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이과 과탐 네개 다한다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76851
엄청 논란이 되려나요?
지금같이? 약간 더럽게?..안내고
18번까지는 개념위주 19 20만 킬러문제로 어렵게내서
모두 다하는건..
요즘 하도 과탐 선택 및 표점에 논란이 많아서...
아 근대 모기 디게 많네
글 쓰면서 모기 두마리 잡음 무슨 분열하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그게 나을것같아요 예전처럼
애초에 강제하지도 못하면서 학생들에게 선택권을 준거 자체가 잘못이에요.
화1 시간투자하면서 지1하는애들 솔직히 부럽던데
애초에 지구과학 대학에서 쓰이지도않고 이과생 공대가면 물리도 필순데 진짜 다했으면함
솔직히 걍 8과목 쳤으면 좋겠음.
과학탐구 영역으로 통으로 지정해서 물화생지 각 7-8문제씩 총 30문제 100점 어때요
1,2도 섞어서 서울대나 가산점받으려고 2과목하다가 피보는분들도 없게
4개때가 좋았어요.. 아님 3개라도..
2개는 좀 위험부담이 큰거같아요ㅜ
그냥 지금이라도 4개 합시다
2003년부터 2014 2015 2016 지금 문제들의 진화과정을 지켜보면 경악
2014년은 마치 캄브리아기 대폭발이랄까...(전 생2러입니다.)
근데 지금4개하고 수능기조는 그대로가면 변별은 더 안될걸요
언수외가 평이한정도라도(1컷90중반) 나오면 모를까
100점 수렴해야하는 시점에선 그나마 과학으로 변별가능한데
과학4개하면 1등급인원이 두배로 늘어나니 그만큼 변별이 안되지않나요?
그만큼 변별이되는거지;
왜그만큼 변별이되요ㅋㅋㅋ1등급이 그만큼많으면 점수간 격차가
점점촘촘해지는건데
그거는 옛날같이 4과목 본다면 최소 3과목 이상 반영 이렇게 하면 되죠
4과목봐서 3과목반영하면 지금보다 더힘든거아닌가여;;
과목이 많으면 과목당 1등급을 모두 받을 확률이 원래보다 낮아지는데ㅋㅋ
그건과목전부를반영할때죠 4개이던시절도 똑같이 2개반영했는2개봐서 2개반영하던거 4개봐서 2개반영하면 당연히 4개 중 2개받기가쉽지;
과학8개의각각의표본도늘어나서 과목당1등급인원도 더많아지고
저는 사탐2개 과탐2개했으면 좋겠음
사탐도 배워보고 싶음
솔직히 탐구 8과목 중에세 문제 어렵게 나오는 건 생명뿐임.. 물론 다른 과목도 두 문제 정도는 어렵지만.
차라리 4과목은 아니더라도 3과목치는것도 나쁘지않을거같은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