㄹㅇ
-
안녕하세요 4
안녕히계세요
-
면은 우리나라 라면이 훨신 나은듯??
-
그럼 1과 2가 같음?
-
빨래해야겠노..
-
서프 국어 빠답 0
빠답 이미지나 파일좀 주세요
-
더프 5만원 이상 구매하면 배송비 무료라길래 친구랑 같이 한번에 결제하려하는데 한...
-
오영훈 만들어 "줘"
-
디카프 시리즈는 다 풀거구요. 디카프 말고 추천할 N데, 실모는 뭐가 있나요
-
손흥민 사건 댓글 보니까 느낀 게 발정난 애들 진짜 많은 것 같음 5
댓글이 저 여자의 잘못에 대해 비난하는 건 없고 노브라라고 헉헉 거리고 ㅈㄲㅈ가...
-
정말 내 상황이랑 너무 비슷한…. 특히 라는 시집에 수록된 시들은 더욱 희망적인...
-
집에서 푹쉬기 ~
-
내 안에 윾머벨이 자꾸 풀지 말라네..... 한 70점대 나올듯. 가슴속 윾머벨과 싸우느라
-
지금 터널 달리고 있어서 기차가 어둠을 달리고 이 부분이랑 딱 맞음
-
이번에 사탐런하기도 했고, 상황병이라 매일 근무 들어가야해서 한과목 개념을 다...
-
?
-
Ktx 왤케 큼 8
자리 찾느라 고생했다 호차가 있구나...
-
오르비언 닉은 왜 있는거지
-
하이 2
바이
-
백분위 93~95정도 기준으로뇨 딴거 만점권이어도 설역사도 힘들까요??
-
고등학교마다 선생들도다르고 애들 실력따라 내신따는 난이도도 다다르고 비교과도...
-
독서론, 화작(합쳐서20m), 독서(28m), 문학(시간부족..) 순으로 풀었어요...
-
3년 가까운 옯생 끝에 달아보는구나
-
예전 재수 때 황용일T 듣고 수능국어 100점 맞았는데, 이번에 동생이 수능판...
-
예전에 누구였는지 티를 내든 안 내든 돌아오는 사람들은 무조건 있다 나처럼 알빠노...
-
데이트코스도 여친이짜고 계산도 여친이더하고 스킨십도 여친이먼저하고 시발 남성성이라곤 1도없네 진짜
-
오르비 잘 안올듯
오르비 북스에서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책
http://orbi.kr/0004738828
모든것이 그렇지만
교재와 강의들도 어떻게 쓰냐의 차이가 있겠지요.
좋은 부분을 활용해주셔서 감사하네요.
참 많은 질의 응답을 했네요^^
포인트는 애매함 해소였습니다. 대략적으로 아는것을 스스로 설명할수 있게 하려고 했구.
무엇을 묻는지 핵심포인트 이해로 쉽게 답하게 되게 하려구 했습니다.
혹시 색시한 영문법 사용자님들 계시면 후기부탁드립니다.
장점과 단점. 보완점. 주시면 발전하는 교재 만들께요^^
색시한 시리즈 애용자님. 멜 남겨주시면.
색시한 19일 영문법 문제와 답보내드릴께요.
푸시면. 아. 겸손을 배우실 수 있으실거에요^^
wngkdms@hanmail.net
감사합니다. .샘!!
실력 팍팍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