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실력 테스트 해보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70289
사실 제 질문 좀 받아주세요 ㅠㅠ 가르친 것은 절대 안까먹는다고 하니 님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 같아용
07 9평
미국과 fta를 체결하는 것에 대해ㅐ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찬성 2 반대 3 현상유지 4 잘모름
ㄹ. 응답항목이 서로 배타적이지 않아 결과 해석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 네 배타적이지 않지요. 하지만 결과해석에 어려움이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지금 상황이 fta가 체결된 상태라면 3번 항목은 1번항목과 일치할 것이고 그 반대라면 2번항목과 일치하겠죠. 전자의 경우에 3번에 체크된 경우의 수를 1번 항목에 포함시켜서 계산하면 문제 없을 것 같은데요. 굳이 번거럽게 그렇게 할 이유는 없지만 '결과 해석에 어려움'이 생기는 건 아니지 않나요?
-------------------------------------------------------------------
가설 : 온라인 게임을 많이 하는 고등학생이 그렇지 않은 고등학생에 비해 문제 행동을 더 많이 할 것이다.
자료 수집 방법 : 질문지법
------------------> 온라인 게임을 많이 하는 고등학생은 실험집단, 그렇지 않ㄴ은 고등학생은 통제집단인가요?
---------------------------------------------------------------
자료수집방법 별 상황대처능력 순위는
1 면접법 2 ? 3 ? 4 참여관찰법 이거 맞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일단 질문지법에서 실험집단 통제집단이 없다는 거밖엔.. 나머진 저도 잘 ㅠㅠ
2번째 질문에 대해.
2. 질문지법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나타나지 않습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실험을 해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있는거죠.
만약에 "수능의 난이도는?"
1. 어려워져야 2. 쉬워져야 3. 현상유지 4. 모름
이런 상황을 가정해보세요. 우리 오르비언들이야 현재 물수능인걸 알고 있으니까 판단을 할 수 있겠죠. 근데 지나가던 97학번을 붙잡고 여쭤보면 얘기가 달라질겁니다. 즉, 님이 생각한것처럼 현재 상황이 뭔지 모르는 상태에서 답을 한다면 과연 찬성에 포함할지 반대에 포함할지 알 수 있을까요?
답변 고맙습니다. 네 저도 그 사고과정을 거쳤는데요 그럴경우에 4번 모름에 체크하겠다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ㅠ
상황대처능력이 아마 '조작화 정도'나 '자료수집 상황에 대한 통제 수준'인 것 같은데 만약 그렇다면 실험 > 질문지 > 면접 > 참여관찰 입니다.
상황대처능력이 조직화 정도 맞나요,,?
흐아 한번에 쓸 걸 그랬나.. 첫번째 질문.
선택지가 배타적이지 않으면 답변자가 명확히 답변을 할 수 없죠. 만약에 현상 유지가 찬성이라고 치면 1번과 3번 중에서 고민하다가 에라 모르겠다 4번 찍는 답변자도 생길 수 있으니까요.
실험집단은 실험법에서만 등장하는 개념.
상황대처는 면접법이 참여관찰접의 우위에 있고, 다른 방법은 모르겠네요
1번 같은 경우에는 체결에 어떻게 생각하냐, 아직 체결 안한거고 현상유지는 반대니까 찬성1 반대2 모름1이 되는데 질문지는 찬성과 반대가 같고 대칭적이어야해요 찬성하십니까? 같은 편향적인 질문도 해서는 안되고요
1. 저 문제는 '배타적'에 초점을 맞추셔야 합니다. 해설지에서 결과해석이 어려울 것이다 라고 써있었나요? 사실 이 서술어는 걍 거기서 할말을 만들어야 해서....쓴 서술어 일 수도 있을 듯요. 저 문제는 '배타성'을 묻고 있으니 배타성 중심으로 공부하세요. 배타성(중복 답ㄴㄴ 교집합 ㄴㄴ)
2.
독립:온라인 게임 자주함 종속:문제행동
실험집단 통제집단은 실험법에서만 쓰는 용어 입니다. 지문에서 저 가설을 쓰고서 '실험'을 했다면.
ㄱ집단에는 매일 온라인 게임 n시간 ㄴ집단에는 안하게 함.
이러면 '처치'(독립변수 적용)한 집단이 실험집단. 처치 안한 집단이 통제집단 입니다.
하지만 그냥 질문지법을 썼으니....그냥 독/종만 파악하시면 됩니다.
3.대처순위(=조작&통제 순위)
양적(실증적)>질적(해석적)
실험>질문지>면접>참여